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없던 새 국왕 “섬기겠다”…“나의 왕 아니다” 외침도

입력 2023.05.07 (21:29) 수정 2023.05.07 (2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영국에선 70년 만에 영국 국왕의 대관식이 열렸죠.

찰스 3세는 대관식에서 섬김받지 않고 섬기겠다고 맹세했습니다.

하지만 한쪽에선 군주제를 반대하는 단체가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런던에서 유호윤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

[리포트]

영국 국왕이 생애 딱 한 번, 대관식에서만 쓸 수 있다는 성 에드워드 왕관.

[웰비 대주교 :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

찰스 3세 시대 개막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순간입니다.

대관식 주제는 '섬기는 소명'이었습니다.

[찰스 3세/영국 국왕 : "하느님의 이름으로, 그의 본보기대로 나는 섬김받지 않고 섬길 것입니다."]

과거 불륜 논란으로 인기 없는 왕세자였지만, 찰스 3세는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모습으로 이미지를 바꾸고 있습니다.

새 국왕 탄생을 지켜본 시민들은 축하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애드리안 리차드 말러/영국 시민 : "굉장히 환상적이었습니다. 매우 좋았어요. 왕과 왕비를 위한 결과물이 아주 훌륭했습니다."]

하지만 70년 전 대관식 때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모습도 등장했습니다.

["나의 왕이 아니다. 나의 왕이 아니다"]

군주제 폐지를 주장하는 단체가 대관식 행렬 옆에서 시위를 벌인 겁니다.

이들은 행사가 끝나자 왕이 지나간 길을 거꾸로 행진했습니다.

[할 돈 무살즈/군주제 폐지 시위대 : "세금으로 왕실의 이 모든 아름다운 궁전들을 멋지게 관리하고 보수하도록 돕고 있죠. 그것이 바로 우리가 여기 있는 이유입니다. 이건 정당화될 수 없어요."]

연간 1,400억 원이 넘는 왕실 보조금과 국왕에게 상속세와 법인세를 면제해주는 특혜를 바꾸라는 겁니다.

일각에선 군주제라는 낡은 유물을 왜 현대의 영국 사회가 보존해야 하는지 묻고 있습니다.

왕실의 존재 의미를 설득하는 것, 찰스 3세 시대의 가장 큰 과제가 됐습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촬영:김영환/영상편집:김종선/자료조사:문지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기 없던 새 국왕 “섬기겠다”…“나의 왕 아니다” 외침도
    • 입력 2023-05-07 21:29:37
    • 수정2023-05-07 21:44:18
    뉴스 9
[앵커]

어제 영국에선 70년 만에 영국 국왕의 대관식이 열렸죠.

찰스 3세는 대관식에서 섬김받지 않고 섬기겠다고 맹세했습니다.

하지만 한쪽에선 군주제를 반대하는 단체가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런던에서 유호윤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

[리포트]

영국 국왕이 생애 딱 한 번, 대관식에서만 쓸 수 있다는 성 에드워드 왕관.

[웰비 대주교 :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

찰스 3세 시대 개막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순간입니다.

대관식 주제는 '섬기는 소명'이었습니다.

[찰스 3세/영국 국왕 : "하느님의 이름으로, 그의 본보기대로 나는 섬김받지 않고 섬길 것입니다."]

과거 불륜 논란으로 인기 없는 왕세자였지만, 찰스 3세는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모습으로 이미지를 바꾸고 있습니다.

새 국왕 탄생을 지켜본 시민들은 축하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애드리안 리차드 말러/영국 시민 : "굉장히 환상적이었습니다. 매우 좋았어요. 왕과 왕비를 위한 결과물이 아주 훌륭했습니다."]

하지만 70년 전 대관식 때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모습도 등장했습니다.

["나의 왕이 아니다. 나의 왕이 아니다"]

군주제 폐지를 주장하는 단체가 대관식 행렬 옆에서 시위를 벌인 겁니다.

이들은 행사가 끝나자 왕이 지나간 길을 거꾸로 행진했습니다.

[할 돈 무살즈/군주제 폐지 시위대 : "세금으로 왕실의 이 모든 아름다운 궁전들을 멋지게 관리하고 보수하도록 돕고 있죠. 그것이 바로 우리가 여기 있는 이유입니다. 이건 정당화될 수 없어요."]

연간 1,400억 원이 넘는 왕실 보조금과 국왕에게 상속세와 법인세를 면제해주는 특혜를 바꾸라는 겁니다.

일각에선 군주제라는 낡은 유물을 왜 현대의 영국 사회가 보존해야 하는지 묻고 있습니다.

왕실의 존재 의미를 설득하는 것, 찰스 3세 시대의 가장 큰 과제가 됐습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촬영:김영환/영상편집:김종선/자료조사:문지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