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10명 중 4명 “한국 비호감”…만만찮은 반한 정서 [오늘 이슈]
입력 2023.05.30 (13:52)
수정 2023.05.30 (13: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10명 중 4명은 한국에 대해 비호감 의견을 갖고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칭화대 전략안전연구센터의 '2023 중국의 국제 안보 전망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 한국, 미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7개 지역에 대한 '인상'을 물은 항목에서 한국에 대해 응답자의 38.4%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17.4%는 매우 비호의적, 21%는 다소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중립적이라는 응답은 47.6%, 호의적이라는 응답은 13.9%에 그쳤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인의 반중 정서가 세계 최고라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 발표된 겁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 등 국제 연구진의 여론조사에서 한국인 응답자가 중국을 '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비율은 81%로 조사 대상 56개국 중 최고였습니다.
한편, 중국인이 가장 비호감으로 꼽은 나라는 미국으로 응답자의 59.1%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일본에 대해 비호의적이라고 답한 비율도 57.5%로 절반이 넘었습니다.
반면 가장 호감을 갖는 나라는 러시아로 58.4%가 호의적이라고 했고, 7.8%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영국을 더한 8개 지역이 중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력을 물은 항목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미국을 최대 영향국으로 꼽았고, 한국의 영향력이 크다고 답한 비율은 23.3%에 그쳤습니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11월 18세 이상 중국 본토 시민 2,6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습니다.
KBS뉴스 박혜진입니다.
칭화대 전략안전연구센터의 '2023 중국의 국제 안보 전망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 한국, 미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7개 지역에 대한 '인상'을 물은 항목에서 한국에 대해 응답자의 38.4%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17.4%는 매우 비호의적, 21%는 다소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중립적이라는 응답은 47.6%, 호의적이라는 응답은 13.9%에 그쳤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인의 반중 정서가 세계 최고라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 발표된 겁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 등 국제 연구진의 여론조사에서 한국인 응답자가 중국을 '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비율은 81%로 조사 대상 56개국 중 최고였습니다.
한편, 중국인이 가장 비호감으로 꼽은 나라는 미국으로 응답자의 59.1%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일본에 대해 비호의적이라고 답한 비율도 57.5%로 절반이 넘었습니다.
반면 가장 호감을 갖는 나라는 러시아로 58.4%가 호의적이라고 했고, 7.8%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영국을 더한 8개 지역이 중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력을 물은 항목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미국을 최대 영향국으로 꼽았고, 한국의 영향력이 크다고 답한 비율은 23.3%에 그쳤습니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11월 18세 이상 중국 본토 시민 2,6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습니다.
KBS뉴스 박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인 10명 중 4명 “한국 비호감”…만만찮은 반한 정서 [오늘 이슈]
-
- 입력 2023-05-30 13:52:21
- 수정2023-05-30 13:55:04

중국인 10명 중 4명은 한국에 대해 비호감 의견을 갖고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칭화대 전략안전연구센터의 '2023 중국의 국제 안보 전망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 한국, 미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7개 지역에 대한 '인상'을 물은 항목에서 한국에 대해 응답자의 38.4%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17.4%는 매우 비호의적, 21%는 다소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중립적이라는 응답은 47.6%, 호의적이라는 응답은 13.9%에 그쳤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인의 반중 정서가 세계 최고라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 발표된 겁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 등 국제 연구진의 여론조사에서 한국인 응답자가 중국을 '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비율은 81%로 조사 대상 56개국 중 최고였습니다.
한편, 중국인이 가장 비호감으로 꼽은 나라는 미국으로 응답자의 59.1%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일본에 대해 비호의적이라고 답한 비율도 57.5%로 절반이 넘었습니다.
반면 가장 호감을 갖는 나라는 러시아로 58.4%가 호의적이라고 했고, 7.8%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영국을 더한 8개 지역이 중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력을 물은 항목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미국을 최대 영향국으로 꼽았고, 한국의 영향력이 크다고 답한 비율은 23.3%에 그쳤습니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11월 18세 이상 중국 본토 시민 2,6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습니다.
KBS뉴스 박혜진입니다.
칭화대 전략안전연구센터의 '2023 중국의 국제 안보 전망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 한국, 미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7개 지역에 대한 '인상'을 물은 항목에서 한국에 대해 응답자의 38.4%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17.4%는 매우 비호의적, 21%는 다소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중립적이라는 응답은 47.6%, 호의적이라는 응답은 13.9%에 그쳤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인의 반중 정서가 세계 최고라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 발표된 겁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 등 국제 연구진의 여론조사에서 한국인 응답자가 중국을 '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비율은 81%로 조사 대상 56개국 중 최고였습니다.
한편, 중국인이 가장 비호감으로 꼽은 나라는 미국으로 응답자의 59.1%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일본에 대해 비호의적이라고 답한 비율도 57.5%로 절반이 넘었습니다.
반면 가장 호감을 갖는 나라는 러시아로 58.4%가 호의적이라고 했고, 7.8%가 비호의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영국을 더한 8개 지역이 중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력을 물은 항목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미국을 최대 영향국으로 꼽았고, 한국의 영향력이 크다고 답한 비율은 23.3%에 그쳤습니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11월 18세 이상 중국 본토 시민 2,6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습니다.
KBS뉴스 박혜진입니다.
-
-
박혜진 기자 root@kbs.co.kr
박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