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미군기지 일부 ‘어린이정원’ 된다…4일 일반에 개방

입력 2023.05.02 (21:46) 수정 2023.05.02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20년 동안 시민들의 접근이 어려웠던 용산 기지 일부가 '용산 어린이 정원'으로 조성돼 모레(4일)부터 공개됩니다.

대통령실은 이 곳에서 다양한 행사를 열어 소통의 폭을 넓혀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우한솔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1904년 일본군이 주둔했다가 일본이 물러간 뒤로는, 미군이 주둔했던 용산 기지.

100년 넘게 서울 한복판 굳게 닫혔던 문이 이제 시민들의 공원 출입구로 열리게 됐습니다.

지난해 반환된 용산기지 중 약 30만 제곱미터의 땅이 '용산어린이정원'으로 만들어져, 오는 4일부터 일반에 공개됩니다.

미군 장교들이 사용했던 숙소 외관은 그대로 두고 내부를 리모델링해 홍보관과 작은 도서관으로 꾸몄습니다.

도심에서 찾기 어려운 6만 제곱미터 규모의 잔디마당은 미군 야구장 4곳을 합쳐 만들었습니다.

개방된 잔디마당에선 이렇게 대통령실 청사를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용산공원 정식 개방에 앞서, 1년간의 준비 끝에 먼저 개방하기로 한 겁니다.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국민 속으로 더 가까이 가겠다"는 약속이 지켜졌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습니다.

용산어린이정원을 미리 둘러본 윤 대통령은 시민을 위한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아이들이 와서 이 잔디에서 좀 마음껏 뛰놀고 저쪽에 지금 우리가 분수 정원을 좀 만들려고 그러는데 날 좀 더워지면 아이들이 또 시청 앞 분수 광장처럼 거기서 좀 놀 수 있게..."]

군 부대였던 부지 특성과 시민들의 안전 우려를 고려해, 흙을 쌓아 기존 토양과 접촉을 차단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또 실내외 공기질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해, 결과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용산어린이정원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되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신청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 권순두/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산미군기지 일부 ‘어린이정원’ 된다…4일 일반에 개방
    • 입력 2023-05-02 21:46:38
    • 수정2023-05-02 22:03:49
    뉴스 9
[앵커]

120년 동안 시민들의 접근이 어려웠던 용산 기지 일부가 '용산 어린이 정원'으로 조성돼 모레(4일)부터 공개됩니다.

대통령실은 이 곳에서 다양한 행사를 열어 소통의 폭을 넓혀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우한솔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1904년 일본군이 주둔했다가 일본이 물러간 뒤로는, 미군이 주둔했던 용산 기지.

100년 넘게 서울 한복판 굳게 닫혔던 문이 이제 시민들의 공원 출입구로 열리게 됐습니다.

지난해 반환된 용산기지 중 약 30만 제곱미터의 땅이 '용산어린이정원'으로 만들어져, 오는 4일부터 일반에 공개됩니다.

미군 장교들이 사용했던 숙소 외관은 그대로 두고 내부를 리모델링해 홍보관과 작은 도서관으로 꾸몄습니다.

도심에서 찾기 어려운 6만 제곱미터 규모의 잔디마당은 미군 야구장 4곳을 합쳐 만들었습니다.

개방된 잔디마당에선 이렇게 대통령실 청사를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용산공원 정식 개방에 앞서, 1년간의 준비 끝에 먼저 개방하기로 한 겁니다.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국민 속으로 더 가까이 가겠다"는 약속이 지켜졌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습니다.

용산어린이정원을 미리 둘러본 윤 대통령은 시민을 위한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아이들이 와서 이 잔디에서 좀 마음껏 뛰놀고 저쪽에 지금 우리가 분수 정원을 좀 만들려고 그러는데 날 좀 더워지면 아이들이 또 시청 앞 분수 광장처럼 거기서 좀 놀 수 있게..."]

군 부대였던 부지 특성과 시민들의 안전 우려를 고려해, 흙을 쌓아 기존 토양과 접촉을 차단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또 실내외 공기질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해, 결과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용산어린이정원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되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신청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 권순두/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