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키시마호’ 희생자 집단 매장지 첫 확인…“발굴·송환 시급”

입력 2023.04.11 (06:38) 수정 2023.04.11 (06: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945년 8월, 일제의 패망으로 일본에 강제로 끌려갔던 우리 국민 수천 명이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지만 의문의 폭발 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귀국 1호선 '우키시마호'의 비극으로 알려진 사건입니다.

그동안 유족들은 희생자의 유해라도 찾고 싶다며 수십 년을 헤맸는데, 집단 매장지 위치가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윤진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교토 북쪽의 항구도시 마이즈루.

1945년 8월24일, 해방을 맞아 귀국길에 오른 한국인 수천 명을 태운 '우키시마호'가 침몰한 곳입니다.

이 사고로 숨진 한국인은 일본 정부가 524명으로 발표했지만 생존자들은 5천에서 8천 명에 이른다고 증언했습니다.

엄청난 참사였는데도 당시 외부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사고 현장 인근 주민 : "(폭발 소리에) 놀랐고 무서웠다고 말하면서 교실로 뛰어 들어왔습니다. 신문에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로부터 78년, 유족들에게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마이즈루 주민들로 구성된 '추도회'에서 희생자들의 집단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을 찾은 겁니다.

[시나다 시게루/마이즈루 순난자 추도회 회장 : "해군이 (매장) 작업하는 걸 주민들이 보고 있었습니다. 꽤 시간이 지났지만 (당시) 여기에 묻었다고 (주민들이) 말했습니다."]

해상자위대 영내, 해안가 공원, 초등학교 앞 공터 등 3곳으로 해군이 엄청난 양의 유해를 묻었다", "바다에서 시신 여러 구를 묶어 끌어올린 뒤 한꺼번에 묻었다" 등의 목격담도 있었습니다.

당시 떠내려온 시신 수백 구를 모아 해변에서 한번에 화장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이렇게 상당수의 유해는 소실됐을 거로 추정됩니다.

일부 유해는 어민들에게 발견돼 지역 사찰에 안치됐습니다.

[김문길/한일문화연구소 소장 : "돌아가신 분 유해, 두개골 4구만 여기 들어 있답니다."]

아버지의 유해를 찾아 헤맸던 아들은 혹시라도 아버지 유해가 아닐까, 간절히 절을 올립니다.

["몰랐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한영룡/우키시마호 희생자 유족 : "내가 3살 때 아버지가 여기 오셨거든요. 지금 아버지는 산소도 없는..."]

이곳은 그동안 찾는 이도 없었습니다.

[구스노키 분항/주지승 : "내가 주지가 된 게 11년 전인데, 지금까지 (참배객은) 없었습니다. 유골함이 세월이 지나면서 부서졌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뼈들과 합쳐졌습니다."]

유해가 더 훼손되기 전에 정밀 발굴 조사와 유전자 검사가 시급해 보입니다.

유족들은 유해라도 고국 땅에 돌아올 수 있도록 이제라도 정부가 나서줄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촬영기자:정현석 최석규/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키시마호’ 희생자 집단 매장지 첫 확인…“발굴·송환 시급”
    • 입력 2023-04-11 06:38:38
    • 수정2023-04-11 06:47:44
    뉴스광장 1부
[앵커]

1945년 8월, 일제의 패망으로 일본에 강제로 끌려갔던 우리 국민 수천 명이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지만 의문의 폭발 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귀국 1호선 '우키시마호'의 비극으로 알려진 사건입니다.

그동안 유족들은 희생자의 유해라도 찾고 싶다며 수십 년을 헤맸는데, 집단 매장지 위치가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윤진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교토 북쪽의 항구도시 마이즈루.

1945년 8월24일, 해방을 맞아 귀국길에 오른 한국인 수천 명을 태운 '우키시마호'가 침몰한 곳입니다.

이 사고로 숨진 한국인은 일본 정부가 524명으로 발표했지만 생존자들은 5천에서 8천 명에 이른다고 증언했습니다.

엄청난 참사였는데도 당시 외부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사고 현장 인근 주민 : "(폭발 소리에) 놀랐고 무서웠다고 말하면서 교실로 뛰어 들어왔습니다. 신문에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로부터 78년, 유족들에게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마이즈루 주민들로 구성된 '추도회'에서 희생자들의 집단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을 찾은 겁니다.

[시나다 시게루/마이즈루 순난자 추도회 회장 : "해군이 (매장) 작업하는 걸 주민들이 보고 있었습니다. 꽤 시간이 지났지만 (당시) 여기에 묻었다고 (주민들이) 말했습니다."]

해상자위대 영내, 해안가 공원, 초등학교 앞 공터 등 3곳으로 해군이 엄청난 양의 유해를 묻었다", "바다에서 시신 여러 구를 묶어 끌어올린 뒤 한꺼번에 묻었다" 등의 목격담도 있었습니다.

당시 떠내려온 시신 수백 구를 모아 해변에서 한번에 화장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이렇게 상당수의 유해는 소실됐을 거로 추정됩니다.

일부 유해는 어민들에게 발견돼 지역 사찰에 안치됐습니다.

[김문길/한일문화연구소 소장 : "돌아가신 분 유해, 두개골 4구만 여기 들어 있답니다."]

아버지의 유해를 찾아 헤맸던 아들은 혹시라도 아버지 유해가 아닐까, 간절히 절을 올립니다.

["몰랐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한영룡/우키시마호 희생자 유족 : "내가 3살 때 아버지가 여기 오셨거든요. 지금 아버지는 산소도 없는..."]

이곳은 그동안 찾는 이도 없었습니다.

[구스노키 분항/주지승 : "내가 주지가 된 게 11년 전인데, 지금까지 (참배객은) 없었습니다. 유골함이 세월이 지나면서 부서졌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뼈들과 합쳐졌습니다."]

유해가 더 훼손되기 전에 정밀 발굴 조사와 유전자 검사가 시급해 보입니다.

유족들은 유해라도 고국 땅에 돌아올 수 있도록 이제라도 정부가 나서줄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촬영기자:정현석 최석규/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