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대피소는 어디?…행동요령 미리 숙지해야

입력 2023.06.11 (07:13) 수정 2023.06.11 (07: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 시작하겠습니다.

지난달 서울시의 경계경보 오발령을 계기로 긴급상황에 대비한 행동요령에 관심이 커졌죠.

특히 경계나 공습경보의 경우 지진과 해일 같은 자연재난과는 대피방법이 다른데요,

일단 이것 하나만 기억해주시죠.

지하로 대피하는게 중요합니다.

윤양균 기자가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리포트]

사이렌 소리가 텅 빈 새벽 거리의 정적을 깨웁니다.

[서울시 안내방송 : "실제 경계 경보를 발령합니다."]

지난달 31일 서울시민들을 혼란스럽게 했던 문자는 '경계경보'에 해당합니다.

이 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발령됩니다.

이때는 방송을 청취하면서 안내에 따라 대피소로 대피할 '준비'를 하면 됩니다.

노약자와 어린이 등은 먼저 대피해야 합니다.

적의 공격이 임박했거나 진행중일 때는 '공습경보'가 발령됩니다.

이때는 미리 준비해둔 물품이 있다면 이를 들고 가까운 대피소로 신속하게 대피해야 합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운동장 등 개방된 넓은 장소로 피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서울 지역에 지정된 대피소는 3천2백여 곳 정도입니다.

도심지에는 지하 주차장을 대피소로 지정한 곳이 많은데, 일시 대피 용도인 곳도 있습니다.

가까운 곳에 대피소가 따로 없다면 지하철 역이나 지하 주차장, 큰 건물의 지하 등 '공격으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지하 공간'으로 피하면 됩니다.

가까운 대피소는 평소에 미리 알아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의 홈페이지, 안전디딤돌 앱 등을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민방위 대피소 항목에서 지역별 대피소의 주소와 수용 인원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통신 수요가 한꺼번에 몰리거나 인터넷이 안될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 자주 다니는 길목에 대피소 표지판이 붙어 있는 곳이 있다면 꼭 기억해두는 것도 비상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동네 대피소는 어디?…행동요령 미리 숙지해야
    • 입력 2023-06-11 07:13:17
    • 수정2023-06-11 07:27:43
    KBS 재난방송센터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 시작하겠습니다.

지난달 서울시의 경계경보 오발령을 계기로 긴급상황에 대비한 행동요령에 관심이 커졌죠.

특히 경계나 공습경보의 경우 지진과 해일 같은 자연재난과는 대피방법이 다른데요,

일단 이것 하나만 기억해주시죠.

지하로 대피하는게 중요합니다.

윤양균 기자가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리포트]

사이렌 소리가 텅 빈 새벽 거리의 정적을 깨웁니다.

[서울시 안내방송 : "실제 경계 경보를 발령합니다."]

지난달 31일 서울시민들을 혼란스럽게 했던 문자는 '경계경보'에 해당합니다.

이 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발령됩니다.

이때는 방송을 청취하면서 안내에 따라 대피소로 대피할 '준비'를 하면 됩니다.

노약자와 어린이 등은 먼저 대피해야 합니다.

적의 공격이 임박했거나 진행중일 때는 '공습경보'가 발령됩니다.

이때는 미리 준비해둔 물품이 있다면 이를 들고 가까운 대피소로 신속하게 대피해야 합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운동장 등 개방된 넓은 장소로 피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서울 지역에 지정된 대피소는 3천2백여 곳 정도입니다.

도심지에는 지하 주차장을 대피소로 지정한 곳이 많은데, 일시 대피 용도인 곳도 있습니다.

가까운 곳에 대피소가 따로 없다면 지하철 역이나 지하 주차장, 큰 건물의 지하 등 '공격으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지하 공간'으로 피하면 됩니다.

가까운 대피소는 평소에 미리 알아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의 홈페이지, 안전디딤돌 앱 등을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민방위 대피소 항목에서 지역별 대피소의 주소와 수용 인원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통신 수요가 한꺼번에 몰리거나 인터넷이 안될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 자주 다니는 길목에 대피소 표지판이 붙어 있는 곳이 있다면 꼭 기억해두는 것도 비상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