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커지는 경기둔화 우려
입력 2023.04.11 (23:48)
수정 2023.04.12 (00: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은행이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2번 연속 동결한 건데 경기침체가 우려되니, 조금 지켜보자는 겁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우리 경제 상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IMF 전망치부터 조금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잡았는데, 이 가운데 사실 1월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을 올려 잡았습니다.
그때와는 경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겁니까?
[앵커]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월과 마찬가지로, 또 내렸습니다.
자꾸 낮추는 이유, 뭡니까?
[앵커]
한국은행은 2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는데, IMF와 마찬가지로, 경기 둔화 위험이 커졌다고 보는 거죠?
[앵커]
이창용 총재는 물가가 목표에 근접할 때까지는 금리 인하는 없다고 선을 그었는데, 금리, 언제쯤 내려갈까요?
[앵커]
한국은행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뒀지만, 주식시장은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 겁니까?
[앵커]
최근 주식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하는 건, ‘2차 전지’ 관련줍니다.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왜 이렇게 높아진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시장의 반응대로, 국내 2차 전지 산업이 계속해서 경쟁력을 가지고 나갈 수 있을까요?
한국은행이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2번 연속 동결한 건데 경기침체가 우려되니, 조금 지켜보자는 겁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우리 경제 상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IMF 전망치부터 조금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잡았는데, 이 가운데 사실 1월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을 올려 잡았습니다.
그때와는 경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겁니까?
[앵커]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월과 마찬가지로, 또 내렸습니다.
자꾸 낮추는 이유, 뭡니까?
[앵커]
한국은행은 2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는데, IMF와 마찬가지로, 경기 둔화 위험이 커졌다고 보는 거죠?
[앵커]
이창용 총재는 물가가 목표에 근접할 때까지는 금리 인하는 없다고 선을 그었는데, 금리, 언제쯤 내려갈까요?
[앵커]
한국은행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뒀지만, 주식시장은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 겁니까?
[앵커]
최근 주식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하는 건, ‘2차 전지’ 관련줍니다.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왜 이렇게 높아진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시장의 반응대로, 국내 2차 전지 산업이 계속해서 경쟁력을 가지고 나갈 수 있을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커지는 경기둔화 우려
-
- 입력 2023-04-11 23:48:22
- 수정2023-04-12 00:29:47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line/2023/04/11/80_7648984.jpg)
[앵커]
한국은행이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2번 연속 동결한 건데 경기침체가 우려되니, 조금 지켜보자는 겁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우리 경제 상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IMF 전망치부터 조금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잡았는데, 이 가운데 사실 1월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을 올려 잡았습니다.
그때와는 경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겁니까?
[앵커]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월과 마찬가지로, 또 내렸습니다.
자꾸 낮추는 이유, 뭡니까?
[앵커]
한국은행은 2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는데, IMF와 마찬가지로, 경기 둔화 위험이 커졌다고 보는 거죠?
[앵커]
이창용 총재는 물가가 목표에 근접할 때까지는 금리 인하는 없다고 선을 그었는데, 금리, 언제쯤 내려갈까요?
[앵커]
한국은행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뒀지만, 주식시장은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 겁니까?
[앵커]
최근 주식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하는 건, ‘2차 전지’ 관련줍니다.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왜 이렇게 높아진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시장의 반응대로, 국내 2차 전지 산업이 계속해서 경쟁력을 가지고 나갈 수 있을까요?
한국은행이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2번 연속 동결한 건데 경기침체가 우려되니, 조금 지켜보자는 겁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우리 경제 상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IMF 전망치부터 조금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잡았는데, 이 가운데 사실 1월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을 올려 잡았습니다.
그때와는 경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겁니까?
[앵커]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월과 마찬가지로, 또 내렸습니다.
자꾸 낮추는 이유, 뭡니까?
[앵커]
한국은행은 2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는데, IMF와 마찬가지로, 경기 둔화 위험이 커졌다고 보는 거죠?
[앵커]
이창용 총재는 물가가 목표에 근접할 때까지는 금리 인하는 없다고 선을 그었는데, 금리, 언제쯤 내려갈까요?
[앵커]
한국은행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뒀지만, 주식시장은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 겁니까?
[앵커]
최근 주식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하는 건, ‘2차 전지’ 관련줍니다.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왜 이렇게 높아진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시장의 반응대로, 국내 2차 전지 산업이 계속해서 경쟁력을 가지고 나갈 수 있을까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