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로 0교시·야간학습” 학생들 3백여 건 신고

입력 2023.05.12 (21:40) 수정 2023.05.12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시교육청이 조기등교와 야간학습을 강제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지침을 폐지하면서, 교육감이 피소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광주 교육연대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교로부터 조기등교와 야간학습을 강요받고 있다는 신고가 3백 건을 넘었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광주교육청은 올해 초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폐지했습니다.

고등학교의 오전 8시 30분 이전 등교나 강제 야간학습, 심화반 운영을 못 하게 한 지침이 풀린 겁니다.

학교의 자율과 학생의 선택권 확대가 이유였습니다.

지침 폐지는 노사단협 위반이라며, 이정선 교육감을 고소했던 광주교육연대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 뒤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먼저 A고등학교 사례.

[A 고교생 신고 내용 대독 : "방과후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이며, 야간자율학습 불참시 모든 상장과 추가 봉사시간으로부터 제외되는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B고교는 성적순으로 방과후 또는 주말 교실을 운영해 내신 몰아주기를 한다는 신고도 나왔습니다.

[B 고교생 신고 내용 대독 : "강제적으로 방과후 학습과 야간자율학습을 시키고 심화반과 일반반의 차별이 심합니다."]

신고 내용은 15개 고등학교, 3백여 건에 이릅니다.

광주교육연대는 학교 이름을 공개하고, 기본계획을 다시 살릴 것을 재촉구했습니다.

[이웅기/광주교육시민연대 집행위원장 : "우리 학생들의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 호소와 절규에 이제 교육청은 응답으로 결단해주길 촉구한다."]

교육청은 사실 관계를 확인해보겠다면서도, 지침 부활 요구에 대해선 선을 그었습니다.

[김종근/광주교육청 교육국장 : "교육청의 방향은 (정규외 교육활동) 기본지침을 재시행하진 않는다라는 쪽입니다. 기본 지침이 나가는 것에 대해서 학교에서는 과도한 통제라고 받아들였고요."]

'자율과 선택권 확대'를 위한 정책이 일선 학교에서는 '강제'와 '차별'로 나타나는 건 아닌지,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제로 0교시·야간학습” 학생들 3백여 건 신고
    • 입력 2023-05-12 21:40:13
    • 수정2023-05-12 22:02:25
    뉴스9(광주)
[앵커]

광주시교육청이 조기등교와 야간학습을 강제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지침을 폐지하면서, 교육감이 피소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광주 교육연대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교로부터 조기등교와 야간학습을 강요받고 있다는 신고가 3백 건을 넘었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광주교육청은 올해 초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폐지했습니다.

고등학교의 오전 8시 30분 이전 등교나 강제 야간학습, 심화반 운영을 못 하게 한 지침이 풀린 겁니다.

학교의 자율과 학생의 선택권 확대가 이유였습니다.

지침 폐지는 노사단협 위반이라며, 이정선 교육감을 고소했던 광주교육연대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 뒤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먼저 A고등학교 사례.

[A 고교생 신고 내용 대독 : "방과후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이며, 야간자율학습 불참시 모든 상장과 추가 봉사시간으로부터 제외되는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B고교는 성적순으로 방과후 또는 주말 교실을 운영해 내신 몰아주기를 한다는 신고도 나왔습니다.

[B 고교생 신고 내용 대독 : "강제적으로 방과후 학습과 야간자율학습을 시키고 심화반과 일반반의 차별이 심합니다."]

신고 내용은 15개 고등학교, 3백여 건에 이릅니다.

광주교육연대는 학교 이름을 공개하고, 기본계획을 다시 살릴 것을 재촉구했습니다.

[이웅기/광주교육시민연대 집행위원장 : "우리 학생들의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 호소와 절규에 이제 교육청은 응답으로 결단해주길 촉구한다."]

교육청은 사실 관계를 확인해보겠다면서도, 지침 부활 요구에 대해선 선을 그었습니다.

[김종근/광주교육청 교육국장 : "교육청의 방향은 (정규외 교육활동) 기본지침을 재시행하진 않는다라는 쪽입니다. 기본 지침이 나가는 것에 대해서 학교에서는 과도한 통제라고 받아들였고요."]

'자율과 선택권 확대'를 위한 정책이 일선 학교에서는 '강제'와 '차별'로 나타나는 건 아닌지,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