⊙앵커: 올 들어 한강에 투신해 목숨을 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매일 한두 건씩에 이르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투신하고 있는지 막을 수는 없는지, 이병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대 남자가 한강에 뛰어내리려 한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합니다.
설득 끝에 투신을 포기하지만 또 다른 다리 밑에서는 이틀 전 투신한 40대 남자의 시신이 발견됩니다.
⊙김영태(경사/한강순찰대): 지병이 있다든지 경제문제 등의 열악한 사유로 투신자가 아무래도 겨울보다 여름이 많은 편입니다.
⊙기자: 이달 초에는 일가족 4명이 빚 때문에 한강에 투신해 두 명이 숨졌고 어제는 2, 30대 3명이 15분 사이 한강에 몸을 던졌습니다.
올 들어 한강 투신자는 180여 명, 이 가운데 120여 명이 숨졌습니다.
한강투신사망자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특히 올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습니다.
이처럼 한강에 투신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면서 경찰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4명의 대원이 24시간 2교대로 순찰과 구조활동을 펴고 있지만 투신을 막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유병종(경장/한강순찰대): 인원이 보강이 사실은 더 되어야죠.
출동인원도 그렇고...
⊙기자: 최근에는 경제난으로 인한 생활고가 한강투신의 첫번째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흥식(정신과 전문의/한국자살예방협회장): 한강다리에서 투신하는 것은 자살의 동기가 내 문제이기도 하지만 당신에게도 그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항변하는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가 있습니다.
⊙기자: 투신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한강다리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등의 단기대책도 시급하지만 사회보장을 강화하는 등의 장기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뉴스 이병도입니다.
매일 한두 건씩에 이르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투신하고 있는지 막을 수는 없는지, 이병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대 남자가 한강에 뛰어내리려 한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합니다.
설득 끝에 투신을 포기하지만 또 다른 다리 밑에서는 이틀 전 투신한 40대 남자의 시신이 발견됩니다.
⊙김영태(경사/한강순찰대): 지병이 있다든지 경제문제 등의 열악한 사유로 투신자가 아무래도 겨울보다 여름이 많은 편입니다.
⊙기자: 이달 초에는 일가족 4명이 빚 때문에 한강에 투신해 두 명이 숨졌고 어제는 2, 30대 3명이 15분 사이 한강에 몸을 던졌습니다.
올 들어 한강 투신자는 180여 명, 이 가운데 120여 명이 숨졌습니다.
한강투신사망자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특히 올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습니다.
이처럼 한강에 투신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면서 경찰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4명의 대원이 24시간 2교대로 순찰과 구조활동을 펴고 있지만 투신을 막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유병종(경장/한강순찰대): 인원이 보강이 사실은 더 되어야죠.
출동인원도 그렇고...
⊙기자: 최근에는 경제난으로 인한 생활고가 한강투신의 첫번째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흥식(정신과 전문의/한국자살예방협회장): 한강다리에서 투신하는 것은 자살의 동기가 내 문제이기도 하지만 당신에게도 그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항변하는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가 있습니다.
⊙기자: 투신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한강다리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등의 단기대책도 시급하지만 사회보장을 강화하는 등의 장기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뉴스 이병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강 투신 매일 한 두 건
-
- 입력 2005-06-15 21:22:2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올 들어 한강에 투신해 목숨을 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매일 한두 건씩에 이르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투신하고 있는지 막을 수는 없는지, 이병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대 남자가 한강에 뛰어내리려 한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합니다.
설득 끝에 투신을 포기하지만 또 다른 다리 밑에서는 이틀 전 투신한 40대 남자의 시신이 발견됩니다.
⊙김영태(경사/한강순찰대): 지병이 있다든지 경제문제 등의 열악한 사유로 투신자가 아무래도 겨울보다 여름이 많은 편입니다.
⊙기자: 이달 초에는 일가족 4명이 빚 때문에 한강에 투신해 두 명이 숨졌고 어제는 2, 30대 3명이 15분 사이 한강에 몸을 던졌습니다.
올 들어 한강 투신자는 180여 명, 이 가운데 120여 명이 숨졌습니다.
한강투신사망자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특히 올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습니다.
이처럼 한강에 투신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면서 경찰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4명의 대원이 24시간 2교대로 순찰과 구조활동을 펴고 있지만 투신을 막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유병종(경장/한강순찰대): 인원이 보강이 사실은 더 되어야죠.
출동인원도 그렇고...
⊙기자: 최근에는 경제난으로 인한 생활고가 한강투신의 첫번째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흥식(정신과 전문의/한국자살예방협회장): 한강다리에서 투신하는 것은 자살의 동기가 내 문제이기도 하지만 당신에게도 그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항변하는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가 있습니다.
⊙기자: 투신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한강다리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등의 단기대책도 시급하지만 사회보장을 강화하는 등의 장기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뉴스 이병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