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cience ‘스타를 만나다’]⑤ ‘과학계의 동물원장’…한국기계연구원 송성혁 박사

입력 2023.05.18 (21:49) 수정 2023.05.18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덕특구 출범 50년을 맞아 KBS대전이 마련한 '연중기획' K-사이언스 '스타를 만나다' 순서입니다.

대덕특구 과학자들을 통해 과학의 백년대계를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계 최초로 미세 바늘까지 쉽게 잡을 수 있는 '코끼리 코' 로봇 손을 개발한 한국기계연구원 송성혁 박사를 박장훈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납작한 지느러미 같은 다리로 바닷속을 유유히 헤엄치는 바다거북.

수년 전 한 새내기 과학자는 이 거북을 시작으로 동물에서 영감을 얻어 소프트 로봇을 만들게 되는데요.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거북이 다리를 보니까 굉장히 유연하면서도 복잡한 움직임을 만들더라고요. 복합재와 연성 재료를 결합한 이런 구조로 만들어보면 재미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후 움켜잡는 로봇 손 '그리퍼'를 연구하게 된 송 박사.

그의 눈에 들어온 2번 타자는 휘어 감는 유연한 다리와 강력한 빨판을 가진 '대왕 문어'였습니다.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아... 손이 진짜 안 떨어질 정도로 굉장히 잘 잡고 있는데. 얘는 이제 문어 다리가 한 번 휘어 감고 빨판으로 잡는 것처럼 원리를 이용해서..."]

먹을 갈고 붓을 잡아서 글씨를 쓰는가 하면, 프라이팬에 팬케이크를 굽는 등 식사 준비도 한답니다.

아 그런데... 만능 로봇 손 '대왕 문어'에게도 위기가 닥쳤습니다.

바늘이나 침처럼 얇거나 부드러운 천은 못 잡는 거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은 거죠.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솔직히 너무 속이 상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며칠을 잠을 못 잤어요. 잠을 못 자다가 우연히 TV를 보는데 코끼리 코가 나오는 거예요."]

구원의 3번 타자는 바로 '코끼리 아저씨'였습니다.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코끼리 코가 보면 이게 코끝을 오므릴 수도 있고 공기를 빨아들일 수도 있는데... 아! 그래! 저거를 사용하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미세한 바늘이나 침도 쉽게 잡을 수 있고 성냥불을 켜서 케이크의 초에 옮겨 붙일 만큼 아주 정교함을 자랑합니다.

책상 위에 즐비한 장난감들.

송 박사는 이 기발한 장난감을 갖고 놀며 아이디어를 떠올린다네요.

하지만 더 큰 보물은 바로 동물 시리즈 책.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이게 제가 사실 아이디어를 얻을 때마다 사용하는 보물 창고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서 제가 연구가 막히면 이렇게 동물에 대한 어린이 책을 보면서 영감을 떠올리고는 합니다."]

송 박사가 연구원에서 실시한 창의 도전 과제자로 채택되고 최우수 연구자로 뽑힌 것도 이 덕분이랍니다.

요즘은 물방울에서 힌트를 얻어 특이한 바퀴를 만들고 있는 송 박사.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장애물을 만나면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약하게 해서 이 휠이 말랑하게 됩니다. 그러면 장애물 모양대로 똑같이 바뀌어서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거죠."]

때 이른 낮 더위에 벌써 초여름이 찾아온 것 같네요.

50년을 걸어온 대덕특구.

젊은 과학자들이 바라는 대덕의 미래를 송 박사에게 물어봤습니다.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연구를 하면서 굉장히 많은 실패들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보통 보면 한 10개 하면 1개 정도 성공할까 말까인 것 같아요. 저 같은 젊은 연구자들이 조금 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하고, 그리고 실패하더라도 용인해줄 수 있는 그런 연구 문화가 조성되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science ‘스타를 만나다’]⑤ ‘과학계의 동물원장’…한국기계연구원 송성혁 박사
    • 입력 2023-05-18 21:49:36
    • 수정2023-05-18 22:04:47
    뉴스9(대전)
[앵커]

대덕특구 출범 50년을 맞아 KBS대전이 마련한 '연중기획' K-사이언스 '스타를 만나다' 순서입니다.

대덕특구 과학자들을 통해 과학의 백년대계를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계 최초로 미세 바늘까지 쉽게 잡을 수 있는 '코끼리 코' 로봇 손을 개발한 한국기계연구원 송성혁 박사를 박장훈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납작한 지느러미 같은 다리로 바닷속을 유유히 헤엄치는 바다거북.

수년 전 한 새내기 과학자는 이 거북을 시작으로 동물에서 영감을 얻어 소프트 로봇을 만들게 되는데요.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거북이 다리를 보니까 굉장히 유연하면서도 복잡한 움직임을 만들더라고요. 복합재와 연성 재료를 결합한 이런 구조로 만들어보면 재미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후 움켜잡는 로봇 손 '그리퍼'를 연구하게 된 송 박사.

그의 눈에 들어온 2번 타자는 휘어 감는 유연한 다리와 강력한 빨판을 가진 '대왕 문어'였습니다.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아... 손이 진짜 안 떨어질 정도로 굉장히 잘 잡고 있는데. 얘는 이제 문어 다리가 한 번 휘어 감고 빨판으로 잡는 것처럼 원리를 이용해서..."]

먹을 갈고 붓을 잡아서 글씨를 쓰는가 하면, 프라이팬에 팬케이크를 굽는 등 식사 준비도 한답니다.

아 그런데... 만능 로봇 손 '대왕 문어'에게도 위기가 닥쳤습니다.

바늘이나 침처럼 얇거나 부드러운 천은 못 잡는 거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은 거죠.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솔직히 너무 속이 상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며칠을 잠을 못 잤어요. 잠을 못 자다가 우연히 TV를 보는데 코끼리 코가 나오는 거예요."]

구원의 3번 타자는 바로 '코끼리 아저씨'였습니다.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코끼리 코가 보면 이게 코끝을 오므릴 수도 있고 공기를 빨아들일 수도 있는데... 아! 그래! 저거를 사용하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미세한 바늘이나 침도 쉽게 잡을 수 있고 성냥불을 켜서 케이크의 초에 옮겨 붙일 만큼 아주 정교함을 자랑합니다.

책상 위에 즐비한 장난감들.

송 박사는 이 기발한 장난감을 갖고 놀며 아이디어를 떠올린다네요.

하지만 더 큰 보물은 바로 동물 시리즈 책.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이게 제가 사실 아이디어를 얻을 때마다 사용하는 보물 창고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서 제가 연구가 막히면 이렇게 동물에 대한 어린이 책을 보면서 영감을 떠올리고는 합니다."]

송 박사가 연구원에서 실시한 창의 도전 과제자로 채택되고 최우수 연구자로 뽑힌 것도 이 덕분이랍니다.

요즘은 물방울에서 힌트를 얻어 특이한 바퀴를 만들고 있는 송 박사.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장애물을 만나면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약하게 해서 이 휠이 말랑하게 됩니다. 그러면 장애물 모양대로 똑같이 바뀌어서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거죠."]

때 이른 낮 더위에 벌써 초여름이 찾아온 것 같네요.

50년을 걸어온 대덕특구.

젊은 과학자들이 바라는 대덕의 미래를 송 박사에게 물어봤습니다.

[송성혁/한국기계연구원 로봇메카트로닉스실 책임연구원 : "연구를 하면서 굉장히 많은 실패들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보통 보면 한 10개 하면 1개 정도 성공할까 말까인 것 같아요. 저 같은 젊은 연구자들이 조금 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하고, 그리고 실패하더라도 용인해줄 수 있는 그런 연구 문화가 조성되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