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찰단 구성과 활동 범위 적절한가? 향후 과제는?
입력 2023.05.19 (21:03)
수정 2023.05.19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우리 시찰단의 과제에 대해 김유대 기자와 함께 더 짚어보겠습니다.
민간 전문가가 들어오는 걸 일본이 반대했는데, 정부 위주의 시찰단 구성 괜찮은 겁니까?
[기자]
시찰단 21명이 모두 정부 소속이고, 그 중에 원자력안전기술원이 19명이나 됩니다.
오염수를 수년 간 쭉 연구해온 기관이라, 연속성 있는 전문가들이 현장을 보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는데요.
논란을 막기 위해 앞으로 민간 자문단을 꾸려 자료를 함께 점검하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환경단체에선 시찰단 구성이 너무 설비 쪽으로만 치우쳐 있다, 생태계 전반의 영향은 과소평가하는 거 아니냐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앵커]
시찰단의 활동 범위는 우리 의견이 충분히 관철됐습니까?
[기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시설을 빼고는 일본이 우리 측 요구를 거의 다 수용했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일본이 현장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만 공개할 거라고 지적하는데요.
오염수 처리 절차를 화면에서 보시면, 방사능 핵종을 정화하는 '알프스'라는 시설을 점검하는 게 핵심입니다.
안전 문제로 접근이 제한되는 부분이 있어 아쉬운 대목이고요.
30년 동안 흘려보내니까 반짝 확인하고 끝날 게 아니라 긴 시간 안정적으로 정화 장치가 운영될지, 탱크와 지하 방류 터널 등 유출 가능성은 없는지도 따져야 합니다.
[앵커]
오염수를 이번에 직접 떠오는 게 아니라서 일본 자료를 곧이곧대로 믿어도 되느냐 의심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시료는 우리나라가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도쿄전력이 작년에 우리 측에 분석용으로 건넨 건데요.
채취할 당시에 IAEA가 참관을 했고요.
한국을 비롯해서 미국, 프랑스, 스위스 네 나라가 교차 검증을 실시했습니다.
분석한 자료는 IAEA에 제출했는데, 그 보고서가 곧 발표될 예정입니다.
[앵커]
시찰단이 다녀온다고 해서 국민들의 우려가 수그러들 수 있을까요?
[기자]
무엇보다 일본이 믿을 수 있는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알프스로 정화하는 핵종이 현재 60종이 넘는데, 이 중에 31종만 안전 평가 대상에 넣은 건 불신을 자초한 면이 있고요.
방류한 오염수가 국내 해역으로 돌아오는 게 4~5년 뒤니까, 정부가 장기적이고 꼼꼼한 모니터링 계획을 세워서 국민들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서수민
우리 시찰단의 과제에 대해 김유대 기자와 함께 더 짚어보겠습니다.
민간 전문가가 들어오는 걸 일본이 반대했는데, 정부 위주의 시찰단 구성 괜찮은 겁니까?
[기자]
시찰단 21명이 모두 정부 소속이고, 그 중에 원자력안전기술원이 19명이나 됩니다.
오염수를 수년 간 쭉 연구해온 기관이라, 연속성 있는 전문가들이 현장을 보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는데요.
논란을 막기 위해 앞으로 민간 자문단을 꾸려 자료를 함께 점검하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환경단체에선 시찰단 구성이 너무 설비 쪽으로만 치우쳐 있다, 생태계 전반의 영향은 과소평가하는 거 아니냐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앵커]
시찰단의 활동 범위는 우리 의견이 충분히 관철됐습니까?
[기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시설을 빼고는 일본이 우리 측 요구를 거의 다 수용했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일본이 현장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만 공개할 거라고 지적하는데요.
오염수 처리 절차를 화면에서 보시면, 방사능 핵종을 정화하는 '알프스'라는 시설을 점검하는 게 핵심입니다.
안전 문제로 접근이 제한되는 부분이 있어 아쉬운 대목이고요.
30년 동안 흘려보내니까 반짝 확인하고 끝날 게 아니라 긴 시간 안정적으로 정화 장치가 운영될지, 탱크와 지하 방류 터널 등 유출 가능성은 없는지도 따져야 합니다.
[앵커]
오염수를 이번에 직접 떠오는 게 아니라서 일본 자료를 곧이곧대로 믿어도 되느냐 의심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시료는 우리나라가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도쿄전력이 작년에 우리 측에 분석용으로 건넨 건데요.
채취할 당시에 IAEA가 참관을 했고요.
한국을 비롯해서 미국, 프랑스, 스위스 네 나라가 교차 검증을 실시했습니다.
분석한 자료는 IAEA에 제출했는데, 그 보고서가 곧 발표될 예정입니다.
[앵커]
시찰단이 다녀온다고 해서 국민들의 우려가 수그러들 수 있을까요?
[기자]
무엇보다 일본이 믿을 수 있는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알프스로 정화하는 핵종이 현재 60종이 넘는데, 이 중에 31종만 안전 평가 대상에 넣은 건 불신을 자초한 면이 있고요.
방류한 오염수가 국내 해역으로 돌아오는 게 4~5년 뒤니까, 정부가 장기적이고 꼼꼼한 모니터링 계획을 세워서 국민들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찰단 구성과 활동 범위 적절한가? 향후 과제는?
-
- 입력 2023-05-19 21:03:41
- 수정2023-05-19 22:17:53

[앵커]
우리 시찰단의 과제에 대해 김유대 기자와 함께 더 짚어보겠습니다.
민간 전문가가 들어오는 걸 일본이 반대했는데, 정부 위주의 시찰단 구성 괜찮은 겁니까?
[기자]
시찰단 21명이 모두 정부 소속이고, 그 중에 원자력안전기술원이 19명이나 됩니다.
오염수를 수년 간 쭉 연구해온 기관이라, 연속성 있는 전문가들이 현장을 보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는데요.
논란을 막기 위해 앞으로 민간 자문단을 꾸려 자료를 함께 점검하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환경단체에선 시찰단 구성이 너무 설비 쪽으로만 치우쳐 있다, 생태계 전반의 영향은 과소평가하는 거 아니냐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앵커]
시찰단의 활동 범위는 우리 의견이 충분히 관철됐습니까?
[기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시설을 빼고는 일본이 우리 측 요구를 거의 다 수용했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일본이 현장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만 공개할 거라고 지적하는데요.
오염수 처리 절차를 화면에서 보시면, 방사능 핵종을 정화하는 '알프스'라는 시설을 점검하는 게 핵심입니다.
안전 문제로 접근이 제한되는 부분이 있어 아쉬운 대목이고요.
30년 동안 흘려보내니까 반짝 확인하고 끝날 게 아니라 긴 시간 안정적으로 정화 장치가 운영될지, 탱크와 지하 방류 터널 등 유출 가능성은 없는지도 따져야 합니다.
[앵커]
오염수를 이번에 직접 떠오는 게 아니라서 일본 자료를 곧이곧대로 믿어도 되느냐 의심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시료는 우리나라가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도쿄전력이 작년에 우리 측에 분석용으로 건넨 건데요.
채취할 당시에 IAEA가 참관을 했고요.
한국을 비롯해서 미국, 프랑스, 스위스 네 나라가 교차 검증을 실시했습니다.
분석한 자료는 IAEA에 제출했는데, 그 보고서가 곧 발표될 예정입니다.
[앵커]
시찰단이 다녀온다고 해서 국민들의 우려가 수그러들 수 있을까요?
[기자]
무엇보다 일본이 믿을 수 있는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알프스로 정화하는 핵종이 현재 60종이 넘는데, 이 중에 31종만 안전 평가 대상에 넣은 건 불신을 자초한 면이 있고요.
방류한 오염수가 국내 해역으로 돌아오는 게 4~5년 뒤니까, 정부가 장기적이고 꼼꼼한 모니터링 계획을 세워서 국민들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서수민
우리 시찰단의 과제에 대해 김유대 기자와 함께 더 짚어보겠습니다.
민간 전문가가 들어오는 걸 일본이 반대했는데, 정부 위주의 시찰단 구성 괜찮은 겁니까?
[기자]
시찰단 21명이 모두 정부 소속이고, 그 중에 원자력안전기술원이 19명이나 됩니다.
오염수를 수년 간 쭉 연구해온 기관이라, 연속성 있는 전문가들이 현장을 보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는데요.
논란을 막기 위해 앞으로 민간 자문단을 꾸려 자료를 함께 점검하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환경단체에선 시찰단 구성이 너무 설비 쪽으로만 치우쳐 있다, 생태계 전반의 영향은 과소평가하는 거 아니냐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앵커]
시찰단의 활동 범위는 우리 의견이 충분히 관철됐습니까?
[기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시설을 빼고는 일본이 우리 측 요구를 거의 다 수용했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일본이 현장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만 공개할 거라고 지적하는데요.
오염수 처리 절차를 화면에서 보시면, 방사능 핵종을 정화하는 '알프스'라는 시설을 점검하는 게 핵심입니다.
안전 문제로 접근이 제한되는 부분이 있어 아쉬운 대목이고요.
30년 동안 흘려보내니까 반짝 확인하고 끝날 게 아니라 긴 시간 안정적으로 정화 장치가 운영될지, 탱크와 지하 방류 터널 등 유출 가능성은 없는지도 따져야 합니다.
[앵커]
오염수를 이번에 직접 떠오는 게 아니라서 일본 자료를 곧이곧대로 믿어도 되느냐 의심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시료는 우리나라가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도쿄전력이 작년에 우리 측에 분석용으로 건넨 건데요.
채취할 당시에 IAEA가 참관을 했고요.
한국을 비롯해서 미국, 프랑스, 스위스 네 나라가 교차 검증을 실시했습니다.
분석한 자료는 IAEA에 제출했는데, 그 보고서가 곧 발표될 예정입니다.
[앵커]
시찰단이 다녀온다고 해서 국민들의 우려가 수그러들 수 있을까요?
[기자]
무엇보다 일본이 믿을 수 있는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알프스로 정화하는 핵종이 현재 60종이 넘는데, 이 중에 31종만 안전 평가 대상에 넣은 건 불신을 자초한 면이 있고요.
방류한 오염수가 국내 해역으로 돌아오는 게 4~5년 뒤니까, 정부가 장기적이고 꼼꼼한 모니터링 계획을 세워서 국민들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서수민
-
-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김유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