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박한 땅에 싹틔운 희망…키르기스스탄에 분 ‘새마을운동’ 바람

입력 2023.04.19 (19:36) 수정 2023.04.19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이 중앙아시아 국가 키르기스스탄에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농촌 마을이 정비되고 소득이 늘어나는 등 한국의 공적개발원조로 시작된 지역 개발 사업이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이수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앙아시아의 산악국가 키르기스스탄의 줄루-수 마을.

고속도로 바로 옆에 있어, 등하교하는 학생들이 다치는 사고가 종종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이제 마음 놓고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한국국제협력단 지원과 지역 정부 예산을 합쳐 가로등 80개를 세웠기 때문입니다.

[아키나이 멘디바예바/15살 : "수업 끝나고 친구들과 집에 가는데 어두워서 많이 무서웠습니다. 지금은 가로등이 생겨서 안전하게 다닐 수 있어서 너무 기쁘고 행복합니다."]

12년 만에 숙원 사업을 해결한 곳도 있습니다.

예산이 부족해 부지만 덩그러니 있던 유치원 설립 사업이 한국의 지원으로 첫 삽을 뜨게 된 겁니다.

[아이다 크주 루스탐벡/학부모 : "유치원이 생기고 나서 생활이 아주 편해졌습니다. 아이를 유치원에 맡기고 저는 일하러 갑니다."]

주민들이 의견을 모아 마을에 필요한 시설을 정하는 등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냈습니다.

주민들이 서로 돕는 키르기스스탄의 협동 문화 '아샤르'와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접목한 것입니다.

[지윤근/코이카 키르기스스탄사무소 부소장 : "(사업에 대한) 애정도 상당히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좀 더 지속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저희가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2021년부터 키르기스스탄을 공적개발원조 중점협력국으로 지정하고 올 한해에만 천만 달러 가까운 예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영상편집:조완기/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척박한 땅에 싹틔운 희망…키르기스스탄에 분 ‘새마을운동’ 바람
    • 입력 2023-04-19 19:36:06
    • 수정2023-04-19 19:47:09
    뉴스 7
[앵커]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이 중앙아시아 국가 키르기스스탄에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농촌 마을이 정비되고 소득이 늘어나는 등 한국의 공적개발원조로 시작된 지역 개발 사업이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이수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앙아시아의 산악국가 키르기스스탄의 줄루-수 마을.

고속도로 바로 옆에 있어, 등하교하는 학생들이 다치는 사고가 종종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이제 마음 놓고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한국국제협력단 지원과 지역 정부 예산을 합쳐 가로등 80개를 세웠기 때문입니다.

[아키나이 멘디바예바/15살 : "수업 끝나고 친구들과 집에 가는데 어두워서 많이 무서웠습니다. 지금은 가로등이 생겨서 안전하게 다닐 수 있어서 너무 기쁘고 행복합니다."]

12년 만에 숙원 사업을 해결한 곳도 있습니다.

예산이 부족해 부지만 덩그러니 있던 유치원 설립 사업이 한국의 지원으로 첫 삽을 뜨게 된 겁니다.

[아이다 크주 루스탐벡/학부모 : "유치원이 생기고 나서 생활이 아주 편해졌습니다. 아이를 유치원에 맡기고 저는 일하러 갑니다."]

주민들이 의견을 모아 마을에 필요한 시설을 정하는 등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냈습니다.

주민들이 서로 돕는 키르기스스탄의 협동 문화 '아샤르'와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접목한 것입니다.

[지윤근/코이카 키르기스스탄사무소 부소장 : "(사업에 대한) 애정도 상당히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좀 더 지속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저희가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2021년부터 키르기스스탄을 공적개발원조 중점협력국으로 지정하고 올 한해에만 천만 달러 가까운 예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영상편집:조완기/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