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FDA, 코로나 백신 독감처럼 매년 1∼2회 접종 전환 제안
입력 2023.01.24 (08:49)
수정 2023.01.24 (08: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코로나19 백신을 독감 백신처럼 매년 1∼2회 접종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또 어떤 유형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할지 정례 평가 절차를 거쳐 예측해 백신 제조에 반영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FDA는 현지 시각으로 오는 26일 열리는 '백신 및 관련 생물학적 제품 자문위원회'에서 이런 제안을 논의토록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습니다.
FDA는 1·2차 접종과 부스터샷 등으로 복잡하게 돼 있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과 백신 성분을 유행 상황에 맞게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방안이 채택되면 일부 어린이, 노인, 면역이 저하된 사람 등은 1년에 2회, 다른 건강한 성인은 1년에 1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게 됩니다.
이와 같은 접종 절차 간소화를 통해 접종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FDA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래 유형과 오미크론 변종 양쪽을 겨냥해 개발된 화이자와 모더나의 '2가 백신'은 부스터 접종뿐만 아니라 최초 접종에도 쓸 수 있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또 어떤 유형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할지 정례 평가 절차를 거쳐 예측해 백신 제조에 반영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FDA는 현지 시각으로 오는 26일 열리는 '백신 및 관련 생물학적 제품 자문위원회'에서 이런 제안을 논의토록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습니다.
FDA는 1·2차 접종과 부스터샷 등으로 복잡하게 돼 있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과 백신 성분을 유행 상황에 맞게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방안이 채택되면 일부 어린이, 노인, 면역이 저하된 사람 등은 1년에 2회, 다른 건강한 성인은 1년에 1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게 됩니다.
이와 같은 접종 절차 간소화를 통해 접종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FDA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래 유형과 오미크론 변종 양쪽을 겨냥해 개발된 화이자와 모더나의 '2가 백신'은 부스터 접종뿐만 아니라 최초 접종에도 쓸 수 있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FDA, 코로나 백신 독감처럼 매년 1∼2회 접종 전환 제안
-
- 입력 2023-01-24 08:49:34
- 수정2023-01-24 08:51:13

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코로나19 백신을 독감 백신처럼 매년 1∼2회 접종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또 어떤 유형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할지 정례 평가 절차를 거쳐 예측해 백신 제조에 반영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FDA는 현지 시각으로 오는 26일 열리는 '백신 및 관련 생물학적 제품 자문위원회'에서 이런 제안을 논의토록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습니다.
FDA는 1·2차 접종과 부스터샷 등으로 복잡하게 돼 있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과 백신 성분을 유행 상황에 맞게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방안이 채택되면 일부 어린이, 노인, 면역이 저하된 사람 등은 1년에 2회, 다른 건강한 성인은 1년에 1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게 됩니다.
이와 같은 접종 절차 간소화를 통해 접종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FDA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래 유형과 오미크론 변종 양쪽을 겨냥해 개발된 화이자와 모더나의 '2가 백신'은 부스터 접종뿐만 아니라 최초 접종에도 쓸 수 있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또 어떤 유형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할지 정례 평가 절차를 거쳐 예측해 백신 제조에 반영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FDA는 현지 시각으로 오는 26일 열리는 '백신 및 관련 생물학적 제품 자문위원회'에서 이런 제안을 논의토록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습니다.
FDA는 1·2차 접종과 부스터샷 등으로 복잡하게 돼 있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과 백신 성분을 유행 상황에 맞게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방안이 채택되면 일부 어린이, 노인, 면역이 저하된 사람 등은 1년에 2회, 다른 건강한 성인은 1년에 1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게 됩니다.
이와 같은 접종 절차 간소화를 통해 접종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FDA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래 유형과 오미크론 변종 양쪽을 겨냥해 개발된 화이자와 모더나의 '2가 백신'은 부스터 접종뿐만 아니라 최초 접종에도 쓸 수 있게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