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DVD 규격 통일 물거품
입력 2005.08.23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다음 소식입니다.
차세대 DVD의 규격 통일논의가 일본에서 결렬됐습니다.
그만큼 시장 형성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양지우 특파원입니다.
⊙기자: 차세대 DVD 규격을 둘러싸고 일본 업체들은 크게 두 진영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비록 용량이 큰 블루레이 디스크쪽은 쏘니와 마쓰시타 등이 주도하고 있고 제조비용이 싼 HD DVD 진영은 도시바와 NEC 등이 이끌고 있습니다.
두 진영은 쓸데없는 경쟁을 피한다며 올 들어 규격통일을 논의해 왔는데 최근 결국 결렬됐다고 일본의 요미우리와 마이니치신문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제품들이 전세계에서 출시될 경우에 소비자들은 구매를 미룬 채 관망할 가능성이 크며 결국 차세대 DVD의 본격 보급도 늦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재숙(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장): 이러한 규격 양립은 결국 소비자로부터 외면 당해 시장 자체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자: 이에 대해 일본 업체들과 함께 차세대 DVD 제품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삼성과 LG 등 한국업체들은 앞으로 두 가지 방식 모두에 대해 연구개발을 진행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어느 쪽이 시장주도권을 장악할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업계 일부에서는 규격통일 가능성이 아직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국업체들은 따라서 당분간 시장동향을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뉴스 양지우입니다.
차세대 DVD의 규격 통일논의가 일본에서 결렬됐습니다.
그만큼 시장 형성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양지우 특파원입니다.
⊙기자: 차세대 DVD 규격을 둘러싸고 일본 업체들은 크게 두 진영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비록 용량이 큰 블루레이 디스크쪽은 쏘니와 마쓰시타 등이 주도하고 있고 제조비용이 싼 HD DVD 진영은 도시바와 NEC 등이 이끌고 있습니다.
두 진영은 쓸데없는 경쟁을 피한다며 올 들어 규격통일을 논의해 왔는데 최근 결국 결렬됐다고 일본의 요미우리와 마이니치신문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제품들이 전세계에서 출시될 경우에 소비자들은 구매를 미룬 채 관망할 가능성이 크며 결국 차세대 DVD의 본격 보급도 늦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재숙(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장): 이러한 규격 양립은 결국 소비자로부터 외면 당해 시장 자체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자: 이에 대해 일본 업체들과 함께 차세대 DVD 제품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삼성과 LG 등 한국업체들은 앞으로 두 가지 방식 모두에 대해 연구개발을 진행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어느 쪽이 시장주도권을 장악할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업계 일부에서는 규격통일 가능성이 아직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국업체들은 따라서 당분간 시장동향을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뉴스 양지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차세대 DVD 규격 통일 물거품
-
- 입력 2005-08-23 21:35:2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다음 소식입니다.
차세대 DVD의 규격 통일논의가 일본에서 결렬됐습니다.
그만큼 시장 형성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양지우 특파원입니다.
⊙기자: 차세대 DVD 규격을 둘러싸고 일본 업체들은 크게 두 진영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비록 용량이 큰 블루레이 디스크쪽은 쏘니와 마쓰시타 등이 주도하고 있고 제조비용이 싼 HD DVD 진영은 도시바와 NEC 등이 이끌고 있습니다.
두 진영은 쓸데없는 경쟁을 피한다며 올 들어 규격통일을 논의해 왔는데 최근 결국 결렬됐다고 일본의 요미우리와 마이니치신문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제품들이 전세계에서 출시될 경우에 소비자들은 구매를 미룬 채 관망할 가능성이 크며 결국 차세대 DVD의 본격 보급도 늦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재숙(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장): 이러한 규격 양립은 결국 소비자로부터 외면 당해 시장 자체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자: 이에 대해 일본 업체들과 함께 차세대 DVD 제품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삼성과 LG 등 한국업체들은 앞으로 두 가지 방식 모두에 대해 연구개발을 진행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어느 쪽이 시장주도권을 장악할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업계 일부에서는 규격통일 가능성이 아직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국업체들은 따라서 당분간 시장동향을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뉴스 양지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