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선 넘는 미분양 물량…정부 매입 놓고 시끌?

입력 2023.02.15 (19:11) 수정 2023.02.16 (0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주택시장 문제를 취재한 이용순 경제팀장과 좀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주택시장에 작용하는 변수가 다양하겠지만,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뭐라고 봐야 할까요?

[기자]

아무래도 물가가 아닐까 싶습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반대로 본다면 물가가 떨어지면 기준금리는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통계청이 밝힌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2%였는데요.

어제 나온 미국의 1월 소비자 물가지수를 보니까, 1년 전보다 6.4% 올랐습니다.

그러자, 미국의 물가 둔화 속도가 더딘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면서 당장 미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만약,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더 올리면, 한국은행에서도 이에 연동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여지가 더 커진다고 봐야겠습니다.

신규 분양시장이나 주택 매매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게 대출 금리이기 때문에, 다들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부동산 시장의 키워드로 '미분양'을 꼽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지난해 우리 지역 분양 물량 가운데 미분양 물량은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일단 세종은 미분양 주택이 6가구밖에 되지 않으니까 논외로 하고요.

지난 1년 동안에 미분양 주택이 얼마나 더 늘었는가를 봤더니, 대전은 2천7백 가구, 충남은 7천4백 가구가 늘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분양된 아파트를 보면 대전 만 2천 가구, 충남 만 9천 가구입니다.

그러니까, 이를 단순 계산하면 대전 미분양 비율은 22%, 충남 미분양 비율은 38%입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분양시장에 찬바람이 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지난해 하반기 분양한 단지에서는 미분양 규모가 더 클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대전과 충남 상황 짚어주셨는데 세종 주택 시장도 들여다 보죠.

지난해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세종의 아파트 가격 하락 폭이 전국에서 가장 컸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6.5% 떨어졌는데요.

올해 분양 물량은 얼마나 되나요?

[기자]

세종시가 아파트 분양 정보를 시청 홈페이지에 올리는데요.

세종 신도심 분양 정보를 찾아왔더니, 올해 1,599가구가 분양 물량으로 잡혀 있습니다.

단지별로 보면, 6곳인데요.

이 중에서 사업 주체가 명시돼 있는 것은 딱 1곳이고, 나머지 5곳은 미정으로 돼 있습니다.

또 분양 시기도 올해 하반기로만 적혀 있습니다.

세종 신도심의 경우 민간 건설사가 LH로부터 택지를 공급받은 후에 분양 일정을 짠다는 점에서, 분양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건설사들이 택지를 선뜻 매입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세종 주택가격 하락 폭이 커지면서 실제 분양 물량이 천7백 가구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올해 주택시장이 반등하지 않을 경우 세종 신규 분양 물량이 늘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앵커]

현재 주택시장의 가장 큰 관심사, 건설사 미분양 물량을 과연 정부가 사줘야 하느냐인데요,

여론은 썩 좋지 않습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정부가 사줘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의견 내지는 주장은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는 건설업계가 던질 수 있는 마지막 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분양 주택이라는 게 시장에서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아서 안 팔리고 남은 재고 상품인데, 건설업계의 논리는 정부에서도 주택 임대 정책을 펴니까 이왕이면 미분양 주택을 다소 싼 값에 사들이면 서로 좋은 것 아니냐 하는 건데요.

주택도시기금 잔액이 47조 원쯤 되니까 정부가 마음만 먹는다면 상당히 많은 미분양 물량을 매입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집값이 더 내려가기를 기다리고 있는 매수 대기자들로서는 강력히 반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 원희룡 장관도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는데요,

이건, 주택 보유자와 매수 대기자, 건설사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의견을 정리해서 정부 입장을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이용순 경제팀장과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주택 시장 전반을 두루 살펴 봤습니다.

이 팀장, 수고하셨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선 넘는 미분양 물량…정부 매입 놓고 시끌?
    • 입력 2023-02-15 19:11:43
    • 수정2023-02-16 01:41:55
    뉴스7(대전)
[앵커]

앞서 보신 주택시장 문제를 취재한 이용순 경제팀장과 좀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주택시장에 작용하는 변수가 다양하겠지만,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뭐라고 봐야 할까요?

[기자]

아무래도 물가가 아닐까 싶습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반대로 본다면 물가가 떨어지면 기준금리는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통계청이 밝힌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2%였는데요.

어제 나온 미국의 1월 소비자 물가지수를 보니까, 1년 전보다 6.4% 올랐습니다.

그러자, 미국의 물가 둔화 속도가 더딘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면서 당장 미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만약,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더 올리면, 한국은행에서도 이에 연동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여지가 더 커진다고 봐야겠습니다.

신규 분양시장이나 주택 매매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게 대출 금리이기 때문에, 다들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부동산 시장의 키워드로 '미분양'을 꼽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지난해 우리 지역 분양 물량 가운데 미분양 물량은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일단 세종은 미분양 주택이 6가구밖에 되지 않으니까 논외로 하고요.

지난 1년 동안에 미분양 주택이 얼마나 더 늘었는가를 봤더니, 대전은 2천7백 가구, 충남은 7천4백 가구가 늘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분양된 아파트를 보면 대전 만 2천 가구, 충남 만 9천 가구입니다.

그러니까, 이를 단순 계산하면 대전 미분양 비율은 22%, 충남 미분양 비율은 38%입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분양시장에 찬바람이 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지난해 하반기 분양한 단지에서는 미분양 규모가 더 클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대전과 충남 상황 짚어주셨는데 세종 주택 시장도 들여다 보죠.

지난해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세종의 아파트 가격 하락 폭이 전국에서 가장 컸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6.5% 떨어졌는데요.

올해 분양 물량은 얼마나 되나요?

[기자]

세종시가 아파트 분양 정보를 시청 홈페이지에 올리는데요.

세종 신도심 분양 정보를 찾아왔더니, 올해 1,599가구가 분양 물량으로 잡혀 있습니다.

단지별로 보면, 6곳인데요.

이 중에서 사업 주체가 명시돼 있는 것은 딱 1곳이고, 나머지 5곳은 미정으로 돼 있습니다.

또 분양 시기도 올해 하반기로만 적혀 있습니다.

세종 신도심의 경우 민간 건설사가 LH로부터 택지를 공급받은 후에 분양 일정을 짠다는 점에서, 분양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건설사들이 택지를 선뜻 매입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세종 주택가격 하락 폭이 커지면서 실제 분양 물량이 천7백 가구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올해 주택시장이 반등하지 않을 경우 세종 신규 분양 물량이 늘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앵커]

현재 주택시장의 가장 큰 관심사, 건설사 미분양 물량을 과연 정부가 사줘야 하느냐인데요,

여론은 썩 좋지 않습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정부가 사줘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의견 내지는 주장은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는 건설업계가 던질 수 있는 마지막 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분양 주택이라는 게 시장에서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아서 안 팔리고 남은 재고 상품인데, 건설업계의 논리는 정부에서도 주택 임대 정책을 펴니까 이왕이면 미분양 주택을 다소 싼 값에 사들이면 서로 좋은 것 아니냐 하는 건데요.

주택도시기금 잔액이 47조 원쯤 되니까 정부가 마음만 먹는다면 상당히 많은 미분양 물량을 매입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집값이 더 내려가기를 기다리고 있는 매수 대기자들로서는 강력히 반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 원희룡 장관도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는데요,

이건, 주택 보유자와 매수 대기자, 건설사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의견을 정리해서 정부 입장을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이용순 경제팀장과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주택 시장 전반을 두루 살펴 봤습니다.

이 팀장, 수고하셨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