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맥] 글로컬대학 30곳 육성…존폐 기로 지방대 돌파구 될까

입력 2023.04.24 (19:22) 수정 2023.04.24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벚꽃이 지고 나뭇잎이 푸르러지는 계절이 왔습니다.

벚꽃이 피고 지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지방대의 존폐위기론은 올해도 대학가를 술렁이게 했습니다.

바로 지난 18일 정부가 확정 발표한 '글로컬 대학 육성' 추진 방안에 대한 기대와 걱정 때문입니다.

글로컬은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합성어죠.

쉽게 말해 지역의 산업과 경제, 문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대학을 만들겠다는 의미입니다.

교육부의 추진 계획은 이렇습니다.

2026년까지 30곳의 비수도권 대학을 선정해 한 학교당 1년에 2백억 원씩, 5년 동안 모두 천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당장 올해 9월에 10곳을 선정합니다.

비수도권 대학이 전국적으로 150여 곳인 점을 감안하면 5곳 가운데 1곳만 선정되는 셈입니다.

벌써부터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내세운 최우선 선정 기준은 대학 혁신인데, 대표적인 혁신 사례 중 하나로 '대학 간 통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는 안동대와 금오공대, 경북도립대가 발빠르게 통합 검토를 시작했고, 타 시·도 역시 경남에서 창원대와 경상국립대, 강원도도 강원대와 강릉 원주대가 통합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또다른 선정 기준은 대학의 지역 기여도입니다.

해당 지역의 산업과 경제,문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연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대학 내부와 구성원 간의 충분한 논의와 동의도 필요합니다.

교육부는 글로컬 대학을 선정해 파격적인 지원을 하는 대신 사업 성과와 영향력을 엄격히 평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글로컬 대학 선정 후 3년차와 5년차에 목표 달성여부를 평가하고, 미달할 경우 사업비를 환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 달 정부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체계, 즉 라이즈(RISE) 사업 또한 발표했었습니다.

중앙정부가 쥐고 있던 연 2조 원 규모의 대학 재정지원 사업 집행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넘긴다는 내용입니다.

정부가 죽어가는 지방대 살리기에 대대적으로 나선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지역이나 대학 내부에서는 이를 곱지않게 보는 시선도 있습니다.

정부가 지역 대학, 지역민들과 충분한 공론화 과정도 없이 학령인구 급감을 이유로 대학 줄세우기와 무차별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외국 지방대학들의 사정은 어떤지 한 번 살펴볼까요?

미국 보스턴 근교에는 전임 교원수가 서른 명 남짓이고 학생 수는 3백여 명에 불과한 '올린 공대'가 있습니다.

올린공대는 아마존과 화이자, 포드 등 글로벌 기업들과 산학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교과과정은 5년에 한 번씩 개편하고 교원들도 5년마다 재계약을 합니다.

정년을 보장해주지 않는 겁니다.

학생들 대부분 2학년이 되면 기업으로 파견돼 기업이 원하는 인재로 커 나가게 됩니다.

지역밀착형과 동시에 세계적 수준의 기업과 협업하게 되는 겁니다.

특정 지역에 인구가 몰리지 않고 균형 발전을 하고 있는 독일을 한번 볼까요?

2006년 헌법 개정을 통해 지방정부의 '예외입법권'을 도입한 독일은 지방정부가 그 지역 대학을 지원하고 감독합니다.

지역의 특색에 맞게 예산도 증감할 수 있고 교육과정 자체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지방의 작은 대학인 미텔슈탄트 대학은 폭스바겐,BMW, 머크사 등에 인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대학에 대한 재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관해 와야 하는 우리가 모델로 삼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글로컬 대학 육성을 성공시키려면 선정 과정에서의 공정성 확보는 물론 선정 후 관리도 철저히 해야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 스스로도 지역 인재육성과 경제발전의 전초기지라는 책임감과 함께 지금껏과는 다른 대변화가 필요합니다.

교육부 재정지원 사업 가운데 역대 최대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글로컬 대학 육성사업.

지방대와 지역 소멸의 위기를 극복할 마중물이 될 수 있을 지 기대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쇼맥뉴스 곽근아입니다.

그래픽:인푸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쇼맥] 글로컬대학 30곳 육성…존폐 기로 지방대 돌파구 될까
    • 입력 2023-04-24 19:22:06
    • 수정2023-04-24 20:01:44
    뉴스7(대구)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벚꽃이 지고 나뭇잎이 푸르러지는 계절이 왔습니다.

벚꽃이 피고 지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지방대의 존폐위기론은 올해도 대학가를 술렁이게 했습니다.

바로 지난 18일 정부가 확정 발표한 '글로컬 대학 육성' 추진 방안에 대한 기대와 걱정 때문입니다.

글로컬은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합성어죠.

쉽게 말해 지역의 산업과 경제, 문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대학을 만들겠다는 의미입니다.

교육부의 추진 계획은 이렇습니다.

2026년까지 30곳의 비수도권 대학을 선정해 한 학교당 1년에 2백억 원씩, 5년 동안 모두 천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당장 올해 9월에 10곳을 선정합니다.

비수도권 대학이 전국적으로 150여 곳인 점을 감안하면 5곳 가운데 1곳만 선정되는 셈입니다.

벌써부터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내세운 최우선 선정 기준은 대학 혁신인데, 대표적인 혁신 사례 중 하나로 '대학 간 통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는 안동대와 금오공대, 경북도립대가 발빠르게 통합 검토를 시작했고, 타 시·도 역시 경남에서 창원대와 경상국립대, 강원도도 강원대와 강릉 원주대가 통합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또다른 선정 기준은 대학의 지역 기여도입니다.

해당 지역의 산업과 경제,문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연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대학 내부와 구성원 간의 충분한 논의와 동의도 필요합니다.

교육부는 글로컬 대학을 선정해 파격적인 지원을 하는 대신 사업 성과와 영향력을 엄격히 평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글로컬 대학 선정 후 3년차와 5년차에 목표 달성여부를 평가하고, 미달할 경우 사업비를 환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 달 정부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체계, 즉 라이즈(RISE) 사업 또한 발표했었습니다.

중앙정부가 쥐고 있던 연 2조 원 규모의 대학 재정지원 사업 집행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넘긴다는 내용입니다.

정부가 죽어가는 지방대 살리기에 대대적으로 나선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지역이나 대학 내부에서는 이를 곱지않게 보는 시선도 있습니다.

정부가 지역 대학, 지역민들과 충분한 공론화 과정도 없이 학령인구 급감을 이유로 대학 줄세우기와 무차별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외국 지방대학들의 사정은 어떤지 한 번 살펴볼까요?

미국 보스턴 근교에는 전임 교원수가 서른 명 남짓이고 학생 수는 3백여 명에 불과한 '올린 공대'가 있습니다.

올린공대는 아마존과 화이자, 포드 등 글로벌 기업들과 산학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교과과정은 5년에 한 번씩 개편하고 교원들도 5년마다 재계약을 합니다.

정년을 보장해주지 않는 겁니다.

학생들 대부분 2학년이 되면 기업으로 파견돼 기업이 원하는 인재로 커 나가게 됩니다.

지역밀착형과 동시에 세계적 수준의 기업과 협업하게 되는 겁니다.

특정 지역에 인구가 몰리지 않고 균형 발전을 하고 있는 독일을 한번 볼까요?

2006년 헌법 개정을 통해 지방정부의 '예외입법권'을 도입한 독일은 지방정부가 그 지역 대학을 지원하고 감독합니다.

지역의 특색에 맞게 예산도 증감할 수 있고 교육과정 자체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지방의 작은 대학인 미텔슈탄트 대학은 폭스바겐,BMW, 머크사 등에 인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대학에 대한 재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관해 와야 하는 우리가 모델로 삼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글로컬 대학 육성을 성공시키려면 선정 과정에서의 공정성 확보는 물론 선정 후 관리도 철저히 해야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 스스로도 지역 인재육성과 경제발전의 전초기지라는 책임감과 함께 지금껏과는 다른 대변화가 필요합니다.

교육부 재정지원 사업 가운데 역대 최대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글로컬 대학 육성사업.

지방대와 지역 소멸의 위기를 극복할 마중물이 될 수 있을 지 기대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쇼맥뉴스 곽근아입니다.

그래픽:인푸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