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폭스’ 확진자 2명 늘어 8명…‘감염원’ 파악이 관건

입력 2023.04.12 (19:32) 수정 2023.04.12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원숭이두창'으로 불렸던, '엠폭스' 확진자 2명이 추가로 확인돼, 국내 확진자가 8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최근 해외여행 이력이 없어 국내 밀접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역 사회 전파가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두처럼 피부에 생긴 발진.

발진 주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수포 중앙이 파였습니다.

'엠폭스'의 주된 증상입니다.

서울에 사는 2명이 추가로 감염돼, 국내 확진자가 8명으로 늘었습니다.

5번째 확진자까지는 해외유입이나 의료기관 내 전파였지만, 6번째부터는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됩니다.

감염 경로가 바뀌고 있는 겁니다.

지역사회 감염 첫 사례, 6번째 확진자에 대한 1차 역학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전남에 사는 이 확진자는 최근 부산에서 감염원 추정 인물과 밀접접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방역당국은 이 감염원 추정 인물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임숙영/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 : "6번째 환자가 감염원으로 추정되는 분을 익명으로 만났습니다. (환자분도) 그 상대방의 이름이라든가 아니면 연락처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엠폭스는 수포를 직접 만지거나 성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되는 만큼 대규모 확산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동성 간 전파 사례가 많아 감염이 의심돼도 신고를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재훈/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 "지금처럼 사회적 낙인이 이어지는 분위기이고, 어떻게 보면 감염자에 대해서 죄책감을 주는 형태의 방역정책이 되면 그게 환자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서…."]

엠폭스는 중증도가 1% 미만으로 낮고 국내에 백신과 치료제가 충분하다며, 의심 증상이 있으면 질병청 콜센터로 신고해달라고 방역당국은 권고했습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영상편집:이상민/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엠폭스’ 확진자 2명 늘어 8명…‘감염원’ 파악이 관건
    • 입력 2023-04-12 19:31:59
    • 수정2023-04-12 19:41:16
    뉴스 7
[앵커]

'원숭이두창'으로 불렸던, '엠폭스' 확진자 2명이 추가로 확인돼, 국내 확진자가 8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최근 해외여행 이력이 없어 국내 밀접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역 사회 전파가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두처럼 피부에 생긴 발진.

발진 주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수포 중앙이 파였습니다.

'엠폭스'의 주된 증상입니다.

서울에 사는 2명이 추가로 감염돼, 국내 확진자가 8명으로 늘었습니다.

5번째 확진자까지는 해외유입이나 의료기관 내 전파였지만, 6번째부터는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됩니다.

감염 경로가 바뀌고 있는 겁니다.

지역사회 감염 첫 사례, 6번째 확진자에 대한 1차 역학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전남에 사는 이 확진자는 최근 부산에서 감염원 추정 인물과 밀접접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방역당국은 이 감염원 추정 인물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임숙영/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 : "6번째 환자가 감염원으로 추정되는 분을 익명으로 만났습니다. (환자분도) 그 상대방의 이름이라든가 아니면 연락처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엠폭스는 수포를 직접 만지거나 성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되는 만큼 대규모 확산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동성 간 전파 사례가 많아 감염이 의심돼도 신고를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재훈/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 "지금처럼 사회적 낙인이 이어지는 분위기이고, 어떻게 보면 감염자에 대해서 죄책감을 주는 형태의 방역정책이 되면 그게 환자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서…."]

엠폭스는 중증도가 1% 미만으로 낮고 국내에 백신과 치료제가 충분하다며, 의심 증상이 있으면 질병청 콜센터로 신고해달라고 방역당국은 권고했습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영상편집:이상민/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