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중국이 세계 원전 1위?…“한중일 협의체 시급”

입력 2023.06.11 (21:08) 수정 2023.06.11 (2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력난에 시달리는 중국이, 원자력 발전소 20여 기를 새로 짓고 있는데, 이것도, 우리나라와 멀지 않은 곳에 대부분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천에서 불과 350 킬로미터 떨어진 것도 있어서, 만의 하나 사고가 나면 어떡할 거냐, 이 우려가 또 제기되고 있습니다.

유사시에 대비해서, 한중일 간에 협의체를 미리 꾸려두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중국 장쑤성의 이 원전은 매년 6기에서 500억 킬로와트시(k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3~4년 뒤 가동을 목표로 원전 2기가 추가로 건설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 새로 짓고 있는 원전은 21기.

완공되면 모두 76기로, 원전 전력 생산 규모 세계 2위로 올라섭니다.

중국은 급격한 산업 발달로 전력난이 심각한데 화력 발전이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환경 오염을 해결하고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 원자력 발전을 늘리고 있는 겁니다.

게다가 중국 정부가 탄소 중립을 선언하면서, 원자력 발전 의존도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세계원자력기구 IAEA는 2030년이면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원자력 발전량 세계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잔원롱/중국과학원 핵물리학자 : "2060년 이전에 탄소 중립을 달성하게 되면 전력망의 기본 발전량을 원자력이 담당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중국 원전 대부분은 동남해안에 집중돼 우리 서해와 마주 보고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원전은 인천에서 불과 350km 거리입니다.

이 때문에 유사시에 원전 관련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중일 3국 규제기관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동욱/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 "어디를 감독 해야 하고, 어디를 감시해야 하고... 가장 적정한 방법을 상호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기관 협의체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한중일 3국은 중대한 원전사고에 대해 조사 분석 보고서를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사후 보고서여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한 상시 소통창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김정현 김석훈/자료조사:문지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30년 중국이 세계 원전 1위?…“한중일 협의체 시급”
    • 입력 2023-06-11 21:08:16
    • 수정2023-06-11 21:46:14
    뉴스 9
[앵커]

전력난에 시달리는 중국이, 원자력 발전소 20여 기를 새로 짓고 있는데, 이것도, 우리나라와 멀지 않은 곳에 대부분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천에서 불과 350 킬로미터 떨어진 것도 있어서, 만의 하나 사고가 나면 어떡할 거냐, 이 우려가 또 제기되고 있습니다.

유사시에 대비해서, 한중일 간에 협의체를 미리 꾸려두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중국 장쑤성의 이 원전은 매년 6기에서 500억 킬로와트시(k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3~4년 뒤 가동을 목표로 원전 2기가 추가로 건설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 새로 짓고 있는 원전은 21기.

완공되면 모두 76기로, 원전 전력 생산 규모 세계 2위로 올라섭니다.

중국은 급격한 산업 발달로 전력난이 심각한데 화력 발전이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환경 오염을 해결하고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 원자력 발전을 늘리고 있는 겁니다.

게다가 중국 정부가 탄소 중립을 선언하면서, 원자력 발전 의존도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세계원자력기구 IAEA는 2030년이면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원자력 발전량 세계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잔원롱/중국과학원 핵물리학자 : "2060년 이전에 탄소 중립을 달성하게 되면 전력망의 기본 발전량을 원자력이 담당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중국 원전 대부분은 동남해안에 집중돼 우리 서해와 마주 보고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원전은 인천에서 불과 350km 거리입니다.

이 때문에 유사시에 원전 관련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중일 3국 규제기관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동욱/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 "어디를 감독 해야 하고, 어디를 감시해야 하고... 가장 적정한 방법을 상호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기관 협의체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한중일 3국은 중대한 원전사고에 대해 조사 분석 보고서를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사후 보고서여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한 상시 소통창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김정현 김석훈/자료조사:문지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