뺨 때리고 발길질…구급대원 폭행 ‘엄중 대응’

입력 2023.04.17 (07:39) 수정 2023.04.17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다음은 네트워크 소식입니다.

119구급대원들이 구조 현장에서 폭행 당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부분 술 취한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데, 소방청은 관련 법 개정과 보호 장비 확충을 통해 구급대원 폭행에 엄중히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거리 한복판에서 만취한 남성이 소란을 피웁니다.

잠시 뒤 구급대원이 병원에 가겠느냐고 묻자, 다짜고짜 뺨을 때립니다.

["뭐 하는 거예요, 지금."]

머리에 피를 흘린 채 구급차에 누워 있는 남성, 상태를 살피는 구급대원을 향해 발길질하더니 머리채를 잡으려 달려듭니다.

피해 구급대원은 한 달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폭행 피해 구급대원 : "지금도 한 번씩 생각하면 울컥울컥하면서 전화 받으면서도 그때 생각이 나서 심장이 약간 좀 뛴다고 해야 하나…."]

최근 3년 전국에서 발생한 구급대원 폭행 사례는 730여 건, 10건 중 9건이 술 취한 사람에 의해 발생했는데, 음주 등 심신 미약을 이유로 대부분 벌금형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2021년 10월 관련 법이 개정돼, 구급대원을 폭행할 경우 심신 미약을 이유로 감경받을 수 없도록 했습니다.

구급차 안에서 폭행이 발생하면 경찰과 소방 상황실에 즉각 알리는 실시간 신고 시스템을 설치하고, 구급대원들의 몸에 '바디 캠'까지 부착해 입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류용규/마산소방서 대응구조과 :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구급대원이 피해를 입기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들께서 원활한 구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급대원에 대한 폭행은 응급환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 21대 국회에서는 구급대원을 폭행할 경우 처벌을 강화하는 법 개정안도 2건이 발의됐습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그래픽:박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뺨 때리고 발길질…구급대원 폭행 ‘엄중 대응’
    • 입력 2023-04-17 07:39:24
    • 수정2023-04-17 08:01:16
    뉴스광장(울산)
[앵커]

다음은 네트워크 소식입니다.

119구급대원들이 구조 현장에서 폭행 당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부분 술 취한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데, 소방청은 관련 법 개정과 보호 장비 확충을 통해 구급대원 폭행에 엄중히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거리 한복판에서 만취한 남성이 소란을 피웁니다.

잠시 뒤 구급대원이 병원에 가겠느냐고 묻자, 다짜고짜 뺨을 때립니다.

["뭐 하는 거예요, 지금."]

머리에 피를 흘린 채 구급차에 누워 있는 남성, 상태를 살피는 구급대원을 향해 발길질하더니 머리채를 잡으려 달려듭니다.

피해 구급대원은 한 달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폭행 피해 구급대원 : "지금도 한 번씩 생각하면 울컥울컥하면서 전화 받으면서도 그때 생각이 나서 심장이 약간 좀 뛴다고 해야 하나…."]

최근 3년 전국에서 발생한 구급대원 폭행 사례는 730여 건, 10건 중 9건이 술 취한 사람에 의해 발생했는데, 음주 등 심신 미약을 이유로 대부분 벌금형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2021년 10월 관련 법이 개정돼, 구급대원을 폭행할 경우 심신 미약을 이유로 감경받을 수 없도록 했습니다.

구급차 안에서 폭행이 발생하면 경찰과 소방 상황실에 즉각 알리는 실시간 신고 시스템을 설치하고, 구급대원들의 몸에 '바디 캠'까지 부착해 입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류용규/마산소방서 대응구조과 :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구급대원이 피해를 입기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들께서 원활한 구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급대원에 대한 폭행은 응급환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 21대 국회에서는 구급대원을 폭행할 경우 처벌을 강화하는 법 개정안도 2건이 발의됐습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그래픽:박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