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스타트업 고용 증가율 8.1%…전체 기업의 3.4배
입력 2023.03.23 (14:09)
수정 2023.03.23 (14: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벤처·스타트업의 고용 증가율이 전체 기업 평균의 3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23일) 이런 내용의 '20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벤처·스타트업 3만 3천 개의 고용 인원은 74만 6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8.1%(5만 6천 명)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고용 규모가 2.4%(34만 8천 명)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습니다.
특히 지난해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2천 개의 고용 증가율은 29.8%(1만 9천 명)로 전체 기업의 12배가 넘었습니다.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비상장기업) 15개의 고용 증가율은 22.9%(1천800명)였고, 고용 인원은 9천900명으로 늘었습니다.
벤처·스타트업은 청년·여성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고용했습니다.
지난해 말 벤처·스타트업의 청년 고용 인원은 19만 8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3.6%(6천800명) 늘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 사회 진출 연령대 상승, 신규 채용 축소 등으로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이 1.2%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여성 고용 인원은 24만 3천 명으로 10.0%(2만 2천 명) 늘었는데 전체 기업의 여성 고용 증가율(2.9%)을 큰 폭으로 상회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드라마·음악 등 K-콘텐츠 인기로 영상·공연·음반 업종의 고용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게임(14.9%),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12.3%), 유통·서비스(10.0%) 등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23일) 이런 내용의 '20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벤처·스타트업 3만 3천 개의 고용 인원은 74만 6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8.1%(5만 6천 명)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고용 규모가 2.4%(34만 8천 명)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습니다.
특히 지난해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2천 개의 고용 증가율은 29.8%(1만 9천 명)로 전체 기업의 12배가 넘었습니다.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비상장기업) 15개의 고용 증가율은 22.9%(1천800명)였고, 고용 인원은 9천900명으로 늘었습니다.
벤처·스타트업은 청년·여성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고용했습니다.
지난해 말 벤처·스타트업의 청년 고용 인원은 19만 8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3.6%(6천800명) 늘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 사회 진출 연령대 상승, 신규 채용 축소 등으로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이 1.2%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여성 고용 인원은 24만 3천 명으로 10.0%(2만 2천 명) 늘었는데 전체 기업의 여성 고용 증가율(2.9%)을 큰 폭으로 상회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드라마·음악 등 K-콘텐츠 인기로 영상·공연·음반 업종의 고용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게임(14.9%),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12.3%), 유통·서비스(10.0%) 등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벤처·스타트업 고용 증가율 8.1%…전체 기업의 3.4배
-
- 입력 2023-03-23 14:09:30
- 수정2023-03-23 14:19:58
지난해 벤처·스타트업의 고용 증가율이 전체 기업 평균의 3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23일) 이런 내용의 '20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벤처·스타트업 3만 3천 개의 고용 인원은 74만 6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8.1%(5만 6천 명)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고용 규모가 2.4%(34만 8천 명)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습니다.
특히 지난해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2천 개의 고용 증가율은 29.8%(1만 9천 명)로 전체 기업의 12배가 넘었습니다.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비상장기업) 15개의 고용 증가율은 22.9%(1천800명)였고, 고용 인원은 9천900명으로 늘었습니다.
벤처·스타트업은 청년·여성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고용했습니다.
지난해 말 벤처·스타트업의 청년 고용 인원은 19만 8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3.6%(6천800명) 늘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 사회 진출 연령대 상승, 신규 채용 축소 등으로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이 1.2%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여성 고용 인원은 24만 3천 명으로 10.0%(2만 2천 명) 늘었는데 전체 기업의 여성 고용 증가율(2.9%)을 큰 폭으로 상회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드라마·음악 등 K-콘텐츠 인기로 영상·공연·음반 업종의 고용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게임(14.9%),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12.3%), 유통·서비스(10.0%) 등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23일) 이런 내용의 '20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벤처·스타트업 3만 3천 개의 고용 인원은 74만 6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8.1%(5만 6천 명)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고용 규모가 2.4%(34만 8천 명)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습니다.
특히 지난해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2천 개의 고용 증가율은 29.8%(1만 9천 명)로 전체 기업의 12배가 넘었습니다.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비상장기업) 15개의 고용 증가율은 22.9%(1천800명)였고, 고용 인원은 9천900명으로 늘었습니다.
벤처·스타트업은 청년·여성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고용했습니다.
지난해 말 벤처·스타트업의 청년 고용 인원은 19만 8천 명으로 전년 말 대비 3.6%(6천800명) 늘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 사회 진출 연령대 상승, 신규 채용 축소 등으로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이 1.2%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여성 고용 인원은 24만 3천 명으로 10.0%(2만 2천 명) 늘었는데 전체 기업의 여성 고용 증가율(2.9%)을 큰 폭으로 상회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드라마·음악 등 K-콘텐츠 인기로 영상·공연·음반 업종의 고용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게임(14.9%),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12.3%), 유통·서비스(10.0%) 등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
-
신현욱 기자 woogi@kbs.co.kr
신현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