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한국 기여 환영”…러 “무기 제공은 반러 적대”

입력 2023.04.20 (19:04) 수정 2023.04.20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시사한 발언에 대해 미국 정부는 한국의 기여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러시아는 거듭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가능성을 열어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미 국방부는 "나토와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환영한다"고 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미국이 이끄는 협의체를 뜻합니다.

미 국방부는 백 오십만 발이 넘는 155mm 포탄 등을 포함해 우리 돈 4천 3백억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리차드 핸슨/미 육군 탄약 공장 대표 : "포탄 주문량이 늘었냐고요? 방금 수정 요청서를 받았는데, 아직 본 건 아니지만, 주문 수량이 증가한 건 맞습니다."]

러시아는 거듭 반발 수위를 끌어올렸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오늘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은 '반러시아 적대행위'로 간주하겠다고 반발했습니다.

앞서 러시아 크렘린궁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은 러시아가 '분쟁'으로 부르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개입을 의미한다고 밝혔습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 : "물론,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공급을 시작하는 것은 분쟁에 일정 단계 개입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의미할 것입니다."]

러시아 전 대통령이자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인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도 텔레그램에 "북한에 러시아 무기가 등장한다면, 한국 사람들이 뭐라고 할지 궁금하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힘에 의한 타이완해협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윤 대통령의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 대해, 한반도와 타이완 문제는 다르다면서 말참견 말라며 반발했습니다.

또,'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면서 타이완 문제를 신중히 처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이하경입니다.

영상편집:이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한국 기여 환영”…러 “무기 제공은 반러 적대”
    • 입력 2023-04-20 19:04:01
    • 수정2023-04-20 19:44:28
    뉴스 7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시사한 발언에 대해 미국 정부는 한국의 기여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러시아는 거듭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가능성을 열어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미 국방부는 "나토와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환영한다"고 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미국이 이끄는 협의체를 뜻합니다.

미 국방부는 백 오십만 발이 넘는 155mm 포탄 등을 포함해 우리 돈 4천 3백억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리차드 핸슨/미 육군 탄약 공장 대표 : "포탄 주문량이 늘었냐고요? 방금 수정 요청서를 받았는데, 아직 본 건 아니지만, 주문 수량이 증가한 건 맞습니다."]

러시아는 거듭 반발 수위를 끌어올렸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오늘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은 '반러시아 적대행위'로 간주하겠다고 반발했습니다.

앞서 러시아 크렘린궁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은 러시아가 '분쟁'으로 부르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개입을 의미한다고 밝혔습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 : "물론,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공급을 시작하는 것은 분쟁에 일정 단계 개입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의미할 것입니다."]

러시아 전 대통령이자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인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도 텔레그램에 "북한에 러시아 무기가 등장한다면, 한국 사람들이 뭐라고 할지 궁금하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힘에 의한 타이완해협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윤 대통령의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 대해, 한반도와 타이완 문제는 다르다면서 말참견 말라며 반발했습니다.

또,'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면서 타이완 문제를 신중히 처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이하경입니다.

영상편집:이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