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에도 창원 시내버스 또 멈추나?
입력 2023.04.18 (21:36)
수정 2023.11.11 (04: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창원시 시내버스 9개 회사와 노동조합의 임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2021년 9월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한 이후에도 시내버스 파업 논란이 반복되는데요.
막바지 협상이 진행 중인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손원혁 기자, 협상에 진전이 있나요?
[리포트]
오늘(18일) 오후 3시부터 시작된 창원 시내버스 노사의 임단협 2차 조정회의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파업을 앞둔 마지막 협상인만큼 노사 양측은 밤샘 마라톤 협상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조정회의에는 창원 시내버스 9개 회사 가운데 8개 회사가 참여했습니다.
나머지 한 개 회사도 협상 결과를 따를 것으로 전해집니다.
노조 측은 임금 7.4% 인상과 휴게시간 보장, 정년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고, 사측은 지난해 임금을 7.5% 인상했다며 올해 서울과 부산 수준인 3.5% 이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재까지 노사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노조 측은 협상이 결렬되면 내일(19일) 새벽 5시부터 9개 회사 689대 전체가 합법적인 파업권 행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창원지역 시내버스 95%에 해당하는 수입니다.
창원시는 비상 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등 152대를 임시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택시 8백 대를 버스 노선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지난해와 2021년에도 창원 시내버스는 파업 당일 새벽 극적 타결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준공영제 시행에도 창원에서는 4년째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사흘 동안 파업을 하기도 해 타결을 전망하기 쉽지 않은데 파업 돌입까지 협상 시간은 8시간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최현진
창원시 시내버스 9개 회사와 노동조합의 임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2021년 9월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한 이후에도 시내버스 파업 논란이 반복되는데요.
막바지 협상이 진행 중인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손원혁 기자, 협상에 진전이 있나요?
[리포트]
오늘(18일) 오후 3시부터 시작된 창원 시내버스 노사의 임단협 2차 조정회의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파업을 앞둔 마지막 협상인만큼 노사 양측은 밤샘 마라톤 협상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조정회의에는 창원 시내버스 9개 회사 가운데 8개 회사가 참여했습니다.
나머지 한 개 회사도 협상 결과를 따를 것으로 전해집니다.
노조 측은 임금 7.4% 인상과 휴게시간 보장, 정년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고, 사측은 지난해 임금을 7.5% 인상했다며 올해 서울과 부산 수준인 3.5% 이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재까지 노사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노조 측은 협상이 결렬되면 내일(19일) 새벽 5시부터 9개 회사 689대 전체가 합법적인 파업권 행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창원지역 시내버스 95%에 해당하는 수입니다.
창원시는 비상 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등 152대를 임시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택시 8백 대를 버스 노선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지난해와 2021년에도 창원 시내버스는 파업 당일 새벽 극적 타결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준공영제 시행에도 창원에서는 4년째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사흘 동안 파업을 하기도 해 타결을 전망하기 쉽지 않은데 파업 돌입까지 협상 시간은 8시간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최현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준공영제에도 창원 시내버스 또 멈추나?
-
- 입력 2023-04-18 21:36:15
- 수정2023-11-11 04:11:20

[앵커]
창원시 시내버스 9개 회사와 노동조합의 임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2021년 9월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한 이후에도 시내버스 파업 논란이 반복되는데요.
막바지 협상이 진행 중인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손원혁 기자, 협상에 진전이 있나요?
[리포트]
오늘(18일) 오후 3시부터 시작된 창원 시내버스 노사의 임단협 2차 조정회의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파업을 앞둔 마지막 협상인만큼 노사 양측은 밤샘 마라톤 협상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조정회의에는 창원 시내버스 9개 회사 가운데 8개 회사가 참여했습니다.
나머지 한 개 회사도 협상 결과를 따를 것으로 전해집니다.
노조 측은 임금 7.4% 인상과 휴게시간 보장, 정년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고, 사측은 지난해 임금을 7.5% 인상했다며 올해 서울과 부산 수준인 3.5% 이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재까지 노사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노조 측은 협상이 결렬되면 내일(19일) 새벽 5시부터 9개 회사 689대 전체가 합법적인 파업권 행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창원지역 시내버스 95%에 해당하는 수입니다.
창원시는 비상 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등 152대를 임시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택시 8백 대를 버스 노선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지난해와 2021년에도 창원 시내버스는 파업 당일 새벽 극적 타결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준공영제 시행에도 창원에서는 4년째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사흘 동안 파업을 하기도 해 타결을 전망하기 쉽지 않은데 파업 돌입까지 협상 시간은 8시간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최현진
창원시 시내버스 9개 회사와 노동조합의 임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2021년 9월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한 이후에도 시내버스 파업 논란이 반복되는데요.
막바지 협상이 진행 중인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손원혁 기자, 협상에 진전이 있나요?
[리포트]
오늘(18일) 오후 3시부터 시작된 창원 시내버스 노사의 임단협 2차 조정회의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파업을 앞둔 마지막 협상인만큼 노사 양측은 밤샘 마라톤 협상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조정회의에는 창원 시내버스 9개 회사 가운데 8개 회사가 참여했습니다.
나머지 한 개 회사도 협상 결과를 따를 것으로 전해집니다.
노조 측은 임금 7.4% 인상과 휴게시간 보장, 정년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고, 사측은 지난해 임금을 7.5% 인상했다며 올해 서울과 부산 수준인 3.5% 이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재까지 노사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노조 측은 협상이 결렬되면 내일(19일) 새벽 5시부터 9개 회사 689대 전체가 합법적인 파업권 행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창원지역 시내버스 95%에 해당하는 수입니다.
창원시는 비상 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등 152대를 임시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택시 8백 대를 버스 노선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지난해와 2021년에도 창원 시내버스는 파업 당일 새벽 극적 타결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준공영제 시행에도 창원에서는 4년째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사흘 동안 파업을 하기도 해 타결을 전망하기 쉽지 않은데 파업 돌입까지 협상 시간은 8시간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최현진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