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반납 편리해진 ‘타슈’…이용자 6배 늘었다

입력 2023.04.21 (08:20) 수정 2023.04.21 (08: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전시 공영자전거인 타슈의 이용 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7월, 새로워진 타슈가 도입되면서 대여와 반납이 방식이 대폭 개선됐기 때문인데, 보완할 부분도 적지 않습니다.

송민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쁘게 움직이는 학생들 사이로 주황색 자전거가 눈에 띕니다.

대전시 공영자전거 타슈입니다.

필요할 때마다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특히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한재민/충남대 물리학과 4학년 : "타슈1 나왔을 때 이용했는데 그때는 앞에 잠금장치가 무거워서 이용하기 불편했는데, 지금은 뒤에 잠금장치가 편리하게 돼 있어서…."]

지난해 1분기 타슈 이용 건수는 13만 8천여 건, 올해는 81만 5천여 건에 달합니다.

지난해 7월 새로운 타슈를 선보인 뒤 이용 건수가 6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스마트폰 앱만 깔면 QR코드를 활용해 손쉽게 대여와 반납을 할 수 있고 키오스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보니 대여소도 261곳에서 1,150곳으로 크게 늘어난 게 인기비결로 꼽힙니다.

무엇보다 한 시간을 무료로 이용하고 반납한 뒤 다시 대여하면 계속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게 큰 장점입니다.

[이향우/대전시 자전거팀장 : "학교에 갈 때 아니면 직장에 갈 때도 대부분 대전시는 1시간 권이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이용하실 때 1시간 내에, 아니면 2시간 안에 다 되기 때문에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면 통신 오류로 반납이 어렵거나 GPS 왜곡으로 실제와 앱상의 숫자가 불일치하는 건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또 운영비의 상당 부분을 재배치 비용으로 투입하는데, 같은 시간대, 같은 방향으로 이용자가 몰리면서 발생하는 재배치 비용도 줄여야 합니다.

[이재영/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효율적으로 단시간 안에 재배치해서 두 번째, 세 번째 이용자 그룹이 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데, 그것들을 스마트하게 디지털화하고…."]

타슈가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는 올해 2천5백 대를 추가 보급해 타슈 운영 대수를 5천 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여·반납 편리해진 ‘타슈’…이용자 6배 늘었다
    • 입력 2023-04-21 08:20:05
    • 수정2023-04-21 08:27:56
    뉴스광장(대전)
[앵커]

대전시 공영자전거인 타슈의 이용 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7월, 새로워진 타슈가 도입되면서 대여와 반납이 방식이 대폭 개선됐기 때문인데, 보완할 부분도 적지 않습니다.

송민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쁘게 움직이는 학생들 사이로 주황색 자전거가 눈에 띕니다.

대전시 공영자전거 타슈입니다.

필요할 때마다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특히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한재민/충남대 물리학과 4학년 : "타슈1 나왔을 때 이용했는데 그때는 앞에 잠금장치가 무거워서 이용하기 불편했는데, 지금은 뒤에 잠금장치가 편리하게 돼 있어서…."]

지난해 1분기 타슈 이용 건수는 13만 8천여 건, 올해는 81만 5천여 건에 달합니다.

지난해 7월 새로운 타슈를 선보인 뒤 이용 건수가 6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스마트폰 앱만 깔면 QR코드를 활용해 손쉽게 대여와 반납을 할 수 있고 키오스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보니 대여소도 261곳에서 1,150곳으로 크게 늘어난 게 인기비결로 꼽힙니다.

무엇보다 한 시간을 무료로 이용하고 반납한 뒤 다시 대여하면 계속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게 큰 장점입니다.

[이향우/대전시 자전거팀장 : "학교에 갈 때 아니면 직장에 갈 때도 대부분 대전시는 1시간 권이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이용하실 때 1시간 내에, 아니면 2시간 안에 다 되기 때문에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면 통신 오류로 반납이 어렵거나 GPS 왜곡으로 실제와 앱상의 숫자가 불일치하는 건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또 운영비의 상당 부분을 재배치 비용으로 투입하는데, 같은 시간대, 같은 방향으로 이용자가 몰리면서 발생하는 재배치 비용도 줄여야 합니다.

[이재영/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효율적으로 단시간 안에 재배치해서 두 번째, 세 번째 이용자 그룹이 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데, 그것들을 스마트하게 디지털화하고…."]

타슈가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는 올해 2천5백 대를 추가 보급해 타슈 운영 대수를 5천 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