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룩한 배 봤더니 ‘13만 명 투약분’ 필로폰이…

입력 2023.05.18 (19:16) 수정 2023.05.18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할 만큼, 올해 들어서만 마약 밀수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하루에 1.8킬로그램 분량의 마약이 적발되고 있는데, 한 번에 대량으로 마약을 들여오는 이른바 '마약 밀수의 대형화' 추세도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공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관광차 한국에 왔다는 말레이시아 국적의 한 남성, 몸통 전체를 테이프와 비닐 랩으로 꽁꽁 감쌌습니다.

["엄청 많이 가져왔는데? 대박이다."]

비닐 아래 드러난 건 4kg이 넘는 '필로폰', 한 번에 13만 명이 투약 가능한 양입니다.

겉으론 초콜릿 같은데 포장지를 뜯었더니 필로폰이 들어있고, 분유통과 장난감 안에서도 마약이 발견됩니다.

지난 달에는 이렇게 캐리어 바닥 면을 개조해 27만 명 분의 필로폰을 들여온 여행객이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관세청이 적발한 밀수 마약은 213kg, 중량 기준으론 사상 최대치입니다.

한 번에 적발되는 양이 1kg을 넘어설 만큼 밀수규모가 커진 점도 눈에 띕니다.

[손성수/관세청 조사총괄과장 : "우리나라 마약 거래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상당히 고가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해외 국제 조직들이 국내로 마약 밀수를 시도하고 있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방역해제의 영향으로 해외 여행자를 통한 밀수가 1년 전보다 14배 급증했습니다.

특히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발 유입이 늘었습니다.

[윤태식/관세청장 : "국경이 다시 열리고 해외직구 등 비대면 전자 상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국경단계에서의 마약 적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케타민이나 이른바 클럽용 마약으로 불리는 엑스터시 등의 대량 유입이 급증한 만큼, 이에 대한 통관 검사도 더욱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한찬의/화면제공:관세청/그래픽 제작: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룩한 배 봤더니 ‘13만 명 투약분’ 필로폰이…
    • 입력 2023-05-18 19:16:10
    • 수정2023-05-18 22:00:49
    뉴스 7
[앵커]

정부가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할 만큼, 올해 들어서만 마약 밀수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하루에 1.8킬로그램 분량의 마약이 적발되고 있는데, 한 번에 대량으로 마약을 들여오는 이른바 '마약 밀수의 대형화' 추세도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공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관광차 한국에 왔다는 말레이시아 국적의 한 남성, 몸통 전체를 테이프와 비닐 랩으로 꽁꽁 감쌌습니다.

["엄청 많이 가져왔는데? 대박이다."]

비닐 아래 드러난 건 4kg이 넘는 '필로폰', 한 번에 13만 명이 투약 가능한 양입니다.

겉으론 초콜릿 같은데 포장지를 뜯었더니 필로폰이 들어있고, 분유통과 장난감 안에서도 마약이 발견됩니다.

지난 달에는 이렇게 캐리어 바닥 면을 개조해 27만 명 분의 필로폰을 들여온 여행객이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관세청이 적발한 밀수 마약은 213kg, 중량 기준으론 사상 최대치입니다.

한 번에 적발되는 양이 1kg을 넘어설 만큼 밀수규모가 커진 점도 눈에 띕니다.

[손성수/관세청 조사총괄과장 : "우리나라 마약 거래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상당히 고가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해외 국제 조직들이 국내로 마약 밀수를 시도하고 있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방역해제의 영향으로 해외 여행자를 통한 밀수가 1년 전보다 14배 급증했습니다.

특히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발 유입이 늘었습니다.

[윤태식/관세청장 : "국경이 다시 열리고 해외직구 등 비대면 전자 상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국경단계에서의 마약 적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케타민이나 이른바 클럽용 마약으로 불리는 엑스터시 등의 대량 유입이 급증한 만큼, 이에 대한 통관 검사도 더욱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한찬의/화면제공:관세청/그래픽 제작: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