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 1조 원 넘어…‘역대 최고 수준’
입력 2023.03.23 (12:00)
수정 2023.03.23 (1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적발한 보험사기 금액이 1조 원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금감원은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1조 81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4.7% 증가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적발 인원은 10만 2,679명으로 1년 전보다 5,050명, 5.2% 증가했습니다. 1인당 평균 적발금액은 1,050만 원으로 고액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형별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로 가장 많았고, 이어 허위사고 17.7%, 고의사고 14.4% 순이었습니다.
특히 사고내용 조작 유형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진단서 위변조, 입원 수술비 과다청구 유형이 1년 전(1,835억 원)보다 633억 원, 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적발 비중이 24%로 가장 많았고, 최근에는 60대 이상의 고령층 보험사기 비중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최근 증가하던 10·20대의 비중은 2021년 21%에서 지난해 17.3%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1조 237억 원으로 전체의 94.6%를 차지했고, 생명보험 적발금액은 581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허위 입원·진단 등 상해·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크게 늘면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로 인한 공영·민영보험의 재정 누수 등 국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당국과 건보공단, 심평원 등 관계 기관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와 적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일상생활에서 보험사기 제안을 받거나 의심사례를 알게 된 경우 금감원 또는 보험사 보험사기신고센터에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금융감독원 제공]
금감원은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1조 81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4.7% 증가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적발 인원은 10만 2,679명으로 1년 전보다 5,050명, 5.2% 증가했습니다. 1인당 평균 적발금액은 1,050만 원으로 고액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형별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로 가장 많았고, 이어 허위사고 17.7%, 고의사고 14.4% 순이었습니다.
특히 사고내용 조작 유형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진단서 위변조, 입원 수술비 과다청구 유형이 1년 전(1,835억 원)보다 633억 원, 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적발 비중이 24%로 가장 많았고, 최근에는 60대 이상의 고령층 보험사기 비중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최근 증가하던 10·20대의 비중은 2021년 21%에서 지난해 17.3%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1조 237억 원으로 전체의 94.6%를 차지했고, 생명보험 적발금액은 581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허위 입원·진단 등 상해·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크게 늘면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로 인한 공영·민영보험의 재정 누수 등 국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당국과 건보공단, 심평원 등 관계 기관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와 적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일상생활에서 보험사기 제안을 받거나 의심사례를 알게 된 경우 금감원 또는 보험사 보험사기신고센터에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금융감독원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 1조 원 넘어…‘역대 최고 수준’
-
- 입력 2023-03-23 12:00:25
- 수정2023-03-23 12:38:23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적발한 보험사기 금액이 1조 원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금감원은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1조 81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4.7% 증가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적발 인원은 10만 2,679명으로 1년 전보다 5,050명, 5.2% 증가했습니다. 1인당 평균 적발금액은 1,050만 원으로 고액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형별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로 가장 많았고, 이어 허위사고 17.7%, 고의사고 14.4% 순이었습니다.
특히 사고내용 조작 유형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진단서 위변조, 입원 수술비 과다청구 유형이 1년 전(1,835억 원)보다 633억 원, 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적발 비중이 24%로 가장 많았고, 최근에는 60대 이상의 고령층 보험사기 비중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최근 증가하던 10·20대의 비중은 2021년 21%에서 지난해 17.3%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1조 237억 원으로 전체의 94.6%를 차지했고, 생명보험 적발금액은 581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허위 입원·진단 등 상해·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크게 늘면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로 인한 공영·민영보험의 재정 누수 등 국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당국과 건보공단, 심평원 등 관계 기관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와 적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일상생활에서 보험사기 제안을 받거나 의심사례를 알게 된 경우 금감원 또는 보험사 보험사기신고센터에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금융감독원 제공]
금감원은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1조 81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4.7% 증가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적발 인원은 10만 2,679명으로 1년 전보다 5,050명, 5.2% 증가했습니다. 1인당 평균 적발금액은 1,050만 원으로 고액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형별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로 가장 많았고, 이어 허위사고 17.7%, 고의사고 14.4% 순이었습니다.
특히 사고내용 조작 유형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진단서 위변조, 입원 수술비 과다청구 유형이 1년 전(1,835억 원)보다 633억 원, 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적발 비중이 24%로 가장 많았고, 최근에는 60대 이상의 고령층 보험사기 비중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최근 증가하던 10·20대의 비중은 2021년 21%에서 지난해 17.3%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1조 237억 원으로 전체의 94.6%를 차지했고, 생명보험 적발금액은 581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허위 입원·진단 등 상해·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크게 늘면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로 인한 공영·민영보험의 재정 누수 등 국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당국과 건보공단, 심평원 등 관계 기관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와 적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일상생활에서 보험사기 제안을 받거나 의심사례를 알게 된 경우 금감원 또는 보험사 보험사기신고센터에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금융감독원 제공]
-
-
김화영 기자 hwa0@kbs.co.kr
김화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