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초고령사회 진입…가족 단위도 떠난다

입력 2023.05.26 (21:47) 수정 2023.05.29 (14: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의 노인 인구비율은 전국 7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은 22%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는데요.

청년이 자꾸 떠나니 노인 비율이 늘 수밖에 없는데, 이제는 가족이 한꺼번에 부산을 떠나는 경우도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 영도구 신선동.

작은 쉼터로 더위를 피하러 온 노인들이 삼삼오오 모였습니다.

대부분 이곳에서 나고 자랐거나 몇십 년째 사는 토박이 주민들.

새로 이사 오는 사람도 없고, 마을 곳곳이 빈집입니다.

[김양순/부산시 영도구 : "다 노인이야. 91부터 80대, 72살이 제일 마지막이야. 젊은 사람은 없지. 세 들어서 왔다, 또 나가고 그러고…."]

이곳 신선동의 노인 인구 비율은 39%.

이처럼 원도심을 중심으로 노인 인구 비율이 가파르게 늘고 있는데 영도구 30%, 중구 29%, 동구와 서구가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부산의 고령화 추세는 더 뚜렷해져 노인 인구비율이 7대 광역시 가운데 제일 높은 22%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청년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한 지난 3년 사이 10만 명 이상 줄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가족 단위로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경우까지 늘고 있습니다.

지난 3년 동안 아이를 한창 키울 시기인 장년층이 10만 명 이상 줄었고, 이에 따라 아동 3만 명도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부산을 떠난 이유는 대부분 불안정한 일자리나 주거 문제 등이 꼽힙니다.

[박민성/부산 복지포럼공감 사무국장 : "(가족단위 유출은) 한 번 떠나게 되면 다시는 돌아올 확률이 낮고요. (대를 이어) 그 지역에 정착해서 살아가기 때문에…."]

청년 취업, 창업이나 출산 장려에 집중된 인구 부양 정책을 다양한 분야로 넓혀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변영우/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지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맞물려서 실버 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굉장히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을 하고 있는데 그걸 부산이 먼저 선점을 하자는 거죠."]

앞으로 10년 안팎이면, 실제 원도심 일부는 사람이 살지 않는 이른바 '유령도시'가 될 수도 있는 상황.

부산의 인구 정책에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명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초고령사회 진입…가족 단위도 떠난다
    • 입력 2023-05-26 21:47:10
    • 수정2023-05-29 14:52:04
    뉴스9(부산)
[앵커]

부산의 노인 인구비율은 전국 7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은 22%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는데요.

청년이 자꾸 떠나니 노인 비율이 늘 수밖에 없는데, 이제는 가족이 한꺼번에 부산을 떠나는 경우도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 영도구 신선동.

작은 쉼터로 더위를 피하러 온 노인들이 삼삼오오 모였습니다.

대부분 이곳에서 나고 자랐거나 몇십 년째 사는 토박이 주민들.

새로 이사 오는 사람도 없고, 마을 곳곳이 빈집입니다.

[김양순/부산시 영도구 : "다 노인이야. 91부터 80대, 72살이 제일 마지막이야. 젊은 사람은 없지. 세 들어서 왔다, 또 나가고 그러고…."]

이곳 신선동의 노인 인구 비율은 39%.

이처럼 원도심을 중심으로 노인 인구 비율이 가파르게 늘고 있는데 영도구 30%, 중구 29%, 동구와 서구가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부산의 고령화 추세는 더 뚜렷해져 노인 인구비율이 7대 광역시 가운데 제일 높은 22%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청년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한 지난 3년 사이 10만 명 이상 줄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가족 단위로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경우까지 늘고 있습니다.

지난 3년 동안 아이를 한창 키울 시기인 장년층이 10만 명 이상 줄었고, 이에 따라 아동 3만 명도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부산을 떠난 이유는 대부분 불안정한 일자리나 주거 문제 등이 꼽힙니다.

[박민성/부산 복지포럼공감 사무국장 : "(가족단위 유출은) 한 번 떠나게 되면 다시는 돌아올 확률이 낮고요. (대를 이어) 그 지역에 정착해서 살아가기 때문에…."]

청년 취업, 창업이나 출산 장려에 집중된 인구 부양 정책을 다양한 분야로 넓혀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변영우/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지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맞물려서 실버 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굉장히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을 하고 있는데 그걸 부산이 먼저 선점을 하자는 거죠."]

앞으로 10년 안팎이면, 실제 원도심 일부는 사람이 살지 않는 이른바 '유령도시'가 될 수도 있는 상황.

부산의 인구 정책에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명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