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위안부 역사관, 사실상 백지화 ‘파장’

입력 2023.04.06 (07:57) 수정 2023.04.06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군 위안부 가운데 가장 많은 피해자가 있는 경남에서는 10년 전부터 위안부 역사관 건립이 추진됐습니다.

3년 전 경남도지사가 도립 역사관 건립을 공언하면서 사업은 급물살을 타기도 했는데요.

민선 8기 박완수 도정은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013년, 위안부 역사관 건립에 써달라며 평생 모은 재산 2천만 원을 기부한 고 김복득 할머니.

할머니의 뜻을 이어 2019년 모금 활동이 시작됐고, 이듬해 김경수 당시 경남지사가 도립 역사관 건립을 공언했습니다.

곧이어 타당성 분석 1차 용역이 진행됐고, 지난해 11월 2차 용역이 발주됐습니다.

가시화되는 듯하던 위안부 역사관은 민선 8기 새 국면을 맞았습니다.

경상남도가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경상남도는 경제적 타당성 지표인 비용 대비 편익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1차 용역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이 밝혔습니다.

2차 용역도 역사관 건립과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백삼종/경상남도 여성가족국장 : "연구 용역 1차에서 나와서 거기에 근거해서 위안부 역사관 건립 부분을 저희는 검토를 안 하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98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역사관 건립추진위는 반발했습니다.

비용 대비 편익은 민자사업 분석에 활용되는 지표로 역사관 타당성을 따지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또, 2차 용역 과업 지시서에 용역의 목적이 역사관 건립 가능성 모색이라고 쓰여 있다며, 경상남도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박완수 지사는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5월 위안부 역사관 건립과 관련해 "일본과의 역사적 사건과 해소책이 제시된 뒤 추진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경희/위안부 할머니 시민모임 대표 : "(당시 발언은) 정치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당시에 안 하고 싶은데, 혹은 안 하겠다라는 부정적 답변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남에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는 단 한 명.

절박한 상황 속에서 가까스로 첫 걸음을 뗀 전국 첫 공립 위안부 역사관 건립이 10년 만에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그래픽:백진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위안부 역사관, 사실상 백지화 ‘파장’
    • 입력 2023-04-06 07:57:58
    • 수정2023-04-06 08:15:53
    뉴스광장(창원)
[앵커]

일본군 위안부 가운데 가장 많은 피해자가 있는 경남에서는 10년 전부터 위안부 역사관 건립이 추진됐습니다.

3년 전 경남도지사가 도립 역사관 건립을 공언하면서 사업은 급물살을 타기도 했는데요.

민선 8기 박완수 도정은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013년, 위안부 역사관 건립에 써달라며 평생 모은 재산 2천만 원을 기부한 고 김복득 할머니.

할머니의 뜻을 이어 2019년 모금 활동이 시작됐고, 이듬해 김경수 당시 경남지사가 도립 역사관 건립을 공언했습니다.

곧이어 타당성 분석 1차 용역이 진행됐고, 지난해 11월 2차 용역이 발주됐습니다.

가시화되는 듯하던 위안부 역사관은 민선 8기 새 국면을 맞았습니다.

경상남도가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경상남도는 경제적 타당성 지표인 비용 대비 편익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1차 용역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이 밝혔습니다.

2차 용역도 역사관 건립과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백삼종/경상남도 여성가족국장 : "연구 용역 1차에서 나와서 거기에 근거해서 위안부 역사관 건립 부분을 저희는 검토를 안 하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98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역사관 건립추진위는 반발했습니다.

비용 대비 편익은 민자사업 분석에 활용되는 지표로 역사관 타당성을 따지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또, 2차 용역 과업 지시서에 용역의 목적이 역사관 건립 가능성 모색이라고 쓰여 있다며, 경상남도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박완수 지사는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5월 위안부 역사관 건립과 관련해 "일본과의 역사적 사건과 해소책이 제시된 뒤 추진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경희/위안부 할머니 시민모임 대표 : "(당시 발언은) 정치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당시에 안 하고 싶은데, 혹은 안 하겠다라는 부정적 답변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남에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는 단 한 명.

절박한 상황 속에서 가까스로 첫 걸음을 뗀 전국 첫 공립 위안부 역사관 건립이 10년 만에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그래픽:백진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