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오월 정신 계승한다면, 자유민주 위협 맞서 싸워야”…묘역 쉼터 확장 지시
입력 2023.05.18 (10:30)
수정 2023.05.18 (16: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의 '오월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라며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 "오월 정신,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
윤 대통령은 오늘(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오월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5.18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43년 전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피로써 지켜낸 오월의 항거를 기억하고, 민주 영령들을 기리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섰다"면서 희생자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이어 5.18 유공자와 유족들에게 위로를 건넸고, 기념식에 참석한 '오월 어머니'(5·18 희생자·피해자들의 여성 가족)들에게는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겠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시는 분들의 용기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땅의 자유민주주의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분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지켜낸 것"이라며 "광주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오월 정신'은 우리에게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실천을 명령하고 있다"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에 맞서 투쟁하지 않는다면, 오월의 정신을 말하기 부끄러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역 경제 번영이 오월 정신을 구현하고 민주 영령들께 보답하는 길"이라며 광주·호남 경제 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광주와 호남이 자유와 혁신을 바탕으로 AI와 첨단 과학 기술의 고도화를 이뤄내고, 이러한 성취를 미래세대에게 계승시킬 수 있도록 대통령으로서 제대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 올해도 5·18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을 함께 불렀습니다.
과거 보수 정부에서는 행진곡 연주 순서를 없애거나, 참석자들이 다 함께 부르는 '제창' 대신 '합창'으로 대체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 희생자 가족 만나 위로…"동생 소원 풀었다"
이어서 윤 대통령은 1묘역에 안장돼 있는 고 전영진·김재영·정윤식 씨의 묘역을 찾았습니다.
고등학생이던 전영진 씨(1962년생, 당시 18세)는 휴교령 다음날인 1980년 5월 21일 시위에 참여했다가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 씨의 부모님 전계량·김순희 씨의 손을 잡고 "자식이 전쟁에 나가서 돌아오지 않아도 가슴에 사무치는데, 학생이 국가권력에 의해 돌아오지 못하게 돼 그 마음이 얼마나 아프시겠느냐"고 위로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습니다.
1963년생 김재영 씨(당시 17세)는 5월 21일 도청에서 장갑차에 치어 사망했다는 전화 연락을 끝으로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행방불명' 처리됐다가, 올해에야 유전자 조사를 통해 유해가 확인됐습니다.
시민군으로 전남도청에서 마지막까지 항전했던 1959년생 정윤식 씨는 1980년 5월 27일 체포돼 상무대로 연행됐고, 고문 후유증으로 1982년 만 22세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5.18유공자인 친형 정춘식 씨는 윤 대통령에게 "43년 만에 대통령이 묘소를 찾아줘서 동생이 소원을 풀었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후 시신을 찾지 못했거나 다른 묘역에 묻힌 고인을 위한 '유영 봉안소'를 방문했습니다.
또한, 묘역 입구에 위치한 방문객 공간인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유족 편의를 확보하라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지시했습니다.
■ 장관 14명, 여당 의원 90명 참석
오늘 기념식에는 장관 14명과 국민의힘 의원 90여 명, 원외 당협위원장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받고 최고위원에서 사퇴한 태영호 의원 등은 불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오전 대통령실 참모들과 공군 2호기 편으로 광주로 향했고, 국민의힘 의원들과 국무위원들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KTX 특별열차를 이용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윤 대통령 "오월 정신,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
윤 대통령은 오늘(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오월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5.18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43년 전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피로써 지켜낸 오월의 항거를 기억하고, 민주 영령들을 기리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섰다"면서 희생자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이어 5.18 유공자와 유족들에게 위로를 건넸고, 기념식에 참석한 '오월 어머니'(5·18 희생자·피해자들의 여성 가족)들에게는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겠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시는 분들의 용기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땅의 자유민주주의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분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지켜낸 것"이라며 "광주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오월 정신'은 우리에게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실천을 명령하고 있다"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에 맞서 투쟁하지 않는다면, 오월의 정신을 말하기 부끄러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역 경제 번영이 오월 정신을 구현하고 민주 영령들께 보답하는 길"이라며 광주·호남 경제 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광주와 호남이 자유와 혁신을 바탕으로 AI와 첨단 과학 기술의 고도화를 이뤄내고, 이러한 성취를 미래세대에게 계승시킬 수 있도록 대통령으로서 제대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 올해도 5·18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을 함께 불렀습니다.
과거 보수 정부에서는 행진곡 연주 순서를 없애거나, 참석자들이 다 함께 부르는 '제창' 대신 '합창'으로 대체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 희생자 가족 만나 위로…"동생 소원 풀었다"
이어서 윤 대통령은 1묘역에 안장돼 있는 고 전영진·김재영·정윤식 씨의 묘역을 찾았습니다.
고등학생이던 전영진 씨(1962년생, 당시 18세)는 휴교령 다음날인 1980년 5월 21일 시위에 참여했다가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 씨의 부모님 전계량·김순희 씨의 손을 잡고 "자식이 전쟁에 나가서 돌아오지 않아도 가슴에 사무치는데, 학생이 국가권력에 의해 돌아오지 못하게 돼 그 마음이 얼마나 아프시겠느냐"고 위로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습니다.
1963년생 김재영 씨(당시 17세)는 5월 21일 도청에서 장갑차에 치어 사망했다는 전화 연락을 끝으로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행방불명' 처리됐다가, 올해에야 유전자 조사를 통해 유해가 확인됐습니다.
시민군으로 전남도청에서 마지막까지 항전했던 1959년생 정윤식 씨는 1980년 5월 27일 체포돼 상무대로 연행됐고, 고문 후유증으로 1982년 만 22세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5.18유공자인 친형 정춘식 씨는 윤 대통령에게 "43년 만에 대통령이 묘소를 찾아줘서 동생이 소원을 풀었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후 시신을 찾지 못했거나 다른 묘역에 묻힌 고인을 위한 '유영 봉안소'를 방문했습니다.
또한, 묘역 입구에 위치한 방문객 공간인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유족 편의를 확보하라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지시했습니다.
■ 장관 14명, 여당 의원 90명 참석
오늘 기념식에는 장관 14명과 국민의힘 의원 90여 명, 원외 당협위원장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받고 최고위원에서 사퇴한 태영호 의원 등은 불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오전 대통령실 참모들과 공군 2호기 편으로 광주로 향했고, 국민의힘 의원들과 국무위원들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KTX 특별열차를 이용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대통령 “오월 정신 계승한다면, 자유민주 위협 맞서 싸워야”…묘역 쉼터 확장 지시
-
- 입력 2023-05-18 10:30:27
- 수정2023-05-18 16:33:21

윤석열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의 '오월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라며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 "오월 정신,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
윤 대통령은 오늘(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오월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5.18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43년 전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피로써 지켜낸 오월의 항거를 기억하고, 민주 영령들을 기리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섰다"면서 희생자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이어 5.18 유공자와 유족들에게 위로를 건넸고, 기념식에 참석한 '오월 어머니'(5·18 희생자·피해자들의 여성 가족)들에게는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겠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시는 분들의 용기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땅의 자유민주주의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분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지켜낸 것"이라며 "광주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오월 정신'은 우리에게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실천을 명령하고 있다"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에 맞서 투쟁하지 않는다면, 오월의 정신을 말하기 부끄러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역 경제 번영이 오월 정신을 구현하고 민주 영령들께 보답하는 길"이라며 광주·호남 경제 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광주와 호남이 자유와 혁신을 바탕으로 AI와 첨단 과학 기술의 고도화를 이뤄내고, 이러한 성취를 미래세대에게 계승시킬 수 있도록 대통령으로서 제대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 올해도 5·18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을 함께 불렀습니다.
과거 보수 정부에서는 행진곡 연주 순서를 없애거나, 참석자들이 다 함께 부르는 '제창' 대신 '합창'으로 대체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 희생자 가족 만나 위로…"동생 소원 풀었다"
이어서 윤 대통령은 1묘역에 안장돼 있는 고 전영진·김재영·정윤식 씨의 묘역을 찾았습니다.
고등학생이던 전영진 씨(1962년생, 당시 18세)는 휴교령 다음날인 1980년 5월 21일 시위에 참여했다가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 씨의 부모님 전계량·김순희 씨의 손을 잡고 "자식이 전쟁에 나가서 돌아오지 않아도 가슴에 사무치는데, 학생이 국가권력에 의해 돌아오지 못하게 돼 그 마음이 얼마나 아프시겠느냐"고 위로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습니다.
1963년생 김재영 씨(당시 17세)는 5월 21일 도청에서 장갑차에 치어 사망했다는 전화 연락을 끝으로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행방불명' 처리됐다가, 올해에야 유전자 조사를 통해 유해가 확인됐습니다.
시민군으로 전남도청에서 마지막까지 항전했던 1959년생 정윤식 씨는 1980년 5월 27일 체포돼 상무대로 연행됐고, 고문 후유증으로 1982년 만 22세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5.18유공자인 친형 정춘식 씨는 윤 대통령에게 "43년 만에 대통령이 묘소를 찾아줘서 동생이 소원을 풀었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후 시신을 찾지 못했거나 다른 묘역에 묻힌 고인을 위한 '유영 봉안소'를 방문했습니다.
또한, 묘역 입구에 위치한 방문객 공간인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유족 편의를 확보하라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지시했습니다.
■ 장관 14명, 여당 의원 90명 참석
오늘 기념식에는 장관 14명과 국민의힘 의원 90여 명, 원외 당협위원장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받고 최고위원에서 사퇴한 태영호 의원 등은 불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오전 대통령실 참모들과 공군 2호기 편으로 광주로 향했고, 국민의힘 의원들과 국무위원들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KTX 특별열차를 이용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윤 대통령 "오월 정신,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
윤 대통령은 오늘(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오월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5.18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43년 전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피로써 지켜낸 오월의 항거를 기억하고, 민주 영령들을 기리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섰다"면서 희생자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이어 5.18 유공자와 유족들에게 위로를 건넸고, 기념식에 참석한 '오월 어머니'(5·18 희생자·피해자들의 여성 가족)들에게는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겠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시는 분들의 용기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땅의 자유민주주의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분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지켜낸 것"이라며 "광주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오월 정신'은 우리에게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실천을 명령하고 있다"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에 맞서 투쟁하지 않는다면, 오월의 정신을 말하기 부끄러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역 경제 번영이 오월 정신을 구현하고 민주 영령들께 보답하는 길"이라며 광주·호남 경제 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광주와 호남이 자유와 혁신을 바탕으로 AI와 첨단 과학 기술의 고도화를 이뤄내고, 이러한 성취를 미래세대에게 계승시킬 수 있도록 대통령으로서 제대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 올해도 5·18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을 함께 불렀습니다.
과거 보수 정부에서는 행진곡 연주 순서를 없애거나, 참석자들이 다 함께 부르는 '제창' 대신 '합창'으로 대체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 희생자 가족 만나 위로…"동생 소원 풀었다"
이어서 윤 대통령은 1묘역에 안장돼 있는 고 전영진·김재영·정윤식 씨의 묘역을 찾았습니다.
고등학생이던 전영진 씨(1962년생, 당시 18세)는 휴교령 다음날인 1980년 5월 21일 시위에 참여했다가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 씨의 부모님 전계량·김순희 씨의 손을 잡고 "자식이 전쟁에 나가서 돌아오지 않아도 가슴에 사무치는데, 학생이 국가권력에 의해 돌아오지 못하게 돼 그 마음이 얼마나 아프시겠느냐"고 위로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습니다.
1963년생 김재영 씨(당시 17세)는 5월 21일 도청에서 장갑차에 치어 사망했다는 전화 연락을 끝으로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행방불명' 처리됐다가, 올해에야 유전자 조사를 통해 유해가 확인됐습니다.
시민군으로 전남도청에서 마지막까지 항전했던 1959년생 정윤식 씨는 1980년 5월 27일 체포돼 상무대로 연행됐고, 고문 후유증으로 1982년 만 22세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5.18유공자인 친형 정춘식 씨는 윤 대통령에게 "43년 만에 대통령이 묘소를 찾아줘서 동생이 소원을 풀었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후 시신을 찾지 못했거나 다른 묘역에 묻힌 고인을 위한 '유영 봉안소'를 방문했습니다.
또한, 묘역 입구에 위치한 방문객 공간인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유족 편의를 확보하라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지시했습니다.
■ 장관 14명, 여당 의원 90명 참석
오늘 기념식에는 장관 14명과 국민의힘 의원 90여 명, 원외 당협위원장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받고 최고위원에서 사퇴한 태영호 의원 등은 불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오전 대통령실 참모들과 공군 2호기 편으로 광주로 향했고, 국민의힘 의원들과 국무위원들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KTX 특별열차를 이용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