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타오른 횃불…4년 만에 열린 ‘아우내 봉화제’

입력 2023.02.28 (21:51) 수정 2023.02.28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내일(1일) 삼일절을 앞두고 유관순 열사의 고향 충남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는 당시의 함성을 재현하는 봉화제가 열렸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4년 만에 열린 오늘 행사에는 2천명 넘는 시민들이 모여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습니다.

최선중 기잡니다.

[리포트]

["대한독립 만세."]

백여 개의 횃불과 천여 개의 LED 등이 밤하늘을 훤히 밝혔습니다.

아우내 장터 곳곳으로 대한독립 만세의 함성이 울려 퍼집니다.

대형 태극기를 앞세운 행렬이 유관순 열사 생가와 아우내 장터 사이를 가득 채웠습니다.

104년 전 유관순 열사가 이끌었던 아우내 만세운동 열기 그대롭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축소되거나 중단됐다가 4년 만에 열린 봉화제에는 시민 2천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양동혁/천안 불무초 5학년 : "일제 강점기 시대 3월 1일날, 유관순 누나와 다른 사람들이 독립운동했던 기분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번 아우내 봉화제는 104년 전과 마찬가지로 매봉산 봉화에 불이 붙으면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이 봉화를 신호로 경기도 안성과 충북 충주 등 24곳으로 만세운동이 들불처럼 퍼져나갔습니다.

비폭력 운동이었지만 아우내 만세운동에 참여했던 주민 19명이 현장에서 무참히 숨졌고 유관순 열사도 일본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박상돈/천안시장 : "104년 전 매봉산에서 피어오른 봉화처럼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널리 알려서…."]

유관순 열사의 뜻을 기리는 독립의 횃불이 4년 만에 다시 타오르면서 목숨을 걸고 일제에 분연히 맞섰던 많은 선열의 애국혼이 다시금 숭고하게 다가옵니다.

KBS 뉴스 최선중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시 타오른 횃불…4년 만에 열린 ‘아우내 봉화제’
    • 입력 2023-02-28 21:51:13
    • 수정2023-02-28 21:56:48
    뉴스 9
[앵커]

내일(1일) 삼일절을 앞두고 유관순 열사의 고향 충남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는 당시의 함성을 재현하는 봉화제가 열렸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4년 만에 열린 오늘 행사에는 2천명 넘는 시민들이 모여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습니다.

최선중 기잡니다.

[리포트]

["대한독립 만세."]

백여 개의 횃불과 천여 개의 LED 등이 밤하늘을 훤히 밝혔습니다.

아우내 장터 곳곳으로 대한독립 만세의 함성이 울려 퍼집니다.

대형 태극기를 앞세운 행렬이 유관순 열사 생가와 아우내 장터 사이를 가득 채웠습니다.

104년 전 유관순 열사가 이끌었던 아우내 만세운동 열기 그대롭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축소되거나 중단됐다가 4년 만에 열린 봉화제에는 시민 2천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양동혁/천안 불무초 5학년 : "일제 강점기 시대 3월 1일날, 유관순 누나와 다른 사람들이 독립운동했던 기분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번 아우내 봉화제는 104년 전과 마찬가지로 매봉산 봉화에 불이 붙으면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이 봉화를 신호로 경기도 안성과 충북 충주 등 24곳으로 만세운동이 들불처럼 퍼져나갔습니다.

비폭력 운동이었지만 아우내 만세운동에 참여했던 주민 19명이 현장에서 무참히 숨졌고 유관순 열사도 일본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박상돈/천안시장 : "104년 전 매봉산에서 피어오른 봉화처럼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널리 알려서…."]

유관순 열사의 뜻을 기리는 독립의 횃불이 4년 만에 다시 타오르면서 목숨을 걸고 일제에 분연히 맞섰던 많은 선열의 애국혼이 다시금 숭고하게 다가옵니다.

KBS 뉴스 최선중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