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연간 1천억 원 투입…제주 버스준공영제 개선 어떻게?
입력 2023.02.20 (19:23)
수정 2023.02.20 (2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5년 동안 버스준공영제에 한해 천억 원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죠,
하지만, 도민들의 만족도는 낮고 이용자 수도 정체되고 있는데요,
최근 제주도가 용역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버스준공영제 개선에 나섰습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상헌 제주도 교통항공국장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지난해 제주도가 의뢰한 버스준공영제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는데요.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전해주신다면?
[앵커]
이 같은 운영 평가를 바탕으로 버스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했죠.
권역별 설명회를 진행하고 계신데, 우선 개선방안에서 눈에 띄는 게 시내 급행 버스 노선 신설인데요?
[앵커]
도심 급행 버스가 신설되면 소요 시간이 어느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되나요?
[앵커]
또 하나 관심을 모은 것이 DRT, 즉 탄력노선형 버스 도입입니다.
대부분 도민들이 처음 들어보셨을텐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버스 노선 운영과 관련해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요,
개선안을 통해 어떻게 노선에 변화를 줄 계획입니까?
[앵커]
출퇴근, 통학 시간대에는 이용자가 몰려서 버스 타기가 힘들잖아요,
이를 위한 개선 방안도 마련했다고 들었습니다.
맞춤형버스라는 용어도 사용했던데요?
[앵커]
버스준공영제가 버스 회사 배만 불린다는 비판도 많이 나왔죠,
도내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높고, 버스 보유 대수당 재정지원금도 1억 원을 훌쩍 넘어 전국에서 가장 높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
이 같은 개선 방안이 재정 부담 완화에 얼마큼 효과가 있을지, 이용자 만족도는 높일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앵커]
개선방안을 지역 주민에게 알리는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죠,
준공영제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을 당시 주민 참여가 저조했는데요?
[앵커]
지난주 두 차례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을 방문했는데 현장에서 주민들의 반응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개선 방안 외에 어떤 요구들이 나왔습니까?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고요,
앞으로 다듬어질 준공영제 개선방안에 대해 저희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지난 5년 동안 버스준공영제에 한해 천억 원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죠,
하지만, 도민들의 만족도는 낮고 이용자 수도 정체되고 있는데요,
최근 제주도가 용역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버스준공영제 개선에 나섰습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상헌 제주도 교통항공국장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지난해 제주도가 의뢰한 버스준공영제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는데요.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전해주신다면?
[앵커]
이 같은 운영 평가를 바탕으로 버스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했죠.
권역별 설명회를 진행하고 계신데, 우선 개선방안에서 눈에 띄는 게 시내 급행 버스 노선 신설인데요?
[앵커]
도심 급행 버스가 신설되면 소요 시간이 어느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되나요?
[앵커]
또 하나 관심을 모은 것이 DRT, 즉 탄력노선형 버스 도입입니다.
대부분 도민들이 처음 들어보셨을텐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버스 노선 운영과 관련해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요,
개선안을 통해 어떻게 노선에 변화를 줄 계획입니까?
[앵커]
출퇴근, 통학 시간대에는 이용자가 몰려서 버스 타기가 힘들잖아요,
이를 위한 개선 방안도 마련했다고 들었습니다.
맞춤형버스라는 용어도 사용했던데요?
[앵커]
버스준공영제가 버스 회사 배만 불린다는 비판도 많이 나왔죠,
도내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높고, 버스 보유 대수당 재정지원금도 1억 원을 훌쩍 넘어 전국에서 가장 높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
이 같은 개선 방안이 재정 부담 완화에 얼마큼 효과가 있을지, 이용자 만족도는 높일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앵커]
개선방안을 지역 주민에게 알리는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죠,
준공영제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을 당시 주민 참여가 저조했는데요?
[앵커]
지난주 두 차례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을 방문했는데 현장에서 주민들의 반응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개선 방안 외에 어떤 요구들이 나왔습니까?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고요,
앞으로 다듬어질 준공영제 개선방안에 대해 저희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연간 1천억 원 투입…제주 버스준공영제 개선 어떻게?
-
- 입력 2023-02-20 19:23:15
- 수정2023-02-20 20:18:32

[앵커]
지난 5년 동안 버스준공영제에 한해 천억 원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죠,
하지만, 도민들의 만족도는 낮고 이용자 수도 정체되고 있는데요,
최근 제주도가 용역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버스준공영제 개선에 나섰습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상헌 제주도 교통항공국장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지난해 제주도가 의뢰한 버스준공영제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는데요.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전해주신다면?
[앵커]
이 같은 운영 평가를 바탕으로 버스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했죠.
권역별 설명회를 진행하고 계신데, 우선 개선방안에서 눈에 띄는 게 시내 급행 버스 노선 신설인데요?
[앵커]
도심 급행 버스가 신설되면 소요 시간이 어느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되나요?
[앵커]
또 하나 관심을 모은 것이 DRT, 즉 탄력노선형 버스 도입입니다.
대부분 도민들이 처음 들어보셨을텐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버스 노선 운영과 관련해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요,
개선안을 통해 어떻게 노선에 변화를 줄 계획입니까?
[앵커]
출퇴근, 통학 시간대에는 이용자가 몰려서 버스 타기가 힘들잖아요,
이를 위한 개선 방안도 마련했다고 들었습니다.
맞춤형버스라는 용어도 사용했던데요?
[앵커]
버스준공영제가 버스 회사 배만 불린다는 비판도 많이 나왔죠,
도내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높고, 버스 보유 대수당 재정지원금도 1억 원을 훌쩍 넘어 전국에서 가장 높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
이 같은 개선 방안이 재정 부담 완화에 얼마큼 효과가 있을지, 이용자 만족도는 높일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앵커]
개선방안을 지역 주민에게 알리는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죠,
준공영제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을 당시 주민 참여가 저조했는데요?
[앵커]
지난주 두 차례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을 방문했는데 현장에서 주민들의 반응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개선 방안 외에 어떤 요구들이 나왔습니까?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고요,
앞으로 다듬어질 준공영제 개선방안에 대해 저희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지난 5년 동안 버스준공영제에 한해 천억 원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죠,
하지만, 도민들의 만족도는 낮고 이용자 수도 정체되고 있는데요,
최근 제주도가 용역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버스준공영제 개선에 나섰습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상헌 제주도 교통항공국장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지난해 제주도가 의뢰한 버스준공영제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는데요.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전해주신다면?
[앵커]
이 같은 운영 평가를 바탕으로 버스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했죠.
권역별 설명회를 진행하고 계신데, 우선 개선방안에서 눈에 띄는 게 시내 급행 버스 노선 신설인데요?
[앵커]
도심 급행 버스가 신설되면 소요 시간이 어느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되나요?
[앵커]
또 하나 관심을 모은 것이 DRT, 즉 탄력노선형 버스 도입입니다.
대부분 도민들이 처음 들어보셨을텐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버스 노선 운영과 관련해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요,
개선안을 통해 어떻게 노선에 변화를 줄 계획입니까?
[앵커]
출퇴근, 통학 시간대에는 이용자가 몰려서 버스 타기가 힘들잖아요,
이를 위한 개선 방안도 마련했다고 들었습니다.
맞춤형버스라는 용어도 사용했던데요?
[앵커]
버스준공영제가 버스 회사 배만 불린다는 비판도 많이 나왔죠,
도내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높고, 버스 보유 대수당 재정지원금도 1억 원을 훌쩍 넘어 전국에서 가장 높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
이 같은 개선 방안이 재정 부담 완화에 얼마큼 효과가 있을지, 이용자 만족도는 높일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앵커]
개선방안을 지역 주민에게 알리는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죠,
준공영제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을 당시 주민 참여가 저조했는데요?
[앵커]
지난주 두 차례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을 방문했는데 현장에서 주민들의 반응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개선 방안 외에 어떤 요구들이 나왔습니까?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고요,
앞으로 다듬어질 준공영제 개선방안에 대해 저희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