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학교에서 13살 소년 총기 난사…9명 사망

입력 2023.05.04 (19:25) 수정 2023.05.04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 있는 한 학교에서, 13살 소년이 총기를 난사해, 9명이 숨졌습니다.

범행 동기는 아직 조사중이지만, 사전에 계획된 범죄라고 현지 경찰은 밝혔습니다.

정윤섭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제선이 설치된 베오그라드의 한 학교, 총기 난사에 9명이 희생된 곳입니다.

경비원 한 명과 학생 8명이 숨졌고, 교사 1명, 학생 6명이 다쳤습니다.

[같은 학교 학생 : "총소리를 들었어요. 멈추지 않았어요. 한 번이 아니었어요. 멈추지 않고 계속 쐈어요."]

범인은 이 학교의 13살 학생, 오전 첫 수업이 한창인 때 학교 입구에서 먼저 경비원을 쏜 뒤 안으로 들어가 총기를 난사했습니다.

범행에 쓰인 총은 아버지 소유의 권총 두 자루였습니다.

[베셀린 벨리치/베오그라드 경찰서장 : "지금까지 증거를 보면 그 소년은 꽤 오랫동안 이 범행을 준비해 왔습니다. 동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세르비아 대통령도 현대사에서 가장 힘든 날이라며, 직접 애도 입장을 밝혔습니다.

[알렉산다르 부치치/세르비아 대통령 : "세르비아는 불행하게도 슬픔으로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슬픔이 너무 커서 우리는 더 큰 슬픔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충격과 슬픔에 휩싸인 시민들은 조화와 촛불로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밀카 유비파리브/베오그라드 시민 :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과 함께 있습니다.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합니다."]

세르비아에서 총기 사건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분리 과정에서 벌어진 전쟁 이후 회수되지 않은 총기들이 많았습니다.

경제 상황도 좋지 않아 총기 사고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았습니다.

[티나 빌란코프/세르비아 언론인 : "세르비아는 총기 소유를 법으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지만, 여전히 1990년대 전쟁에서 나온 미등록 무기가 많이 있습니다."]

세르비아는 사흘 동안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습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황보현평/자료조사:조영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르비아 학교에서 13살 소년 총기 난사…9명 사망
    • 입력 2023-05-04 19:25:41
    • 수정2023-05-04 19:45:31
    뉴스 7
[앵커]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 있는 한 학교에서, 13살 소년이 총기를 난사해, 9명이 숨졌습니다.

범행 동기는 아직 조사중이지만, 사전에 계획된 범죄라고 현지 경찰은 밝혔습니다.

정윤섭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제선이 설치된 베오그라드의 한 학교, 총기 난사에 9명이 희생된 곳입니다.

경비원 한 명과 학생 8명이 숨졌고, 교사 1명, 학생 6명이 다쳤습니다.

[같은 학교 학생 : "총소리를 들었어요. 멈추지 않았어요. 한 번이 아니었어요. 멈추지 않고 계속 쐈어요."]

범인은 이 학교의 13살 학생, 오전 첫 수업이 한창인 때 학교 입구에서 먼저 경비원을 쏜 뒤 안으로 들어가 총기를 난사했습니다.

범행에 쓰인 총은 아버지 소유의 권총 두 자루였습니다.

[베셀린 벨리치/베오그라드 경찰서장 : "지금까지 증거를 보면 그 소년은 꽤 오랫동안 이 범행을 준비해 왔습니다. 동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세르비아 대통령도 현대사에서 가장 힘든 날이라며, 직접 애도 입장을 밝혔습니다.

[알렉산다르 부치치/세르비아 대통령 : "세르비아는 불행하게도 슬픔으로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슬픔이 너무 커서 우리는 더 큰 슬픔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충격과 슬픔에 휩싸인 시민들은 조화와 촛불로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밀카 유비파리브/베오그라드 시민 :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과 함께 있습니다.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합니다."]

세르비아에서 총기 사건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분리 과정에서 벌어진 전쟁 이후 회수되지 않은 총기들이 많았습니다.

경제 상황도 좋지 않아 총기 사고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았습니다.

[티나 빌란코프/세르비아 언론인 : "세르비아는 총기 소유를 법으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지만, 여전히 1990년대 전쟁에서 나온 미등록 무기가 많이 있습니다."]

세르비아는 사흘 동안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습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황보현평/자료조사:조영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