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일부 대형병원, 환자 상대로 밥 장사?
입력 2005.07.04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의 대형 종합병원들이 환자에게 밥장사로 폭리를 취하고 있습니다.
원가와 인건비까지 감안해도 3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값비싼 병원 밥은 억지로 먹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현장추적 이정민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종합병원입니다.
2인실 환자의 식사비는 한끼에 8800원, 한 달이면 80만원입니다.
⊙종합병원 입원 환자: 너무 비싸.
이게 (세 끼에) 3만원 한다고...
이 정도면 밖에 나가면 4천원쯤 하지, 4천원...
⊙기자: 다른 대학병원의 한 끼 식사비는 7500원, 원가가 얼마나 되는지 병원 급식 위탁업체에 물어봤습니다.
가장 비싼 낙지볶음이 500원 정도, 다른 반찬과 밥을 다 합쳐도 원가가 1800원선입니다.
6500원 하는 이 병원의 식사도 고등어조림이 440원 정도, 부대비를 합쳐도 1500원을 넘지 않습니다.
인건비를 고려한다고 해도 한 끼에 3500원에서 4000원이면 충분하다고 급식업체는 설명합니다.
⊙문선영(병원급식업체 푸드메디 영양사): 쇠고기를 국산으로 쓰고 그리고 야채 같은 경우나 이런 부분들을 최상급으로 썼을 때 한 2000원에서 한 2500원 정도로 저희는 만들 수가 있습니다.
⊙기자: 이에 대해 병원측은 밥값이 비싼 것은 인건비 때문이라는 입장입니다.
⊙병원 급식 관계자: 보이지 않는 인력이 상당히 많이 들어간다고 보셔야 해요.
그리고 아무래도 개인 병원보다는 대형 병원이 임금을 조금 더 줘야 하지 않나...
⊙기자: 하지만 병원측은 밥값의 원가와 인건비에 대해 정확한 내역을 공개하는 것은 거부했습니다.
반면 이 병원의 직원 식당 밥값은 2500원, 음식이 환자용과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값은 3분의 1에 불과합니다.
원가절감이 용이한 대형병원일수록 식대가 비싸서 환자들은 많게는 병원비의 절반에 이르는 밥값을 물고 있습니다.
더구나 입원하면 꼭 병원 밥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 대부분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또 이를 아는 환자들도 병원 눈치 때문에 꼬박꼬박 비싼 식대를 지불하고 있어 울며 겨자먹기식 환자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이정민입니다.
원가와 인건비까지 감안해도 3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값비싼 병원 밥은 억지로 먹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현장추적 이정민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종합병원입니다.
2인실 환자의 식사비는 한끼에 8800원, 한 달이면 80만원입니다.
⊙종합병원 입원 환자: 너무 비싸.
이게 (세 끼에) 3만원 한다고...
이 정도면 밖에 나가면 4천원쯤 하지, 4천원...
⊙기자: 다른 대학병원의 한 끼 식사비는 7500원, 원가가 얼마나 되는지 병원 급식 위탁업체에 물어봤습니다.
가장 비싼 낙지볶음이 500원 정도, 다른 반찬과 밥을 다 합쳐도 원가가 1800원선입니다.
6500원 하는 이 병원의 식사도 고등어조림이 440원 정도, 부대비를 합쳐도 1500원을 넘지 않습니다.
인건비를 고려한다고 해도 한 끼에 3500원에서 4000원이면 충분하다고 급식업체는 설명합니다.
⊙문선영(병원급식업체 푸드메디 영양사): 쇠고기를 국산으로 쓰고 그리고 야채 같은 경우나 이런 부분들을 최상급으로 썼을 때 한 2000원에서 한 2500원 정도로 저희는 만들 수가 있습니다.
⊙기자: 이에 대해 병원측은 밥값이 비싼 것은 인건비 때문이라는 입장입니다.
⊙병원 급식 관계자: 보이지 않는 인력이 상당히 많이 들어간다고 보셔야 해요.
그리고 아무래도 개인 병원보다는 대형 병원이 임금을 조금 더 줘야 하지 않나...
⊙기자: 하지만 병원측은 밥값의 원가와 인건비에 대해 정확한 내역을 공개하는 것은 거부했습니다.
반면 이 병원의 직원 식당 밥값은 2500원, 음식이 환자용과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값은 3분의 1에 불과합니다.
원가절감이 용이한 대형병원일수록 식대가 비싸서 환자들은 많게는 병원비의 절반에 이르는 밥값을 물고 있습니다.
더구나 입원하면 꼭 병원 밥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 대부분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또 이를 아는 환자들도 병원 눈치 때문에 꼬박꼬박 비싼 식대를 지불하고 있어 울며 겨자먹기식 환자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일부 대형병원, 환자 상대로 밥 장사?
-
- 입력 2005-07-04 21:18:1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서울의 대형 종합병원들이 환자에게 밥장사로 폭리를 취하고 있습니다.
원가와 인건비까지 감안해도 3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값비싼 병원 밥은 억지로 먹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현장추적 이정민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종합병원입니다.
2인실 환자의 식사비는 한끼에 8800원, 한 달이면 80만원입니다.
⊙종합병원 입원 환자: 너무 비싸.
이게 (세 끼에) 3만원 한다고...
이 정도면 밖에 나가면 4천원쯤 하지, 4천원...
⊙기자: 다른 대학병원의 한 끼 식사비는 7500원, 원가가 얼마나 되는지 병원 급식 위탁업체에 물어봤습니다.
가장 비싼 낙지볶음이 500원 정도, 다른 반찬과 밥을 다 합쳐도 원가가 1800원선입니다.
6500원 하는 이 병원의 식사도 고등어조림이 440원 정도, 부대비를 합쳐도 1500원을 넘지 않습니다.
인건비를 고려한다고 해도 한 끼에 3500원에서 4000원이면 충분하다고 급식업체는 설명합니다.
⊙문선영(병원급식업체 푸드메디 영양사): 쇠고기를 국산으로 쓰고 그리고 야채 같은 경우나 이런 부분들을 최상급으로 썼을 때 한 2000원에서 한 2500원 정도로 저희는 만들 수가 있습니다.
⊙기자: 이에 대해 병원측은 밥값이 비싼 것은 인건비 때문이라는 입장입니다.
⊙병원 급식 관계자: 보이지 않는 인력이 상당히 많이 들어간다고 보셔야 해요.
그리고 아무래도 개인 병원보다는 대형 병원이 임금을 조금 더 줘야 하지 않나...
⊙기자: 하지만 병원측은 밥값의 원가와 인건비에 대해 정확한 내역을 공개하는 것은 거부했습니다.
반면 이 병원의 직원 식당 밥값은 2500원, 음식이 환자용과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값은 3분의 1에 불과합니다.
원가절감이 용이한 대형병원일수록 식대가 비싸서 환자들은 많게는 병원비의 절반에 이르는 밥값을 물고 있습니다.
더구나 입원하면 꼭 병원 밥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 대부분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또 이를 아는 환자들도 병원 눈치 때문에 꼬박꼬박 비싼 식대를 지불하고 있어 울며 겨자먹기식 환자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이정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