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국의 주한중국대사 초치에 “서울·베이징서 교섭 제기”
입력 2023.04.21 (16:27)
수정 2023.04.21 (16: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의 외신 인터뷰를 비난한 중국 외교부 대변인에게 항의하기 위해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한 것에 대해 중국이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1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잘못된 발언과 관련 중국은 이미 베이징과 서울에서 한국 측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중국은 특정 사안에 외교 경로로 항의한 경우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왕 대변인은 "중국의 입장을 전면적으로 설명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한 관계의 기초라고 강조했다"며 "중한수교의 정신을 지키고 타이완 문제에서 언행에 신중히 처리할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왕 대변인은 또 "중국은 우리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고 정당하고 합리적이며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한 뒤 "한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성실히 지키고, 중국과 함께 실제 행동으로 중한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수화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타이완 해협 긴장 상황에 대해 "이런 긴장은 힘으로 현상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이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국인 자신의 일"이라며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거칠게 반발했습니다.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표현으로는 사자성어 '부용치훼'(不容置喙)를 사용했습니다.
'부용치훼'는 청나라 작가인 포송령의 소설에 등장하는 말로 상대방의 간섭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표현입니다.
강한 어조로 상대방을 비판할 때 주로 사용하는 표현인데 외교부 대변인이 상대국 정상에게 쓴 것은 이례적이어서 외교적 결례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에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저녁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1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잘못된 발언과 관련 중국은 이미 베이징과 서울에서 한국 측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중국은 특정 사안에 외교 경로로 항의한 경우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왕 대변인은 "중국의 입장을 전면적으로 설명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한 관계의 기초라고 강조했다"며 "중한수교의 정신을 지키고 타이완 문제에서 언행에 신중히 처리할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왕 대변인은 또 "중국은 우리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고 정당하고 합리적이며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한 뒤 "한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성실히 지키고, 중국과 함께 실제 행동으로 중한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수화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타이완 해협 긴장 상황에 대해 "이런 긴장은 힘으로 현상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이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국인 자신의 일"이라며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거칠게 반발했습니다.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표현으로는 사자성어 '부용치훼'(不容置喙)를 사용했습니다.
'부용치훼'는 청나라 작가인 포송령의 소설에 등장하는 말로 상대방의 간섭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표현입니다.
강한 어조로 상대방을 비판할 때 주로 사용하는 표현인데 외교부 대변인이 상대국 정상에게 쓴 것은 이례적이어서 외교적 결례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에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저녁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한국의 주한중국대사 초치에 “서울·베이징서 교섭 제기”
-
- 입력 2023-04-21 16:27:25
- 수정2023-04-21 16:57:04

한국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의 외신 인터뷰를 비난한 중국 외교부 대변인에게 항의하기 위해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한 것에 대해 중국이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1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잘못된 발언과 관련 중국은 이미 베이징과 서울에서 한국 측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중국은 특정 사안에 외교 경로로 항의한 경우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왕 대변인은 "중국의 입장을 전면적으로 설명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한 관계의 기초라고 강조했다"며 "중한수교의 정신을 지키고 타이완 문제에서 언행에 신중히 처리할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왕 대변인은 또 "중국은 우리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고 정당하고 합리적이며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한 뒤 "한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성실히 지키고, 중국과 함께 실제 행동으로 중한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수화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타이완 해협 긴장 상황에 대해 "이런 긴장은 힘으로 현상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이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국인 자신의 일"이라며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거칠게 반발했습니다.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표현으로는 사자성어 '부용치훼'(不容置喙)를 사용했습니다.
'부용치훼'는 청나라 작가인 포송령의 소설에 등장하는 말로 상대방의 간섭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표현입니다.
강한 어조로 상대방을 비판할 때 주로 사용하는 표현인데 외교부 대변인이 상대국 정상에게 쓴 것은 이례적이어서 외교적 결례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에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저녁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1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잘못된 발언과 관련 중국은 이미 베이징과 서울에서 한국 측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중국은 특정 사안에 외교 경로로 항의한 경우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왕 대변인은 "중국의 입장을 전면적으로 설명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한 관계의 기초라고 강조했다"며 "중한수교의 정신을 지키고 타이완 문제에서 언행에 신중히 처리할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왕 대변인은 또 "중국은 우리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고 정당하고 합리적이며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한 뒤 "한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성실히 지키고, 중국과 함께 실제 행동으로 중한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수화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타이완 해협 긴장 상황에 대해 "이런 긴장은 힘으로 현상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이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타이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국인 자신의 일"이라며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거칠게 반발했습니다.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표현으로는 사자성어 '부용치훼'(不容置喙)를 사용했습니다.
'부용치훼'는 청나라 작가인 포송령의 소설에 등장하는 말로 상대방의 간섭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표현입니다.
강한 어조로 상대방을 비판할 때 주로 사용하는 표현인데 외교부 대변인이 상대국 정상에게 쓴 것은 이례적이어서 외교적 결례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에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저녁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