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제주서도 양질의 대안교육 이뤄져야”
입력 2023.03.23 (19:33)
수정 2023.03.23 (1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제주도의회에서 초중등교육법에 근거를 둬 학력을 인정 받는 대안학교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제주에 대안교육위탁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만, 학력을 인정받을 수 없고 교육과정 선택에도 한계가 있다는 얘기인데요.
이를 제안한 김대진 도의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대안학교란 무엇인지부터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제주에서 운영 중인 대안학교는 현재 몇 곳이 있나요?
[앵커]
김 의원께서는 제주에서 인가를 받은 정규 대안학교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럼 현재 제주지역에선 대안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가요?
[앵커]
앞서 계속 ‘인가, 비인가’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각각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둘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신다면요?
[앵커]
그럼 인가를 받는 절차가 까다로운가요?
까다롭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말씀해주셨지만 인가를 받게 되면 일정 부분은 국가가 요구하는 정규 교육과정을 반영해야 할 텐데요.
대안학교를 선택한 의미가 무색해지는 건 아닌가요?
[앵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현재 제주의 비인가 대안학교 운영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 의원께선 대안학교 신설과 함께 학기제 운영을 권하셨어요?
[앵커]
앞으로 제주지역 대안학교 교육엔 어떤 과제가 남아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제주도의회에서 초중등교육법에 근거를 둬 학력을 인정 받는 대안학교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제주에 대안교육위탁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만, 학력을 인정받을 수 없고 교육과정 선택에도 한계가 있다는 얘기인데요.
이를 제안한 김대진 도의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대안학교란 무엇인지부터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제주에서 운영 중인 대안학교는 현재 몇 곳이 있나요?
[앵커]
김 의원께서는 제주에서 인가를 받은 정규 대안학교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럼 현재 제주지역에선 대안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가요?
[앵커]
앞서 계속 ‘인가, 비인가’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각각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둘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신다면요?
[앵커]
그럼 인가를 받는 절차가 까다로운가요?
까다롭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말씀해주셨지만 인가를 받게 되면 일정 부분은 국가가 요구하는 정규 교육과정을 반영해야 할 텐데요.
대안학교를 선택한 의미가 무색해지는 건 아닌가요?
[앵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현재 제주의 비인가 대안학교 운영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 의원께선 대안학교 신설과 함께 학기제 운영을 권하셨어요?
[앵커]
앞으로 제주지역 대안학교 교육엔 어떤 과제가 남아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제주서도 양질의 대안교육 이뤄져야”
-
- 입력 2023-03-23 19:33:50
- 수정2023-03-23 19:58:52
[앵커]
최근 제주도의회에서 초중등교육법에 근거를 둬 학력을 인정 받는 대안학교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제주에 대안교육위탁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만, 학력을 인정받을 수 없고 교육과정 선택에도 한계가 있다는 얘기인데요.
이를 제안한 김대진 도의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대안학교란 무엇인지부터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제주에서 운영 중인 대안학교는 현재 몇 곳이 있나요?
[앵커]
김 의원께서는 제주에서 인가를 받은 정규 대안학교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럼 현재 제주지역에선 대안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가요?
[앵커]
앞서 계속 ‘인가, 비인가’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각각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둘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신다면요?
[앵커]
그럼 인가를 받는 절차가 까다로운가요?
까다롭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말씀해주셨지만 인가를 받게 되면 일정 부분은 국가가 요구하는 정규 교육과정을 반영해야 할 텐데요.
대안학교를 선택한 의미가 무색해지는 건 아닌가요?
[앵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현재 제주의 비인가 대안학교 운영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 의원께선 대안학교 신설과 함께 학기제 운영을 권하셨어요?
[앵커]
앞으로 제주지역 대안학교 교육엔 어떤 과제가 남아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제주도의회에서 초중등교육법에 근거를 둬 학력을 인정 받는 대안학교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제주에 대안교육위탁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만, 학력을 인정받을 수 없고 교육과정 선택에도 한계가 있다는 얘기인데요.
이를 제안한 김대진 도의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대안학교란 무엇인지부터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제주에서 운영 중인 대안학교는 현재 몇 곳이 있나요?
[앵커]
김 의원께서는 제주에서 인가를 받은 정규 대안학교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럼 현재 제주지역에선 대안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가요?
[앵커]
앞서 계속 ‘인가, 비인가’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각각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둘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신다면요?
[앵커]
그럼 인가를 받는 절차가 까다로운가요?
까다롭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말씀해주셨지만 인가를 받게 되면 일정 부분은 국가가 요구하는 정규 교육과정을 반영해야 할 텐데요.
대안학교를 선택한 의미가 무색해지는 건 아닌가요?
[앵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현재 제주의 비인가 대안학교 운영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 의원께선 대안학교 신설과 함께 학기제 운영을 권하셨어요?
[앵커]
앞으로 제주지역 대안학교 교육엔 어떤 과제가 남아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