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관리자 비중’ 16.3%…OECD 최하위 수준
입력 2023.03.08 (10:48)
수정 2023.03.08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여성 관리자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관리자 비중’은 16.3%로, 관련 수치가 있는 OECD 36개 회원국 중 35위였습니다. 최하위는 13.2%인 일본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중’은 기업 임원과 정부 고위 공무원, 국회의원, 대학 총장, 학교장 등 관리직 취업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킵니다.
라트비아가 45.9%로 1위였고 스웨덴(43.0%), 폴란드(43.0%), 미국(41.4%), 에스토니아(41.2%), 코스타리카(4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 비중은 33.7%로, 우리나라의 두 배가 넘습니다.
한국의 ‘여성 관리자 비중’은 2016년 9.8%에서 2017년 12.3%, 2018년 14.5%, 2019년 15.4%, 2020년 15.6%, 2021년 16.3%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OECD 회원국이 아닌 브라질(38.7%), 인도네시아(32.4%), 남아프리카공화국(31.6%)보다도 낮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관리자 비중’은 16.3%로, 관련 수치가 있는 OECD 36개 회원국 중 35위였습니다. 최하위는 13.2%인 일본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중’은 기업 임원과 정부 고위 공무원, 국회의원, 대학 총장, 학교장 등 관리직 취업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킵니다.
라트비아가 45.9%로 1위였고 스웨덴(43.0%), 폴란드(43.0%), 미국(41.4%), 에스토니아(41.2%), 코스타리카(4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 비중은 33.7%로, 우리나라의 두 배가 넘습니다.
한국의 ‘여성 관리자 비중’은 2016년 9.8%에서 2017년 12.3%, 2018년 14.5%, 2019년 15.4%, 2020년 15.6%, 2021년 16.3%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OECD 회원국이 아닌 브라질(38.7%), 인도네시아(32.4%), 남아프리카공화국(31.6%)보다도 낮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여성 관리자 비중’ 16.3%…OECD 최하위 수준
-
- 입력 2023-03-08 10:48:24
- 수정2023-03-08 11:03:30

한국의 ‘여성 관리자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관리자 비중’은 16.3%로, 관련 수치가 있는 OECD 36개 회원국 중 35위였습니다. 최하위는 13.2%인 일본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중’은 기업 임원과 정부 고위 공무원, 국회의원, 대학 총장, 학교장 등 관리직 취업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킵니다.
라트비아가 45.9%로 1위였고 스웨덴(43.0%), 폴란드(43.0%), 미국(41.4%), 에스토니아(41.2%), 코스타리카(4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 비중은 33.7%로, 우리나라의 두 배가 넘습니다.
한국의 ‘여성 관리자 비중’은 2016년 9.8%에서 2017년 12.3%, 2018년 14.5%, 2019년 15.4%, 2020년 15.6%, 2021년 16.3%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OECD 회원국이 아닌 브라질(38.7%), 인도네시아(32.4%), 남아프리카공화국(31.6%)보다도 낮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관리자 비중’은 16.3%로, 관련 수치가 있는 OECD 36개 회원국 중 35위였습니다. 최하위는 13.2%인 일본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중’은 기업 임원과 정부 고위 공무원, 국회의원, 대학 총장, 학교장 등 관리직 취업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킵니다.
라트비아가 45.9%로 1위였고 스웨덴(43.0%), 폴란드(43.0%), 미국(41.4%), 에스토니아(41.2%), 코스타리카(4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 비중은 33.7%로, 우리나라의 두 배가 넘습니다.
한국의 ‘여성 관리자 비중’은 2016년 9.8%에서 2017년 12.3%, 2018년 14.5%, 2019년 15.4%, 2020년 15.6%, 2021년 16.3%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OECD 회원국이 아닌 브라질(38.7%), 인도네시아(32.4%), 남아프리카공화국(31.6%)보다도 낮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