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뿐인 교통 광역화…시민만 ‘골탕’

입력 2005.08.25 (07:56) 수정 2005.08.25 (0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도시들은 사실상 단일 생활권이지만 불합리한 버스 노선을 조정하는 데 지자체 간 협조가 안 돼 시민들의 불편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김진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 부평과 부천 중동지역은 바로 인접한 곳이지만 버스 노선이 없어 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불과 4km 차이나는 가까운 거리인데도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고 다녀야 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정재(인천시 부평동) : “짧은 거리인데도 돌고, 여러 번 갈아타야 하니까 많이 불편하죠.”

약 3만 명이 입주해 있는 파주시 금촌 신시가지에서는 서울역 방면의 버스가 한 대도 없어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질 않습니다.

<인터뷰> 안용성(파주시 교통전문 위원) : “올들어서만 약 100건의 서울행 광역버스 관련 민원이 들어왔는데, 서울시와 계속 협의할 계획입니다.”

이처럼 지자체 간 협의가 꽉 막히면서, 건설교통부가 나서서 조정해 달라는 요청만 올들어 32건에 이릅니다.

각 자치단체들은 버스 노선 조정이나 신설 시 상권 변화를 먼저 고려하고, 버스업체는 수익의 변화를 먼저 따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같은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지난 2월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가 함께 설립한 '수도권 교통조합'조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인터뷰> 한배수(수도권 교통조합 과장) : “조정위원회에 지자체들이 자기네 입장을 대변하는 위원을 참여시켜야겠다는 게 있었고...”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자체, 눈앞의 이익만을 지키기에 급급한 버스업체들의 장삿속, 수도권 시민들의 편의는 뒷전에 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말 뿐인 교통 광역화…시민만 ‘골탕’
    • 입력 2005-08-25 07:30:26
    • 수정2005-08-25 08:41:27
    뉴스광장
<앵커멘트>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도시들은 사실상 단일 생활권이지만 불합리한 버스 노선을 조정하는 데 지자체 간 협조가 안 돼 시민들의 불편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김진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 부평과 부천 중동지역은 바로 인접한 곳이지만 버스 노선이 없어 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불과 4km 차이나는 가까운 거리인데도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고 다녀야 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정재(인천시 부평동) : “짧은 거리인데도 돌고, 여러 번 갈아타야 하니까 많이 불편하죠.” 약 3만 명이 입주해 있는 파주시 금촌 신시가지에서는 서울역 방면의 버스가 한 대도 없어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질 않습니다. <인터뷰> 안용성(파주시 교통전문 위원) : “올들어서만 약 100건의 서울행 광역버스 관련 민원이 들어왔는데, 서울시와 계속 협의할 계획입니다.” 이처럼 지자체 간 협의가 꽉 막히면서, 건설교통부가 나서서 조정해 달라는 요청만 올들어 32건에 이릅니다. 각 자치단체들은 버스 노선 조정이나 신설 시 상권 변화를 먼저 고려하고, 버스업체는 수익의 변화를 먼저 따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같은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지난 2월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가 함께 설립한 '수도권 교통조합'조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인터뷰> 한배수(수도권 교통조합 과장) : “조정위원회에 지자체들이 자기네 입장을 대변하는 위원을 참여시켜야겠다는 게 있었고...”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자체, 눈앞의 이익만을 지키기에 급급한 버스업체들의 장삿속, 수도권 시민들의 편의는 뒷전에 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