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세계차엑스포 내일 폐막…성과와 과제는?

입력 2023.06.02 (21:39) 수정 2023.06.02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차 산업의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열린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가 31일간 일정을 마무리하고 내일(3일) 폐막합니다.

우리 전통차의 대중화, 산업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는 성과와 함께 일부 아쉬움도 남는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 산업 분야 최초 정부 승인 국제행사인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

우리 전통차는 물론, 중국과 튀르키예 등 세계 다양한 차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았습니다.

녹차와 새로운 재료를 결합해 음료를 만든 경연대회는 전통차의 대중화를 앞당겼고,

["따세, 따세, 차를 따세"]

차 수확 과정을 담은 노동요, '하동 찻일소리'도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행사 기간 2천100만 달러 규모 수출 협약도 주요 성과로 꼽힙니다.

[이승관/하동 차 생산자 : "(하동 녹차를) 많이 알리는 효과도 있고 여러가지 측면에서 차 문화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다만 개선할 점도 있습니다.

두 곳으로 나뉜 행사장 사이 거리는 차로 35분 남짓.

관람과 체험을 모두 경험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전정현/창원시 봉곡동 : "조금 가까웠으면, 도보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였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또, 차와 연관성이 부족한 대중가수 공연으로 무대가 채워졌고, 여느 축제장과 다를 바 없는 식당과 부대 시설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종현/하동녹차연구소 소장 : "무료 시음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았느냐. 이런 부분들은 조금 더 어떤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보완해서…."]

무료 입장권 문제도 지적됩니다.

조직위가 밝힌 지난달 30일 기준 입장객 수는 117만여 명.

이 가운데 무료 입장객은 68%입니다.

실제 표를 구매한 입장객은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외국인 방문객도 6만 7천여 명에 그쳤습니다.

조직위는 이달 중순까지 엑스포 파급 효과 등 성과를 분석한 뒤 백서를 발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그래픽:박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동세계차엑스포 내일 폐막…성과와 과제는?
    • 입력 2023-06-02 21:39:08
    • 수정2023-06-02 22:15:28
    뉴스9(창원)
[앵커]

차 산업의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열린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가 31일간 일정을 마무리하고 내일(3일) 폐막합니다.

우리 전통차의 대중화, 산업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는 성과와 함께 일부 아쉬움도 남는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 산업 분야 최초 정부 승인 국제행사인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

우리 전통차는 물론, 중국과 튀르키예 등 세계 다양한 차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았습니다.

녹차와 새로운 재료를 결합해 음료를 만든 경연대회는 전통차의 대중화를 앞당겼고,

["따세, 따세, 차를 따세"]

차 수확 과정을 담은 노동요, '하동 찻일소리'도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행사 기간 2천100만 달러 규모 수출 협약도 주요 성과로 꼽힙니다.

[이승관/하동 차 생산자 : "(하동 녹차를) 많이 알리는 효과도 있고 여러가지 측면에서 차 문화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다만 개선할 점도 있습니다.

두 곳으로 나뉜 행사장 사이 거리는 차로 35분 남짓.

관람과 체험을 모두 경험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전정현/창원시 봉곡동 : "조금 가까웠으면, 도보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였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또, 차와 연관성이 부족한 대중가수 공연으로 무대가 채워졌고, 여느 축제장과 다를 바 없는 식당과 부대 시설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종현/하동녹차연구소 소장 : "무료 시음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았느냐. 이런 부분들은 조금 더 어떤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보완해서…."]

무료 입장권 문제도 지적됩니다.

조직위가 밝힌 지난달 30일 기준 입장객 수는 117만여 명.

이 가운데 무료 입장객은 68%입니다.

실제 표를 구매한 입장객은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외국인 방문객도 6만 7천여 명에 그쳤습니다.

조직위는 이달 중순까지 엑스포 파급 효과 등 성과를 분석한 뒤 백서를 발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그래픽:박수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