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기록 졸업 후 4년 동안 남는다…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발표

입력 2023.04.12 (19:09) 수정 2023.04.12 (21: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가수사본부장에서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의 아들 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학교폭력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가해 학생의 학교 폭력 기록을 더 길게 남기고, 대학입시에도 반영하도록 하는가 하면, 즉시 분리기간 연장 등 피해 학생에 대한 보호 조치도 강화됩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 폭력에는 반드시 불이익이 따른다는 인식을 확립하겠다는 게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의 목표입니다.

학폭 근절 종합대책은 우선 가해 학생이 받은 출석정지·학급교체·전학 조치 기록을 졸업 뒤 최대 4년까지 남기기로 했습니다.

또 학교 폭력 가해 기록이 대입 수시 전형에만 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에 따라, 2026학년도 대입부터는 정시·논술 전형 등에도 당락을 좌우할 정도로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이처럼 불이익이 커지면서 가해 학생이 피해 학생에 소송 남발 등 2차 가해할 경우를 대비해, 생활기록부에서 관련 기록을 삭제하려면, 반드시 피해 학생으로부터 동의서를 받도록 제도를 개선합니다.

학교 폭력 피해 학생 보호 조치도 강화됩니다.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을 즉시 분리하는 기간이 '3일'에서 '7일'로 늘어납니다.

현재 분리 기간 '3일'은 주말이 포함되면 분리 조치가 무의미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단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피해 학생이 가해 학생과 분리를 원할 경우, 학교장 판단으로, 출석 정지나 학급 교체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학교폭력 발생 초기부터, 피해 학생이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 지원 기관을 400곳으로 확충합니다.

정부는 또, 학교 폭력을 일선에서 목격하는 교사들이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해결 과정 중 분쟁이 발생해도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으면, 교사에 법적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최정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폭 기록 졸업 후 4년 동안 남는다…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발표
    • 입력 2023-04-12 19:09:25
    • 수정2023-04-12 21:06:17
    뉴스7(대구)
[앵커]

국가수사본부장에서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의 아들 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학교폭력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가해 학생의 학교 폭력 기록을 더 길게 남기고, 대학입시에도 반영하도록 하는가 하면, 즉시 분리기간 연장 등 피해 학생에 대한 보호 조치도 강화됩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 폭력에는 반드시 불이익이 따른다는 인식을 확립하겠다는 게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의 목표입니다.

학폭 근절 종합대책은 우선 가해 학생이 받은 출석정지·학급교체·전학 조치 기록을 졸업 뒤 최대 4년까지 남기기로 했습니다.

또 학교 폭력 가해 기록이 대입 수시 전형에만 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에 따라, 2026학년도 대입부터는 정시·논술 전형 등에도 당락을 좌우할 정도로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이처럼 불이익이 커지면서 가해 학생이 피해 학생에 소송 남발 등 2차 가해할 경우를 대비해, 생활기록부에서 관련 기록을 삭제하려면, 반드시 피해 학생으로부터 동의서를 받도록 제도를 개선합니다.

학교 폭력 피해 학생 보호 조치도 강화됩니다.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을 즉시 분리하는 기간이 '3일'에서 '7일'로 늘어납니다.

현재 분리 기간 '3일'은 주말이 포함되면 분리 조치가 무의미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단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피해 학생이 가해 학생과 분리를 원할 경우, 학교장 판단으로, 출석 정지나 학급 교체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학교폭력 발생 초기부터, 피해 학생이 법률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 지원 기관을 400곳으로 확충합니다.

정부는 또, 학교 폭력을 일선에서 목격하는 교사들이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해결 과정 중 분쟁이 발생해도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으면, 교사에 법적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최정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