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프리카’에서 만나는 아프리카 회화

입력 2023.05.29 (22:19) 수정 2023.05.29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 곧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데요,

이렇게 더운 날씨를 빗대 대구를 '대프리카'로 부르기도 하죠,

대구에서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현대 화가들의 전시가 열려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권기준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여럿이 함께'를 주제로 그리는 탄자니아 화가 헨드릭 릴랑가의 작품들은 얼핏 웹툰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특유의 강렬한 원색으로 원주민들의 생활상을 정겹게 담아내는데 그들도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느낌을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대구문예회관에서 다음 달 17일까지 열리는 아프리카 미술 특별전.

예상보다 더욱 독창적이고 뛰어난 작품이 많다는 입소문을 듣고 온 관람객들이 적지 않습니다.

[백덕흠/관람객 : "상상력이 좀 뛰어나다는 느낌이 들고 그런 여러 작품들을 보니까 특이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돈이 없어 캔버스 대신 합판에 작품을 그린 탄자니아 화가 팅가팅가.

카메룬 최고의 인기를 얻으면서 국민화가로 불리는 조엘 음파 두.

몽환적이고 동화적인 느낌을 주는 에티오피아의 압두나 카사 등 아프리카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4명의 작품 120여 점이 전시됐습니다.

[민지영/미술 해설사 : " 전부 다른 화풍을 선보이고 계시고 이런 다양성이 어떻게 다른 지 관람객들이 오셔서 뭐가 다른 지 어떤 게 좋은 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4명의 작가들 작품 감상을 마치면 바로 옆 전시실에서 나이지리아 화가들의 작품도 연이어 감상할 수 있습니다.

[유은경/대구문예회관 학예연구사 : "이번 주말에 미술관에 오시면 헨드릭 릴랑가가 직접 작업하시는 과정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몇 년 전 서울에서는 만 원 이상의 관람료를 받은 전시지만 이번 대구전은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권기준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프리카’에서 만나는 아프리카 회화
    • 입력 2023-05-29 22:19:56
    • 수정2023-05-29 22:30:55
    뉴스9(대구)
[앵커]

이제 곧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데요,

이렇게 더운 날씨를 빗대 대구를 '대프리카'로 부르기도 하죠,

대구에서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현대 화가들의 전시가 열려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권기준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여럿이 함께'를 주제로 그리는 탄자니아 화가 헨드릭 릴랑가의 작품들은 얼핏 웹툰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특유의 강렬한 원색으로 원주민들의 생활상을 정겹게 담아내는데 그들도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느낌을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대구문예회관에서 다음 달 17일까지 열리는 아프리카 미술 특별전.

예상보다 더욱 독창적이고 뛰어난 작품이 많다는 입소문을 듣고 온 관람객들이 적지 않습니다.

[백덕흠/관람객 : "상상력이 좀 뛰어나다는 느낌이 들고 그런 여러 작품들을 보니까 특이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돈이 없어 캔버스 대신 합판에 작품을 그린 탄자니아 화가 팅가팅가.

카메룬 최고의 인기를 얻으면서 국민화가로 불리는 조엘 음파 두.

몽환적이고 동화적인 느낌을 주는 에티오피아의 압두나 카사 등 아프리카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4명의 작품 120여 점이 전시됐습니다.

[민지영/미술 해설사 : " 전부 다른 화풍을 선보이고 계시고 이런 다양성이 어떻게 다른 지 관람객들이 오셔서 뭐가 다른 지 어떤 게 좋은 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4명의 작가들 작품 감상을 마치면 바로 옆 전시실에서 나이지리아 화가들의 작품도 연이어 감상할 수 있습니다.

[유은경/대구문예회관 학예연구사 : "이번 주말에 미술관에 오시면 헨드릭 릴랑가가 직접 작업하시는 과정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몇 년 전 서울에서는 만 원 이상의 관람료를 받은 전시지만 이번 대구전은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권기준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