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를 만큼 올랐나”…유류세·공공요금·오펙 감산 관건

입력 2023.04.04 (21:15) 수정 2023.04.04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제부 박혜진 기자와 물가 얘기를 조금 더 나눠보겠습니다.

정부 말고 다른 전문가나 주요 기관들의 예상도 비슷한가요?

[기자]

대부분 비슷했습니다.

정부가 올해 물가상승률로 전망한 3%대를 기준으로 물가 전망을 물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상반기 안에 3%대로 떨어질 수 있다", KDI는 "2분기 3%대가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LG경영연구원은 "하반기 3%대 가능성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물가가 떨어지는 건 아니라서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겠지만 상승폭은 다소 줄어든다는 의견인거죠.

다만 이런 기관들 모두 변수가 많다, 변수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앵커]

변수 얘기하셨는데,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게 유가입니다.

주요 산유국 모임인 오펙 플러스가 기름 생산을 줄이겠다는데 이러면 물가가 오르지 않을까요?

[기자]

그렇습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부터 이 감산 결정을 두고, "건설적이지 않은 행동"이라면서 "인플레이션이 이미 높은 시기에 불확실성과 부담을 키운다"면서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감산 발표 이후에 어제 하루에만 서부 텍사스산 원유가 배럴당 6% 넘게 올랐습니다.

우리에겐 또 다른 요인도 있습니다.

유류세 인하 조치가 이달 말 끝나는데요.

끝나도록 내버려 두거나 인하 폭을 줄이면 기름값이 오르겠죠.

[앵커]

기름값 안정세로 수그러든 물가가 기름값 때문에 오르게 생긴 셈이네요.

이번에 동결되긴 했지만, 전기, 가스 요금도 오를 수 있지 않나요?

[기자]

3월 물가 상승률 4.2% 가운데 1%p 가까이가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 영향이었거든요.

공공요금이 더 오르면 당연히 물가는 상승 압력을 받습니다.

[앵커]

다음 주 기준금리 결정에 오늘(4일) 발표된 물가가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기자]

일단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4% 초반까지 내려온 만큼 금리 인상 부담은 좀 덜어낸 셈이 되긴 했습니다.

불안한 금융시장 상황까지 고려하면 시장에선 동결 쪽에 무게를 싣는 분위깁니다.

다만 소비가 계속 늘어나는지, 미국 물가가 얼마나 오르는 지 등이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안재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를 만큼 올랐나”…유류세·공공요금·오펙 감산 관건
    • 입력 2023-04-04 21:15:06
    • 수정2023-04-04 22:06:19
    뉴스 9
[앵커]

경제부 박혜진 기자와 물가 얘기를 조금 더 나눠보겠습니다.

정부 말고 다른 전문가나 주요 기관들의 예상도 비슷한가요?

[기자]

대부분 비슷했습니다.

정부가 올해 물가상승률로 전망한 3%대를 기준으로 물가 전망을 물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상반기 안에 3%대로 떨어질 수 있다", KDI는 "2분기 3%대가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LG경영연구원은 "하반기 3%대 가능성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물가가 떨어지는 건 아니라서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겠지만 상승폭은 다소 줄어든다는 의견인거죠.

다만 이런 기관들 모두 변수가 많다, 변수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앵커]

변수 얘기하셨는데,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게 유가입니다.

주요 산유국 모임인 오펙 플러스가 기름 생산을 줄이겠다는데 이러면 물가가 오르지 않을까요?

[기자]

그렇습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부터 이 감산 결정을 두고, "건설적이지 않은 행동"이라면서 "인플레이션이 이미 높은 시기에 불확실성과 부담을 키운다"면서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감산 발표 이후에 어제 하루에만 서부 텍사스산 원유가 배럴당 6% 넘게 올랐습니다.

우리에겐 또 다른 요인도 있습니다.

유류세 인하 조치가 이달 말 끝나는데요.

끝나도록 내버려 두거나 인하 폭을 줄이면 기름값이 오르겠죠.

[앵커]

기름값 안정세로 수그러든 물가가 기름값 때문에 오르게 생긴 셈이네요.

이번에 동결되긴 했지만, 전기, 가스 요금도 오를 수 있지 않나요?

[기자]

3월 물가 상승률 4.2% 가운데 1%p 가까이가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 영향이었거든요.

공공요금이 더 오르면 당연히 물가는 상승 압력을 받습니다.

[앵커]

다음 주 기준금리 결정에 오늘(4일) 발표된 물가가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기자]

일단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4% 초반까지 내려온 만큼 금리 인상 부담은 좀 덜어낸 셈이 되긴 했습니다.

불안한 금융시장 상황까지 고려하면 시장에선 동결 쪽에 무게를 싣는 분위깁니다.

다만 소비가 계속 늘어나는지, 미국 물가가 얼마나 오르는 지 등이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안재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