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로 끊는 장애인 활동지원…“나이 든 게 죄인가요?”
입력 2023.06.05 (21:47)
수정 2023.06.05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 제도라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65세를 넘어 장애 판정을 받으면 이 제도를 이용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80대 문주섭 씨는 11년 전 황반변성으로 양쪽 시력을 모두 잃었습니다.
아내와 사별 뒤 홀로 지내게 된 문 씨, 외부 활동 도움을 받는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를 신청했지만 대상이 아니란 답이 돌아왔습니다.
현행법상 65세 이후 첫 장애 판정을 받은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동사무소 복지과에 가서 이야기했더니 장기요양 보험 신청해서 받으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못 받아요, 이러는 거예요."]
문 씨는 65세 이상 노인 중 거동이 불편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장기요양 4등급만 받았습니다.
하루 3시간 남짓 집에서 요양보호사 도움만 받는데, 이마저도 한 달에 20만 원을 내야 합니다.
외출은커녕 끼니조차 거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아침에는 주로 굶고 저녁에도 어느 때는 더부룩하면 약은 먹고 자야 되는데…. 이게 사는 게 사는 게 아닙니다."]
나이 제한 없이 장애인 활동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1년 넘게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65세 이후 장애인이 된 경우에도 자격을 인정하는 것이 형평성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인다"는 검토 의견이 나왔지만, 비용조차 추산하지 못했습니다.
[김예지/국민의힘 의원 : "고령 장애인 또한 활동지원제도를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가 필요합니다."]
65세 이후 장애 판정을 받은 사람들은 지난해 기준 4만여 명, 중증장애만 9천 명이 넘습니다.
[문주섭/경기 부천시 : "나이 먹어서 죽는 건 인간에게 주어진 건데 이렇게 허무하게 갈 수는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이렇게 애걸하는 겁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 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서수민
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 제도라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65세를 넘어 장애 판정을 받으면 이 제도를 이용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80대 문주섭 씨는 11년 전 황반변성으로 양쪽 시력을 모두 잃었습니다.
아내와 사별 뒤 홀로 지내게 된 문 씨, 외부 활동 도움을 받는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를 신청했지만 대상이 아니란 답이 돌아왔습니다.
현행법상 65세 이후 첫 장애 판정을 받은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동사무소 복지과에 가서 이야기했더니 장기요양 보험 신청해서 받으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못 받아요, 이러는 거예요."]
문 씨는 65세 이상 노인 중 거동이 불편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장기요양 4등급만 받았습니다.
하루 3시간 남짓 집에서 요양보호사 도움만 받는데, 이마저도 한 달에 20만 원을 내야 합니다.
외출은커녕 끼니조차 거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아침에는 주로 굶고 저녁에도 어느 때는 더부룩하면 약은 먹고 자야 되는데…. 이게 사는 게 사는 게 아닙니다."]
나이 제한 없이 장애인 활동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1년 넘게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65세 이후 장애인이 된 경우에도 자격을 인정하는 것이 형평성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인다"는 검토 의견이 나왔지만, 비용조차 추산하지 못했습니다.
[김예지/국민의힘 의원 : "고령 장애인 또한 활동지원제도를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가 필요합니다."]
65세 이후 장애 판정을 받은 사람들은 지난해 기준 4만여 명, 중증장애만 9천 명이 넘습니다.
[문주섭/경기 부천시 : "나이 먹어서 죽는 건 인간에게 주어진 건데 이렇게 허무하게 갈 수는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이렇게 애걸하는 겁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 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5세’로 끊는 장애인 활동지원…“나이 든 게 죄인가요?”
-
- 입력 2023-06-05 21:47:38
- 수정2023-06-05 21:58:20

[앵커]
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 제도라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65세를 넘어 장애 판정을 받으면 이 제도를 이용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80대 문주섭 씨는 11년 전 황반변성으로 양쪽 시력을 모두 잃었습니다.
아내와 사별 뒤 홀로 지내게 된 문 씨, 외부 활동 도움을 받는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를 신청했지만 대상이 아니란 답이 돌아왔습니다.
현행법상 65세 이후 첫 장애 판정을 받은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동사무소 복지과에 가서 이야기했더니 장기요양 보험 신청해서 받으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못 받아요, 이러는 거예요."]
문 씨는 65세 이상 노인 중 거동이 불편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장기요양 4등급만 받았습니다.
하루 3시간 남짓 집에서 요양보호사 도움만 받는데, 이마저도 한 달에 20만 원을 내야 합니다.
외출은커녕 끼니조차 거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아침에는 주로 굶고 저녁에도 어느 때는 더부룩하면 약은 먹고 자야 되는데…. 이게 사는 게 사는 게 아닙니다."]
나이 제한 없이 장애인 활동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1년 넘게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65세 이후 장애인이 된 경우에도 자격을 인정하는 것이 형평성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인다"는 검토 의견이 나왔지만, 비용조차 추산하지 못했습니다.
[김예지/국민의힘 의원 : "고령 장애인 또한 활동지원제도를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가 필요합니다."]
65세 이후 장애 판정을 받은 사람들은 지난해 기준 4만여 명, 중증장애만 9천 명이 넘습니다.
[문주섭/경기 부천시 : "나이 먹어서 죽는 건 인간에게 주어진 건데 이렇게 허무하게 갈 수는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이렇게 애걸하는 겁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 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서수민
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 제도라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65세를 넘어 장애 판정을 받으면 이 제도를 이용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80대 문주섭 씨는 11년 전 황반변성으로 양쪽 시력을 모두 잃었습니다.
아내와 사별 뒤 홀로 지내게 된 문 씨, 외부 활동 도움을 받는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를 신청했지만 대상이 아니란 답이 돌아왔습니다.
현행법상 65세 이후 첫 장애 판정을 받은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동사무소 복지과에 가서 이야기했더니 장기요양 보험 신청해서 받으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못 받아요, 이러는 거예요."]
문 씨는 65세 이상 노인 중 거동이 불편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장기요양 4등급만 받았습니다.
하루 3시간 남짓 집에서 요양보호사 도움만 받는데, 이마저도 한 달에 20만 원을 내야 합니다.
외출은커녕 끼니조차 거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문주섭/경기도 부천시 : "아침에는 주로 굶고 저녁에도 어느 때는 더부룩하면 약은 먹고 자야 되는데…. 이게 사는 게 사는 게 아닙니다."]
나이 제한 없이 장애인 활동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1년 넘게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65세 이후 장애인이 된 경우에도 자격을 인정하는 것이 형평성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인다"는 검토 의견이 나왔지만, 비용조차 추산하지 못했습니다.
[김예지/국민의힘 의원 : "고령 장애인 또한 활동지원제도를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가 필요합니다."]
65세 이후 장애 판정을 받은 사람들은 지난해 기준 4만여 명, 중증장애만 9천 명이 넘습니다.
[문주섭/경기 부천시 : "나이 먹어서 죽는 건 인간에게 주어진 건데 이렇게 허무하게 갈 수는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이렇게 애걸하는 겁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 박상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서수민
-
-
송락규 기자 rockyou@kbs.co.kr
송락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