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 DJ 도청 몰랐나?
입력 2005.08.05 (20:32)
수정 2005.08.05 (2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 관심은 김대중, 김영삼 두 전직 대통령이 알고 있었는지 여기에 쏠리고 있습니다.
⊙앵커: 일단 두 사람 모두 불법도청은 모르는 사실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박전식 기자입니다.
⊙기자: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금지주문에도 국정원의 불법도청은 4년이나 더 지속됐습니다.
4명의 원장을 거치고 나서야 국정원이 도청을 중단한 사실을 놓고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청이 계속되자 김 전 대통령이 재차 중단을 명령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김 전 대통령은 국정원 지시 이후에도 수차례 도청금지를 언급했습니다.
⊙김대중(전 대통령): 불법적인 도, 감청은 일체 있어서는 안 됩니다.
합법적인 것도 최소한도로 줄여야 합니다.
⊙기자: 대통령에게 보고할 정치권 동향보고서를 강화하기 위해 국정원이 무리수를 뒀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 경우 김 전 대통령이 도청 사실까지는 몰랐다 해도 당시 실세들에게까지는 보고됐을 개연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도청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도 관심사입니다.
조사를 해 봤지만 증거를 못 찾았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아들 현철 씨의 인맥인 당시 안기부 대공실장 오정소 씨가 열쇠를 쥐고 있어 보입니다.
⊙국정원 관계자: 오(정소) 국장은 내가 다 안고 가겠다.
더 이상 묻지마라 하면서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기자: 평생을 도청과 사찰에 시달려온 두 전직 대통령이 오히려 도청의 주체로 언급되면서 정권의 도덕성에 커다란 타격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전식입니다.
⊙앵커: 일단 두 사람 모두 불법도청은 모르는 사실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박전식 기자입니다.
⊙기자: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금지주문에도 국정원의 불법도청은 4년이나 더 지속됐습니다.
4명의 원장을 거치고 나서야 국정원이 도청을 중단한 사실을 놓고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청이 계속되자 김 전 대통령이 재차 중단을 명령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김 전 대통령은 국정원 지시 이후에도 수차례 도청금지를 언급했습니다.
⊙김대중(전 대통령): 불법적인 도, 감청은 일체 있어서는 안 됩니다.
합법적인 것도 최소한도로 줄여야 합니다.
⊙기자: 대통령에게 보고할 정치권 동향보고서를 강화하기 위해 국정원이 무리수를 뒀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 경우 김 전 대통령이 도청 사실까지는 몰랐다 해도 당시 실세들에게까지는 보고됐을 개연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도청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도 관심사입니다.
조사를 해 봤지만 증거를 못 찾았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아들 현철 씨의 인맥인 당시 안기부 대공실장 오정소 씨가 열쇠를 쥐고 있어 보입니다.
⊙국정원 관계자: 오(정소) 국장은 내가 다 안고 가겠다.
더 이상 묻지마라 하면서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기자: 평생을 도청과 사찰에 시달려온 두 전직 대통령이 오히려 도청의 주체로 언급되면서 정권의 도덕성에 커다란 타격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전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YS · DJ 도청 몰랐나?
-
- 입력 2005-08-05 20:04:43
- 수정2005-08-05 20:59:12

⊙앵커: 이제 관심은 김대중, 김영삼 두 전직 대통령이 알고 있었는지 여기에 쏠리고 있습니다.
⊙앵커: 일단 두 사람 모두 불법도청은 모르는 사실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박전식 기자입니다.
⊙기자: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금지주문에도 국정원의 불법도청은 4년이나 더 지속됐습니다.
4명의 원장을 거치고 나서야 국정원이 도청을 중단한 사실을 놓고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청이 계속되자 김 전 대통령이 재차 중단을 명령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김 전 대통령은 국정원 지시 이후에도 수차례 도청금지를 언급했습니다.
⊙김대중(전 대통령): 불법적인 도, 감청은 일체 있어서는 안 됩니다.
합법적인 것도 최소한도로 줄여야 합니다.
⊙기자: 대통령에게 보고할 정치권 동향보고서를 강화하기 위해 국정원이 무리수를 뒀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 경우 김 전 대통령이 도청 사실까지는 몰랐다 해도 당시 실세들에게까지는 보고됐을 개연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도청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도 관심사입니다.
조사를 해 봤지만 증거를 못 찾았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아들 현철 씨의 인맥인 당시 안기부 대공실장 오정소 씨가 열쇠를 쥐고 있어 보입니다.
⊙국정원 관계자: 오(정소) 국장은 내가 다 안고 가겠다.
더 이상 묻지마라 하면서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기자: 평생을 도청과 사찰에 시달려온 두 전직 대통령이 오히려 도청의 주체로 언급되면서 정권의 도덕성에 커다란 타격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전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