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과 생존 학생의 9년…“슬픔보단 치유와 회복”

입력 2023.04.16 (21:06) 수정 2023.04.16 (2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픈 기억은 잊고 싶기 마련이지만, 9년의 세월 동안, 유가족과 생존자들은 오히려 잊지 않기 위한 방법을 찾아왔습니다.

슬픔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끌어안고 극복해온 과정들, 이도윤 기자가 담아왔습니다.

[리포트]

안산에서 온 단원들이 극장으로 들어섭니다.

참사 이후, 가족들의 여정을 다룬 연극을 공연하는 날입니다.

세월호 가족 7명이 직접 배역을 맡습니다.

분장은 능숙해졌지만, 무대는 매번 떨립니다.

["이제 청심환도 안 들어, 어떻게 할 거야."]

농담으로 리허설 분위기를 띄워봅니다.

["스타일이라고나 할까. 혀가 지금, 입이 안 풀렸어."]

함께였기에, 한때 잃었던 웃음도 조금씩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미경/이영만 어머니 : "(예전엔) '유가족다움'을 요구하는 거에 제가 그렇게 (부응)했었다면 (지금은)저도 웃고 싶을 땐 마음껏 웃고 있는 그대로를 내 모습대로 살았으면 좋겠다..."]

["오늘 은평을 한번 들었다 놔 봅시다. 4.16 가족극단 노란 리본 파이팅!"]

["막둥아~ 밥 먹어~"]

무대 위에서나마, 꿈에서나 만났던 자식을 안아봅니다.

["왜 이제 왔어...보고 싶었잖아."]

막이 예순두 번 내리는 동안, 엄마는 늘 자식과 함께였습니다.

[박유신/정예진 어머니 : "(아이가)무대에 서는 걸 좋아했는데 어쩌다 제가 예진이 대신하게 되니까 공연할 때도 우리 아이한테 검증받는다는 심정으로..."]

세월호 참사 생존자, 유가영 씨가 9년 만에 교실을 찾았습니다.

괴로움은 때로 심하게 유 씨를 짓눌렀지만, 나아가는 법을 배웠습니다.

[유가영/'바람이 되어 살아낼게' 저자 : "이게 바로 사회 생활이고 이게 인생이구나 조금 쓴맛도 알아가면서. 스스로 돈도 벌어보고 맛있는 것도 사 먹고 취미생활도 즐기고 그냥 하다 보니까 이게 사는 거구나..."]

유 씨의 삶 역시 취업을 고민하는 여느 20대 청년들과 다르지 않습니다.

[유가영/'바람이 되어 살아낼게' 저자 : "(면접에서) 떨어졌을 때는 좀 슬프긴 했는데, 아무래도 좀 젊으니까. 이 사람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구나, 똑같이 그냥 힘든 일을 겪었을 뿐이고 이거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이 노력을 하고 있구나, 이런 걸 알아주셨으면 해요."]

지난 9년을 담은 책엔 참사 생존자의 못다한 이야기들과 앞으로의 삶 역시 스스로 지탱하리라는 다짐을 함께 담았습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가족과 생존 학생의 9년…“슬픔보단 치유와 회복”
    • 입력 2023-04-16 21:06:56
    • 수정2023-04-16 21:46:03
    뉴스 9
[앵커]

아픈 기억은 잊고 싶기 마련이지만, 9년의 세월 동안, 유가족과 생존자들은 오히려 잊지 않기 위한 방법을 찾아왔습니다.

슬픔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끌어안고 극복해온 과정들, 이도윤 기자가 담아왔습니다.

[리포트]

안산에서 온 단원들이 극장으로 들어섭니다.

참사 이후, 가족들의 여정을 다룬 연극을 공연하는 날입니다.

세월호 가족 7명이 직접 배역을 맡습니다.

분장은 능숙해졌지만, 무대는 매번 떨립니다.

["이제 청심환도 안 들어, 어떻게 할 거야."]

농담으로 리허설 분위기를 띄워봅니다.

["스타일이라고나 할까. 혀가 지금, 입이 안 풀렸어."]

함께였기에, 한때 잃었던 웃음도 조금씩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미경/이영만 어머니 : "(예전엔) '유가족다움'을 요구하는 거에 제가 그렇게 (부응)했었다면 (지금은)저도 웃고 싶을 땐 마음껏 웃고 있는 그대로를 내 모습대로 살았으면 좋겠다..."]

["오늘 은평을 한번 들었다 놔 봅시다. 4.16 가족극단 노란 리본 파이팅!"]

["막둥아~ 밥 먹어~"]

무대 위에서나마, 꿈에서나 만났던 자식을 안아봅니다.

["왜 이제 왔어...보고 싶었잖아."]

막이 예순두 번 내리는 동안, 엄마는 늘 자식과 함께였습니다.

[박유신/정예진 어머니 : "(아이가)무대에 서는 걸 좋아했는데 어쩌다 제가 예진이 대신하게 되니까 공연할 때도 우리 아이한테 검증받는다는 심정으로..."]

세월호 참사 생존자, 유가영 씨가 9년 만에 교실을 찾았습니다.

괴로움은 때로 심하게 유 씨를 짓눌렀지만, 나아가는 법을 배웠습니다.

[유가영/'바람이 되어 살아낼게' 저자 : "이게 바로 사회 생활이고 이게 인생이구나 조금 쓴맛도 알아가면서. 스스로 돈도 벌어보고 맛있는 것도 사 먹고 취미생활도 즐기고 그냥 하다 보니까 이게 사는 거구나..."]

유 씨의 삶 역시 취업을 고민하는 여느 20대 청년들과 다르지 않습니다.

[유가영/'바람이 되어 살아낼게' 저자 : "(면접에서) 떨어졌을 때는 좀 슬프긴 했는데, 아무래도 좀 젊으니까. 이 사람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구나, 똑같이 그냥 힘든 일을 겪었을 뿐이고 이거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이 노력을 하고 있구나, 이런 걸 알아주셨으면 해요."]

지난 9년을 담은 책엔 참사 생존자의 못다한 이야기들과 앞으로의 삶 역시 스스로 지탱하리라는 다짐을 함께 담았습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