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감소에 타지 유출…인구감소 시대, ‘생활인구’ 늘려야

입력 2023.02.07 (10:48) 수정 2023.02.07 (11: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백 80만 명 선이 무너진 전북 인구에 위기감이 크지만, 기존 저출산 대책으로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는 어려운게 현실이죠.

근본적으로 새로운 대응 전략이 필요한데요.

인구 감소 시대,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지속가능한 지역을 만들겠다는 '생활인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종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천 백 명 남짓한 주민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있는 면입니다.

지난 2천21년 이곳에서 태어난 아이는 한 명도 없는데, 사망자는 41명입니다.

이렇게 10년 동안 5백20여 명이 줄었습니다.

다섯 명 중 한 명, 20퍼센트가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이곳 주민들의 평균 나이는 59.8세로 군산시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한재희/군산시 나포면 : "젊은 사람들이 없고 다 나이 드신 어르신들만 계시니까. 그리고 가구가 한 분씩만 사세요. 어르신들이. 돌아가시면 그 집은 또 빈집이 되고."]

전북 2백43개 읍,면,동에서 태어난 아이가 한 명도 없었던 면이 2천21년 1곳, 2천20년 2곳, 2천19년 6곳입니다.

전북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자연 감소가 시작된 건 2천16년.

2천21년에는 전주시에서도 태어난 아이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 14개 시·군 모두에서 자연 감소가 일어났습니다.

이 6년 동안 전북의 자연 감소 인구는 2만 8천5백여 명.

6년 동안 줄어든 전북 인구가 8만 3천 명가량이니까, 35퍼센트는 자연 감소, 65퍼센트는 사회적 유출로 인한 감소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도 2천19년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몰리기 때문에 비수도권 지역에서 주민등록 인구를 늘리는 건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인구감소 시대, 달라진 생활 방식과 늘어난 이동성을 반영하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구 개념이 필요해진 겁니다.

[김동영/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더 이상의 인구 증가가 없는 상황에서 인구 유입이 어렵다라고 하는 거고, 그렇다면 인구 증가를 하려는 이유가 지역의 사회적 활력과 경제적 활력을 높이려고 하는 건데, 그러면 이 두 가지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구 개념이 없을까라고 고민하다가…."]

올해부터 시행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서는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등록인구, 체류인구를 '생활인구'로 규정해 놓았습니다.

'체류인구'는 통근, 통학, 관광, 업무, 정기적 교류 등을 목적으로 지역을 방문해 체류하는 사람인데, 구체적인 기준을 시행령에 정해놓기 위해 현재 논의중입니다.

인구는 공공서비스 자원을 나누고 여러 행정적, 재정적 결정을 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사용합니다.

본격 시작된 인구 감소 시대에 적응하려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지역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새로운 인구 정책을 준비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종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연 감소에 타지 유출…인구감소 시대, ‘생활인구’ 늘려야
    • 입력 2023-02-07 10:48:45
    • 수정2023-02-07 11:06:14
    930뉴스(전주)
[앵커]

백 80만 명 선이 무너진 전북 인구에 위기감이 크지만, 기존 저출산 대책으로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는 어려운게 현실이죠.

근본적으로 새로운 대응 전략이 필요한데요.

인구 감소 시대,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지속가능한 지역을 만들겠다는 '생활인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종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천 백 명 남짓한 주민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있는 면입니다.

지난 2천21년 이곳에서 태어난 아이는 한 명도 없는데, 사망자는 41명입니다.

이렇게 10년 동안 5백20여 명이 줄었습니다.

다섯 명 중 한 명, 20퍼센트가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이곳 주민들의 평균 나이는 59.8세로 군산시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한재희/군산시 나포면 : "젊은 사람들이 없고 다 나이 드신 어르신들만 계시니까. 그리고 가구가 한 분씩만 사세요. 어르신들이. 돌아가시면 그 집은 또 빈집이 되고."]

전북 2백43개 읍,면,동에서 태어난 아이가 한 명도 없었던 면이 2천21년 1곳, 2천20년 2곳, 2천19년 6곳입니다.

전북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자연 감소가 시작된 건 2천16년.

2천21년에는 전주시에서도 태어난 아이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 14개 시·군 모두에서 자연 감소가 일어났습니다.

이 6년 동안 전북의 자연 감소 인구는 2만 8천5백여 명.

6년 동안 줄어든 전북 인구가 8만 3천 명가량이니까, 35퍼센트는 자연 감소, 65퍼센트는 사회적 유출로 인한 감소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도 2천19년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몰리기 때문에 비수도권 지역에서 주민등록 인구를 늘리는 건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인구감소 시대, 달라진 생활 방식과 늘어난 이동성을 반영하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구 개념이 필요해진 겁니다.

[김동영/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더 이상의 인구 증가가 없는 상황에서 인구 유입이 어렵다라고 하는 거고, 그렇다면 인구 증가를 하려는 이유가 지역의 사회적 활력과 경제적 활력을 높이려고 하는 건데, 그러면 이 두 가지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구 개념이 없을까라고 고민하다가…."]

올해부터 시행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서는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등록인구, 체류인구를 '생활인구'로 규정해 놓았습니다.

'체류인구'는 통근, 통학, 관광, 업무, 정기적 교류 등을 목적으로 지역을 방문해 체류하는 사람인데, 구체적인 기준을 시행령에 정해놓기 위해 현재 논의중입니다.

인구는 공공서비스 자원을 나누고 여러 행정적, 재정적 결정을 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사용합니다.

본격 시작된 인구 감소 시대에 적응하려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지역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새로운 인구 정책을 준비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종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