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생산가능 인구 감소로 2050년 GDP 28% 줄어”

입력 2023.05.18 (09:14) 수정 2023.05.18 (0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 인구가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가 늘면 국내총생산(GDP)이 감소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18일) ‘인구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유엔 인구자료는 2050년 한국 총 인구가 4,577만 1천여 명으로 2022년(5,181만 6천여 명) 대비 11.67%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50년 생산가능 인구는 2,398만 4천여 명으로 2022년(3,675만 7천여 명)보다 34.75% 줄며, 피부양 인구는 2022년 1,505만 9천여 명에서 2050년 2,178만 7천여 명으로 44.67% 증가가 예상됐습니다.

한경연은 인구 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패널 자료를 활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했습니다.

다른 요인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생산가능 인구가 1% 감소할 때 GDP는 0.59% 줄고, 피부양 인구가 1% 증가하면 GDP는 0.17%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를 토대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2050년 GDP를 추정하면 2022년 대비 28.3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평균 증가율로 전환하면 2022년부터 2050년까지 해마다 약 1.18%의 GDP 감소가 예상됐습니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가능 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는 늘어남에 따라 재정 부담 증가, 미래투자 감소 등 경제 활력이 저하되면서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는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려면 고용률 제고와 노동 관련 규제 완화, 외국인 근로자 활용, 노동 생산성 향상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경연 “생산가능 인구 감소로 2050년 GDP 28% 줄어”
    • 입력 2023-05-18 09:14:40
    • 수정2023-05-18 09:20:44
    경제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 인구가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가 늘면 국내총생산(GDP)이 감소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18일) ‘인구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유엔 인구자료는 2050년 한국 총 인구가 4,577만 1천여 명으로 2022년(5,181만 6천여 명) 대비 11.67%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50년 생산가능 인구는 2,398만 4천여 명으로 2022년(3,675만 7천여 명)보다 34.75% 줄며, 피부양 인구는 2022년 1,505만 9천여 명에서 2050년 2,178만 7천여 명으로 44.67% 증가가 예상됐습니다.

한경연은 인구 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패널 자료를 활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했습니다.

다른 요인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생산가능 인구가 1% 감소할 때 GDP는 0.59% 줄고, 피부양 인구가 1% 증가하면 GDP는 0.17%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를 토대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2050년 GDP를 추정하면 2022년 대비 28.3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평균 증가율로 전환하면 2022년부터 2050년까지 해마다 약 1.18%의 GDP 감소가 예상됐습니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가능 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는 늘어남에 따라 재정 부담 증가, 미래투자 감소 등 경제 활력이 저하되면서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는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려면 고용률 제고와 노동 관련 규제 완화, 외국인 근로자 활용, 노동 생산성 향상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