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된 근무’·‘출퇴근 걷기’가 운동 대체?…근력 운동만이라도

입력 2023.04.24 (07:30) 수정 2023.04.24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된 노동이나 출퇴근 걷기가 운동을 대체할 수 있을까요?

국내 연구팀이 지방간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석했더니, 따로 시간 내 운동을 한 게 아니라면 이동이나 업무 중 신체 움직임은 운동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병원에서 일하는 40대 이상민 씨, 하루 8시간 초음파실을 들락거리며 일하는 노동량이 상당합니다.

[이상민/방사선사 : "(근무 중) 만보기 체크했을 때 15,000보까지 걸은 기억이 있고요. 평균적으로 봤을 때는 7,000보 내외가 되는 것 같습니다. '육체적으로 힘드니까 오히려 이게 운동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씨의 지방간 상태는 10년째 변함이 없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지방간 환자 4천 9백여 명의 생활 신체 활동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이 씨처럼 근무 중 몸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나, 출퇴근 걷기 같은 이동을 일주일에 150분 이상 했어도 지방간 발생 위험을 전혀 낮추지 못했습니다.

같은 시간 운동이나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했을 때 지방간 발생 위험이 23% 낮아진 것과 비교됩니다.

'출퇴근 걷기'는 강도가 약해 지방간을 제거할 정도로 운동량이 충분하지 못합니다.

또 장시간 노동은 단순 반복 작업 형태가 많고, 중간에 몸이 회복될 시간이 없어 오히려 스트레스만 유발하고 운동 효과는 없는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습니다.

이른바 '신체 활동의 역설'입니다.

오히려 주 2회 근력운동을 한 경우 지방간 발생 위험이 17%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동현/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근력 운동을 하게 되면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가 뼈라든지 이런 데 자극이 되면 뼈에서 다양한 호르몬들이 나오는데 호르몬 중 일부는 활성화가 되면 지방간에 굉장히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로 시간 내 운동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만 여건이 안 되면 주 2회 근력 운동만이라도 하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된 근무’·‘출퇴근 걷기’가 운동 대체?…근력 운동만이라도
    • 입력 2023-04-24 07:30:21
    • 수정2023-04-24 08:03:59
    뉴스광장
[앵커]

고된 노동이나 출퇴근 걷기가 운동을 대체할 수 있을까요?

국내 연구팀이 지방간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석했더니, 따로 시간 내 운동을 한 게 아니라면 이동이나 업무 중 신체 움직임은 운동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병원에서 일하는 40대 이상민 씨, 하루 8시간 초음파실을 들락거리며 일하는 노동량이 상당합니다.

[이상민/방사선사 : "(근무 중) 만보기 체크했을 때 15,000보까지 걸은 기억이 있고요. 평균적으로 봤을 때는 7,000보 내외가 되는 것 같습니다. '육체적으로 힘드니까 오히려 이게 운동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씨의 지방간 상태는 10년째 변함이 없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지방간 환자 4천 9백여 명의 생활 신체 활동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이 씨처럼 근무 중 몸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나, 출퇴근 걷기 같은 이동을 일주일에 150분 이상 했어도 지방간 발생 위험을 전혀 낮추지 못했습니다.

같은 시간 운동이나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했을 때 지방간 발생 위험이 23% 낮아진 것과 비교됩니다.

'출퇴근 걷기'는 강도가 약해 지방간을 제거할 정도로 운동량이 충분하지 못합니다.

또 장시간 노동은 단순 반복 작업 형태가 많고, 중간에 몸이 회복될 시간이 없어 오히려 스트레스만 유발하고 운동 효과는 없는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습니다.

이른바 '신체 활동의 역설'입니다.

오히려 주 2회 근력운동을 한 경우 지방간 발생 위험이 17%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동현/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근력 운동을 하게 되면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가 뼈라든지 이런 데 자극이 되면 뼈에서 다양한 호르몬들이 나오는데 호르몬 중 일부는 활성화가 되면 지방간에 굉장히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로 시간 내 운동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만 여건이 안 되면 주 2회 근력 운동만이라도 하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