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 전락한 스키장…‘산림 훼손 가속화’ 복구 시급
입력 2023.03.25 (21:19)
수정 2023.03.25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산을 깎아서 스키장을 만들었다가 경영난 때문에 문을 닫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습이 흉물스럽고, 산림 복구는 비용 때문에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7년째 운영이 중단된 강원도 고성군의 한 스키장입니다.
슬로프가 있던 산자락은 곳곳이 파이고 갈려져 민둥산처럼 변했습니다.
이렇게 방치되는 면적이 50만여 제곱미터로, 축구장 70개 크기입니다.
스키 슬로프가 있던 자립니다.
장시간 방치되다 보니 토사가 무너져 제 키 높이의 큰 구덩이가 생겼습니다.
이 무너진 토사에 나무가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스키장 인근 건물들도 방치되면서 모두 폐허로 변했습니다.
한때 스키장 재개장과 풍력단지 사업이 추진됐지만 자금난으로 모두 무산됐습니다.
[신황용/마을 이장 : "저거 흉물인데, 흉물 그냥 놔두는 것보다 원상 복귀 하는 게 훨씬 낫지. 고성군에서도 저거 맘대로 못하잖아."]
최근까지 운영했던 또 다른 스키장도 슬로프가 맨살을 그대로 드러낸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전국 스키장 17곳 중 현재 운영되는 곳은 13곳이지만, 이마저도 경영난으로 슬로프를 전면 개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은정/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 : "지금 상황으로 방치했을 때는 건강한 숲으로 회복되기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하지만 훼손된 산림 복구는 스키장 사업자가 해야 하는데 비용 문제로 실질적 철거 등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스키장 내 사유지는 정부에서 복구를 요청할 수도 없어, 산림 훼손을 가속화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산을 깎아서 스키장을 만들었다가 경영난 때문에 문을 닫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습이 흉물스럽고, 산림 복구는 비용 때문에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7년째 운영이 중단된 강원도 고성군의 한 스키장입니다.
슬로프가 있던 산자락은 곳곳이 파이고 갈려져 민둥산처럼 변했습니다.
이렇게 방치되는 면적이 50만여 제곱미터로, 축구장 70개 크기입니다.
스키 슬로프가 있던 자립니다.
장시간 방치되다 보니 토사가 무너져 제 키 높이의 큰 구덩이가 생겼습니다.
이 무너진 토사에 나무가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스키장 인근 건물들도 방치되면서 모두 폐허로 변했습니다.
한때 스키장 재개장과 풍력단지 사업이 추진됐지만 자금난으로 모두 무산됐습니다.
[신황용/마을 이장 : "저거 흉물인데, 흉물 그냥 놔두는 것보다 원상 복귀 하는 게 훨씬 낫지. 고성군에서도 저거 맘대로 못하잖아."]
최근까지 운영했던 또 다른 스키장도 슬로프가 맨살을 그대로 드러낸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전국 스키장 17곳 중 현재 운영되는 곳은 13곳이지만, 이마저도 경영난으로 슬로프를 전면 개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은정/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 : "지금 상황으로 방치했을 때는 건강한 숲으로 회복되기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하지만 훼손된 산림 복구는 스키장 사업자가 해야 하는데 비용 문제로 실질적 철거 등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스키장 내 사유지는 정부에서 복구를 요청할 수도 없어, 산림 훼손을 가속화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흉물 전락한 스키장…‘산림 훼손 가속화’ 복구 시급
-
- 입력 2023-03-25 21:19:39
- 수정2023-03-25 22:00:43

[앵커]
산을 깎아서 스키장을 만들었다가 경영난 때문에 문을 닫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습이 흉물스럽고, 산림 복구는 비용 때문에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7년째 운영이 중단된 강원도 고성군의 한 스키장입니다.
슬로프가 있던 산자락은 곳곳이 파이고 갈려져 민둥산처럼 변했습니다.
이렇게 방치되는 면적이 50만여 제곱미터로, 축구장 70개 크기입니다.
스키 슬로프가 있던 자립니다.
장시간 방치되다 보니 토사가 무너져 제 키 높이의 큰 구덩이가 생겼습니다.
이 무너진 토사에 나무가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스키장 인근 건물들도 방치되면서 모두 폐허로 변했습니다.
한때 스키장 재개장과 풍력단지 사업이 추진됐지만 자금난으로 모두 무산됐습니다.
[신황용/마을 이장 : "저거 흉물인데, 흉물 그냥 놔두는 것보다 원상 복귀 하는 게 훨씬 낫지. 고성군에서도 저거 맘대로 못하잖아."]
최근까지 운영했던 또 다른 스키장도 슬로프가 맨살을 그대로 드러낸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전국 스키장 17곳 중 현재 운영되는 곳은 13곳이지만, 이마저도 경영난으로 슬로프를 전면 개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은정/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 : "지금 상황으로 방치했을 때는 건강한 숲으로 회복되기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하지만 훼손된 산림 복구는 스키장 사업자가 해야 하는데 비용 문제로 실질적 철거 등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스키장 내 사유지는 정부에서 복구를 요청할 수도 없어, 산림 훼손을 가속화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산을 깎아서 스키장을 만들었다가 경영난 때문에 문을 닫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습이 흉물스럽고, 산림 복구는 비용 때문에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7년째 운영이 중단된 강원도 고성군의 한 스키장입니다.
슬로프가 있던 산자락은 곳곳이 파이고 갈려져 민둥산처럼 변했습니다.
이렇게 방치되는 면적이 50만여 제곱미터로, 축구장 70개 크기입니다.
스키 슬로프가 있던 자립니다.
장시간 방치되다 보니 토사가 무너져 제 키 높이의 큰 구덩이가 생겼습니다.
이 무너진 토사에 나무가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스키장 인근 건물들도 방치되면서 모두 폐허로 변했습니다.
한때 스키장 재개장과 풍력단지 사업이 추진됐지만 자금난으로 모두 무산됐습니다.
[신황용/마을 이장 : "저거 흉물인데, 흉물 그냥 놔두는 것보다 원상 복귀 하는 게 훨씬 낫지. 고성군에서도 저거 맘대로 못하잖아."]
최근까지 운영했던 또 다른 스키장도 슬로프가 맨살을 그대로 드러낸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전국 스키장 17곳 중 현재 운영되는 곳은 13곳이지만, 이마저도 경영난으로 슬로프를 전면 개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은정/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 : "지금 상황으로 방치했을 때는 건강한 숲으로 회복되기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하지만 훼손된 산림 복구는 스키장 사업자가 해야 하는데 비용 문제로 실질적 철거 등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스키장 내 사유지는 정부에서 복구를 요청할 수도 없어, 산림 훼손을 가속화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