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유보”
입력 2023.04.21 (08:44)
수정 2023.04.21 (08: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부가 올해 초 대통령 업무 보고에 추진 과제로 포함했던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계획을 유보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오늘(21일) 설명자료를 통해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방안 논의를 당분간 유보하되, 시급한 과제인 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과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우선은 현 교원양성과정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어제(20일) “의견 수렴을 통해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교육부가 교전원 시범운영 계획을 유보하되 양성체제 개편 논의가 계속 발전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 교육 개혁의 주요 의제가 돼야 한다는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의 인식에 깊이 공감한다”며 “교원양성대학과 학교 현장의 의견을 적극 경청하면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초 주요 업무추진계획에서 교원 양성 체제를 개편해야 한다면서 교전원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4년제인 교·사대 교육과정을 개편해 수업 연한을 5~6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담아 올해 4월 시범 운영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교전원을 출범시키겠다고 했지만 계획 수립 과정에서 정책 당사자인 예비, 현직 교사들과의 논의가 없었다는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교육부는 오늘(21일) 설명자료를 통해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방안 논의를 당분간 유보하되, 시급한 과제인 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과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우선은 현 교원양성과정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어제(20일) “의견 수렴을 통해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교육부가 교전원 시범운영 계획을 유보하되 양성체제 개편 논의가 계속 발전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 교육 개혁의 주요 의제가 돼야 한다는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의 인식에 깊이 공감한다”며 “교원양성대학과 학교 현장의 의견을 적극 경청하면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초 주요 업무추진계획에서 교원 양성 체제를 개편해야 한다면서 교전원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4년제인 교·사대 교육과정을 개편해 수업 연한을 5~6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담아 올해 4월 시범 운영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교전원을 출범시키겠다고 했지만 계획 수립 과정에서 정책 당사자인 예비, 현직 교사들과의 논의가 없었다는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교육부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유보”
-
- 입력 2023-04-21 08:44:39
- 수정2023-04-21 08:47:19

교육부가 올해 초 대통령 업무 보고에 추진 과제로 포함했던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계획을 유보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오늘(21일) 설명자료를 통해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방안 논의를 당분간 유보하되, 시급한 과제인 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과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우선은 현 교원양성과정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어제(20일) “의견 수렴을 통해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교육부가 교전원 시범운영 계획을 유보하되 양성체제 개편 논의가 계속 발전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 교육 개혁의 주요 의제가 돼야 한다는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의 인식에 깊이 공감한다”며 “교원양성대학과 학교 현장의 의견을 적극 경청하면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초 주요 업무추진계획에서 교원 양성 체제를 개편해야 한다면서 교전원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4년제인 교·사대 교육과정을 개편해 수업 연한을 5~6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담아 올해 4월 시범 운영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교전원을 출범시키겠다고 했지만 계획 수립 과정에서 정책 당사자인 예비, 현직 교사들과의 논의가 없었다는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교육부는 오늘(21일) 설명자료를 통해 “교육전문대학원 시범운영 방안 논의를 당분간 유보하되, 시급한 과제인 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과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우선은 현 교원양성과정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어제(20일) “의견 수렴을 통해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교육부가 교전원 시범운영 계획을 유보하되 양성체제 개편 논의가 계속 발전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 교육 개혁의 주요 의제가 돼야 한다는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의 인식에 깊이 공감한다”며 “교원양성대학과 학교 현장의 의견을 적극 경청하면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초 주요 업무추진계획에서 교원 양성 체제를 개편해야 한다면서 교전원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4년제인 교·사대 교육과정을 개편해 수업 연한을 5~6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담아 올해 4월 시범 운영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교전원을 출범시키겠다고 했지만 계획 수립 과정에서 정책 당사자인 예비, 현직 교사들과의 논의가 없었다는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한승연 기자 hanspond@kbs.co.kr
한승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