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기지국의 변신…미세먼지·지진 측정에 하늘길 안내까지

입력 2023.04.24 (12:23) 수정 2023.04.24 (1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국에는 150만 개가 넘는 이동통신사 기지국이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나 건물 옥상은 물론이고, 깊은 산 중턱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요.

본연의 통신 기능뿐 아니라 미세먼지 측정이나 지진 감지 등 사회 기반시설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학 캠퍼스 옥상입니다.

통신사 기지국 안테나가 빼곡히 설치돼 있고, 한쪽엔 작은 상자 모양 장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여기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오존 농도 등 공기 질을 측정해 포털사이트로 실시간 전송합니다.

이렇게 공기 질 측정 장비가 설치된 기지국은 전국에 2천여 개로 정부와 지자체 미세먼지 측정소보다 4배 더 많습니다.

기지국 전원과 통신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면 돼 비용이 덜 들고 장소 확보도 편리합니다.

[박민호/KT 그린DX 사업담당 팀장 : "기지국 중에서 특히 유동 인구가 많거나 생활 체감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소를 데이터 기반으로 선정해서 운용을 하고 있습니다."]

기지국 3천여 곳에는 지진 측정 장비도 들어가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 등 생활 공간과 밀접한 곳에서 진동을 신속히 감지하는 게 목표입니다.

[김정규/SK텔레콤 인프라비엠팀 매니저 : "기상청 (지진) 관측망과 저희의 센서 네트워크망을 융합해서 조금 더 국민에게 조기 경보와 정확한 진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일명 '플라잉카'로 불리는 도심항공교통, UAM에도 기지국이 활용됩니다.

기지국 안테나를 하늘 방향으로 틀어 고도 600미터까지 상공 통신망을 구축해 UAM의 하늘 길을 여는 연구가 한창입니다.

[이형주/SK텔레콤 뉴커넥티비티팀 매니저 : "(UAM) 충돌 방지라든지 그런 것을 위해서 비행기가 어떻게 지금 경로를 바꿔야 한다든지 경로 변경 같은 데이터를 (기지국에서) 보내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차세대 기술에 접목하려면 초고주파인 28GHz 대역이 필요한데, 통신사들이 비용 문제 등으로 기지국 구축에 소극적이어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김태석/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신기지국의 변신…미세먼지·지진 측정에 하늘길 안내까지
    • 입력 2023-04-24 12:23:47
    • 수정2023-04-24 12:30:18
    뉴스 12
[앵커]

전국에는 150만 개가 넘는 이동통신사 기지국이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나 건물 옥상은 물론이고, 깊은 산 중턱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요.

본연의 통신 기능뿐 아니라 미세먼지 측정이나 지진 감지 등 사회 기반시설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학 캠퍼스 옥상입니다.

통신사 기지국 안테나가 빼곡히 설치돼 있고, 한쪽엔 작은 상자 모양 장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여기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오존 농도 등 공기 질을 측정해 포털사이트로 실시간 전송합니다.

이렇게 공기 질 측정 장비가 설치된 기지국은 전국에 2천여 개로 정부와 지자체 미세먼지 측정소보다 4배 더 많습니다.

기지국 전원과 통신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면 돼 비용이 덜 들고 장소 확보도 편리합니다.

[박민호/KT 그린DX 사업담당 팀장 : "기지국 중에서 특히 유동 인구가 많거나 생활 체감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소를 데이터 기반으로 선정해서 운용을 하고 있습니다."]

기지국 3천여 곳에는 지진 측정 장비도 들어가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 등 생활 공간과 밀접한 곳에서 진동을 신속히 감지하는 게 목표입니다.

[김정규/SK텔레콤 인프라비엠팀 매니저 : "기상청 (지진) 관측망과 저희의 센서 네트워크망을 융합해서 조금 더 국민에게 조기 경보와 정확한 진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일명 '플라잉카'로 불리는 도심항공교통, UAM에도 기지국이 활용됩니다.

기지국 안테나를 하늘 방향으로 틀어 고도 600미터까지 상공 통신망을 구축해 UAM의 하늘 길을 여는 연구가 한창입니다.

[이형주/SK텔레콤 뉴커넥티비티팀 매니저 : "(UAM) 충돌 방지라든지 그런 것을 위해서 비행기가 어떻게 지금 경로를 바꿔야 한다든지 경로 변경 같은 데이터를 (기지국에서) 보내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차세대 기술에 접목하려면 초고주파인 28GHz 대역이 필요한데, 통신사들이 비용 문제 등으로 기지국 구축에 소극적이어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김태석/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