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지 토양에서 ‘발암물질’…“최대 100배 검출”

입력 2023.04.25 (07:44) 수정 2023.04.25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불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여러 유독성 물질을 배출합니다.

산불의 경우, 넓은 면적을 한꺼번에 태우기 때문에 유독성 물질이 더 많이 나올 수밖에 없겠죠.

실제로 한 연구팀 조사 결과, 산불 피해지 흙 속에서 맹독성 발암물질이 일반 흙보다 100배 이상 많이 검출됐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산불이 휩쓸고 간 소나무 숲입니다.

나무 밑동과 흙, 낙엽까지 온통 새까맣게 타버렸습니다.

지금 이렇게 보면, 바닥에 재들이 새까맣게 가득 쌓여있습니다. 그 주변으로는 일상용품들도 곳곳에 녹아있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김용성/강릉소방서 의용소방대장 : "가래라든가 이런 부분이 짧게는 일주일, 많게는 보름까지도 많이 발생하고요. 그을음, 냄새 이런 게 잘 안 빠져요."]

지금까지 산불 피해 조사는 인명과 재산피해에만 집중돼 왔고, 산불 이후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알려진 게 거의 없습니다.

강원대학교 연구팀이 토양 조사에 나선 이유입니다.

지난해 3,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동해와 양구의 토양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습니다.

모든 시료에서 맹독성 발암물질인 '나이트로사민'이 1㎏에 평균 38에서 40마이크로그램 나왔습니다.

불이 난 곳에서 150미터 떨어진 밭에서도 비슷한 농도로 검출됐습니다.

일반 토양 검출량과 비교하면 100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특히, 한달 뒤 채취한 토양에서도 발암물질이 검출됐습니다.

[김희갑/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교수 : "빗물을 따라서 인근 환경, 토양이라든가 수계로 이동을 잘 하는 성질도 갖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산불 피해가 인근 토양과 수질, 더 나아가 사람에게까지 연쇄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최혁환/영상편집:신정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피해지 토양에서 ‘발암물질’…“최대 100배 검출”
    • 입력 2023-04-25 07:44:24
    • 수정2023-04-25 07:47:45
    뉴스광장
[앵커]

불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여러 유독성 물질을 배출합니다.

산불의 경우, 넓은 면적을 한꺼번에 태우기 때문에 유독성 물질이 더 많이 나올 수밖에 없겠죠.

실제로 한 연구팀 조사 결과, 산불 피해지 흙 속에서 맹독성 발암물질이 일반 흙보다 100배 이상 많이 검출됐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산불이 휩쓸고 간 소나무 숲입니다.

나무 밑동과 흙, 낙엽까지 온통 새까맣게 타버렸습니다.

지금 이렇게 보면, 바닥에 재들이 새까맣게 가득 쌓여있습니다. 그 주변으로는 일상용품들도 곳곳에 녹아있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김용성/강릉소방서 의용소방대장 : "가래라든가 이런 부분이 짧게는 일주일, 많게는 보름까지도 많이 발생하고요. 그을음, 냄새 이런 게 잘 안 빠져요."]

지금까지 산불 피해 조사는 인명과 재산피해에만 집중돼 왔고, 산불 이후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알려진 게 거의 없습니다.

강원대학교 연구팀이 토양 조사에 나선 이유입니다.

지난해 3,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동해와 양구의 토양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습니다.

모든 시료에서 맹독성 발암물질인 '나이트로사민'이 1㎏에 평균 38에서 40마이크로그램 나왔습니다.

불이 난 곳에서 150미터 떨어진 밭에서도 비슷한 농도로 검출됐습니다.

일반 토양 검출량과 비교하면 100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특히, 한달 뒤 채취한 토양에서도 발암물질이 검출됐습니다.

[김희갑/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교수 : "빗물을 따라서 인근 환경, 토양이라든가 수계로 이동을 잘 하는 성질도 갖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산불 피해가 인근 토양과 수질, 더 나아가 사람에게까지 연쇄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최혁환/영상편집:신정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