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직후 책임 회피 공모…“흐지부지 전략, 시간끌기”
입력 2023.02.23 (21:42)
수정 2023.02.23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정보보고서 삭제 지시 혐의를 받는 경찰 정보라인 관계자들이 참사 수습 과정에서 경찰의 책임을 덜어내기 위해 조직적으로 공모한 정황이 검찰 수사로 확인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실이 확보한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과 김진호 전 용산서 정보과장의 추가 공소장에는 “사고에 대한 경찰의 책임이 없다는 취지의 여론 형성을 시도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참사 직후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는 취지로 설명했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장관의 발언을 두고 “현재 경찰에 부여된 권한이나 제도로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두고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는 박 전 부장에게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과 장관실에 의견을 전달한 결과”라며 “불똥은 면하게 됐다”는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어 박 부장은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에게 “끝부분. 앞으로 보완하겠단 내용이 찜찜하네. 축제, 행사의 안전유지 책임을 경찰에 맡기는 입법이 이뤄질까 봐”라고 말했고, 경비국 관계자는 “흐지부지 전략, 시간 끌기로”라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소장에는 또 “박 전 부장이 이태원 참사를 기회 삼아 경찰청에 안전관리본부를 신설해 경찰이 추가로 인원과 예산, 행정 권한을 인수함으로써, 조직과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당시 서울청 정보분석과장에게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시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참사 관련 보고서를 숨긴 정황도 드러났는데, 박 전 부장은 국회 자료 제출 요구에 ‘2022년 이태원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1건만 있다’는 취지로 설명하며 나머지 3건의 정보보고서를 은폐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실제 경찰은 핼러윈데이 관련 작성 자료 일체를 국회에서 요청하자, 각 의원실에 방문해 ‘2022년도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한 보고서로는 1건만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서울서부지검은 지난 8일 증거인멸교사죄와 공용전자기록 등 손상교사죄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을 추가 기소했습니다.
이들은 경찰 수사에서 용산경찰서 정보과 직원이 작성한 핼러윈데이 대응 보고서 1건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가 확인돼 재판에 넘겨졌는데, 검찰 보완수사에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이 핼러윈데이 대응 관련 보고서 3건을 추가로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가 드러났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실이 확보한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과 김진호 전 용산서 정보과장의 추가 공소장에는 “사고에 대한 경찰의 책임이 없다는 취지의 여론 형성을 시도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참사 직후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는 취지로 설명했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장관의 발언을 두고 “현재 경찰에 부여된 권한이나 제도로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두고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는 박 전 부장에게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과 장관실에 의견을 전달한 결과”라며 “불똥은 면하게 됐다”는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어 박 부장은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에게 “끝부분. 앞으로 보완하겠단 내용이 찜찜하네. 축제, 행사의 안전유지 책임을 경찰에 맡기는 입법이 이뤄질까 봐”라고 말했고, 경비국 관계자는 “흐지부지 전략, 시간 끌기로”라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소장에는 또 “박 전 부장이 이태원 참사를 기회 삼아 경찰청에 안전관리본부를 신설해 경찰이 추가로 인원과 예산, 행정 권한을 인수함으로써, 조직과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당시 서울청 정보분석과장에게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시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참사 관련 보고서를 숨긴 정황도 드러났는데, 박 전 부장은 국회 자료 제출 요구에 ‘2022년 이태원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1건만 있다’는 취지로 설명하며 나머지 3건의 정보보고서를 은폐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실제 경찰은 핼러윈데이 관련 작성 자료 일체를 국회에서 요청하자, 각 의원실에 방문해 ‘2022년도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한 보고서로는 1건만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서울서부지검은 지난 8일 증거인멸교사죄와 공용전자기록 등 손상교사죄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을 추가 기소했습니다.
이들은 경찰 수사에서 용산경찰서 정보과 직원이 작성한 핼러윈데이 대응 보고서 1건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가 확인돼 재판에 넘겨졌는데, 검찰 보완수사에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이 핼러윈데이 대응 관련 보고서 3건을 추가로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가 드러났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참사 직후 책임 회피 공모…“흐지부지 전략, 시간끌기”
-
- 입력 2023-02-23 21:42:29
- 수정2023-02-23 22:25:33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정보보고서 삭제 지시 혐의를 받는 경찰 정보라인 관계자들이 참사 수습 과정에서 경찰의 책임을 덜어내기 위해 조직적으로 공모한 정황이 검찰 수사로 확인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실이 확보한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과 김진호 전 용산서 정보과장의 추가 공소장에는 “사고에 대한 경찰의 책임이 없다는 취지의 여론 형성을 시도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참사 직후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는 취지로 설명했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장관의 발언을 두고 “현재 경찰에 부여된 권한이나 제도로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두고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는 박 전 부장에게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과 장관실에 의견을 전달한 결과”라며 “불똥은 면하게 됐다”는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어 박 부장은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에게 “끝부분. 앞으로 보완하겠단 내용이 찜찜하네. 축제, 행사의 안전유지 책임을 경찰에 맡기는 입법이 이뤄질까 봐”라고 말했고, 경비국 관계자는 “흐지부지 전략, 시간 끌기로”라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소장에는 또 “박 전 부장이 이태원 참사를 기회 삼아 경찰청에 안전관리본부를 신설해 경찰이 추가로 인원과 예산, 행정 권한을 인수함으로써, 조직과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당시 서울청 정보분석과장에게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시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참사 관련 보고서를 숨긴 정황도 드러났는데, 박 전 부장은 국회 자료 제출 요구에 ‘2022년 이태원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1건만 있다’는 취지로 설명하며 나머지 3건의 정보보고서를 은폐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실제 경찰은 핼러윈데이 관련 작성 자료 일체를 국회에서 요청하자, 각 의원실에 방문해 ‘2022년도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한 보고서로는 1건만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서울서부지검은 지난 8일 증거인멸교사죄와 공용전자기록 등 손상교사죄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을 추가 기소했습니다.
이들은 경찰 수사에서 용산경찰서 정보과 직원이 작성한 핼러윈데이 대응 보고서 1건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가 확인돼 재판에 넘겨졌는데, 검찰 보완수사에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이 핼러윈데이 대응 관련 보고서 3건을 추가로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가 드러났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실이 확보한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과 김진호 전 용산서 정보과장의 추가 공소장에는 “사고에 대한 경찰의 책임이 없다는 취지의 여론 형성을 시도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참사 직후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는 취지로 설명했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장관의 발언을 두고 “현재 경찰에 부여된 권한이나 제도로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두고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는 박 전 부장에게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과 장관실에 의견을 전달한 결과”라며 “불똥은 면하게 됐다”는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어 박 부장은 경찰청 경비국 관계자에게 “끝부분. 앞으로 보완하겠단 내용이 찜찜하네. 축제, 행사의 안전유지 책임을 경찰에 맡기는 입법이 이뤄질까 봐”라고 말했고, 경비국 관계자는 “흐지부지 전략, 시간 끌기로”라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소장에는 또 “박 전 부장이 이태원 참사를 기회 삼아 경찰청에 안전관리본부를 신설해 경찰이 추가로 인원과 예산, 행정 권한을 인수함으로써, 조직과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당시 서울청 정보분석과장에게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시했다”고 적시됐습니다.
참사 관련 보고서를 숨긴 정황도 드러났는데, 박 전 부장은 국회 자료 제출 요구에 ‘2022년 이태원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1건만 있다’는 취지로 설명하며 나머지 3건의 정보보고서를 은폐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실제 경찰은 핼러윈데이 관련 작성 자료 일체를 국회에서 요청하자, 각 의원실에 방문해 ‘2022년도 핼러윈데이와 관련해 용산서에서 작성한 보고서로는 1건만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서울서부지검은 지난 8일 증거인멸교사죄와 공용전자기록 등 손상교사죄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을 추가 기소했습니다.
이들은 경찰 수사에서 용산경찰서 정보과 직원이 작성한 핼러윈데이 대응 보고서 1건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가 확인돼 재판에 넘겨졌는데, 검찰 보완수사에서 박 전 부장과 김 전 과장이 핼러윈데이 대응 관련 보고서 3건을 추가로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가 드러났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윤우 기자 yw@kbs.co.kr
이윤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태원 참사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